목차
1. 가족이란?
2. 가족의 기능 및 역기능시 문제점
3 현대 가족의 생활주기
2. 가족의 기능 및 역기능시 문제점
3 현대 가족의 생활주기
본문내용
이 지남에 따라 결혼시기가 점차 늦어지고 있으며, 과거에는 자녀수가 많았고 따라서 첫 자녀와 막내와의 연령 차이가 많았으나, 현재는 자녀수가 적기 때문에 첫 자녀와 막내 자녀간의 연령 차이도 적다. 따라서 가족 축소기도 짧을 수밖에 없으며, 자녀의 결혼 완료로부터 남편 사망까지의 축소 완료기는 상당히 길이지고 있는 추세이다.
3) 현대가족주기에 나타나는 특징
① 가족 형성의 출발점인 初婚연령이 상승
② 결혼해서 첫 출산까지의 기간이 단축되고, 결혼 후 출산속도가 빨라지고 출산을 완료할 때까지 기간은 감소되고 있는데, 자녀수 감소에 기인한다.
③ 전체적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2003년 현재 약78세)되고, 혼인에서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가족주기의 전체기간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4) 현대가족 주기단계의 특성
가족생활 주기의 각 단계는 새로운 관계의 역할과 과업에 적응해야 한다는 점에서 위기의 전환점이라 볼 수 있다.
① 결혼/파트너 되기(1단계 : 가족형성기) : 서로가 만족하는 관계 수립이 중요하며, 확대된 가족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부모期에 대해 결정할 시기
② 첫아이 출산과 就學전 자녀가족(2단계 : 확대기) : 처음 부모가 되면 보호제공 역할에 대해 갈등을 경험하며, 자기희생과 自我否認이 요구되기도 하며, 자녀의 일, 놀이, 가족간의 사랑을 강조하는 사회관계에 관심을 가진다.
③ 學齡기 및 10대 자녀 가족(3단계 : 확대완료기) : 자녀의 취학과 및 과외활동에 따라 가족패턴이 변화될 수도 있으며, 자녀는 가족으로부터 독립 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려고 노력한다.
④ 자녀 독립기 가족 (4단계 : 축소기) : 자녀(청소년)가 독립함으로써 가족의 규모는 축소되고 부모의 역할 및 책임은 변화 한다
⑤ 중년기부모 및 노년가족(5단계 : 축소완료기 ~6단계 : 해체기) : 노인은 자녀에게 전통적인 부양의식과 효도를 기대하지만, 자녀가 이에 부응하지 못하는 경우 老부모는 소외, 고독감, 좌절 등을 느끼고 세대간 갈등이 유발될 수 있다.
☞ 자녀의 교육 및 婚事에 과도한 투자를 하여 노후대책이 부족하고 공적인 부양체계가 확립되지 않은 우리나라 현실에서 가족간에 부모 부양(특히 부모가 불치병에 걸렸을 경우)에 대해 갈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4~50대 中壯年층의 경우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의무감에 부담은 느끼지만, 정작 자신은 자녀에게 부양을 받을 수 없다는 것에 대해 심리적 공황을 일으킬 수 있다.
3) 현대가족주기에 나타나는 특징
① 가족 형성의 출발점인 初婚연령이 상승
② 결혼해서 첫 출산까지의 기간이 단축되고, 결혼 후 출산속도가 빨라지고 출산을 완료할 때까지 기간은 감소되고 있는데, 자녀수 감소에 기인한다.
③ 전체적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2003년 현재 약78세)되고, 혼인에서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가족주기의 전체기간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4) 현대가족 주기단계의 특성
가족생활 주기의 각 단계는 새로운 관계의 역할과 과업에 적응해야 한다는 점에서 위기의 전환점이라 볼 수 있다.
① 결혼/파트너 되기(1단계 : 가족형성기) : 서로가 만족하는 관계 수립이 중요하며, 확대된 가족과의 관계를 설정하고 부모期에 대해 결정할 시기
② 첫아이 출산과 就學전 자녀가족(2단계 : 확대기) : 처음 부모가 되면 보호제공 역할에 대해 갈등을 경험하며, 자기희생과 自我否認이 요구되기도 하며, 자녀의 일, 놀이, 가족간의 사랑을 강조하는 사회관계에 관심을 가진다.
③ 學齡기 및 10대 자녀 가족(3단계 : 확대완료기) : 자녀의 취학과 및 과외활동에 따라 가족패턴이 변화될 수도 있으며, 자녀는 가족으로부터 독립 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려고 노력한다.
④ 자녀 독립기 가족 (4단계 : 축소기) : 자녀(청소년)가 독립함으로써 가족의 규모는 축소되고 부모의 역할 및 책임은 변화 한다
⑤ 중년기부모 및 노년가족(5단계 : 축소완료기 ~6단계 : 해체기) : 노인은 자녀에게 전통적인 부양의식과 효도를 기대하지만, 자녀가 이에 부응하지 못하는 경우 老부모는 소외, 고독감, 좌절 등을 느끼고 세대간 갈등이 유발될 수 있다.
☞ 자녀의 교육 및 婚事에 과도한 투자를 하여 노후대책이 부족하고 공적인 부양체계가 확립되지 않은 우리나라 현실에서 가족간에 부모 부양(특히 부모가 불치병에 걸렸을 경우)에 대해 갈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4~50대 中壯年층의 경우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의무감에 부담은 느끼지만, 정작 자신은 자녀에게 부양을 받을 수 없다는 것에 대해 심리적 공황을 일으킬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