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건축개요
▣건축적 특징
▣건축시스템과 Cladding System
▣구조시스템
▣조사를 마치며
▣건축적 특징
▣건축시스템과 Cladding System
▣구조시스템
▣조사를 마치며
본문내용
스트 시스템은 기둥배치가 직교가 아니고 많은 기둥에 Transfer Girders가 필요한 그레이트 홀 지역에 부적합하다.
포스트텐션 시스템은 경제적이지만 공기가 더 길게 되고 수축을 조절하는 익스펜션 조인트가 더 필요하다. 철골조 시스템은 현장타설 시스템보다 400mm 더 높은 층고가 필요하여 굴토와 배수도 더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전체 비용이 다른 시스템보다 높다. 또한 철골조 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부식과 진동문제가 있다.
교통센터 주차장과 그레이트 홀 바닥구조에는 현장타설 시스템이 권장된다. 공기와 수축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조물을 조인트로 이용하여 3~4개의 부 구조물로 나누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조립식 Steel Flying Forms과 단순한 철근배치(사전조립가능)를 사용하여 공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또한 5가지 다른 형태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시스템이 평가되었다.
→1방향 슬라브 / 1방향 빔 시스템
→2방향 슬라브 / 2방향 빔 시스템
→플랫슬라브 시스템
→팬 조이스트 시스템
→와플 슬라브 시스템
6. 벽체
지하외벽은 토압 및 수압과 슬라브의 수직하중을 견디도록 1방향 구조로 설계되었다. 외부벽은 또한 전단벽으로서 역할을 한다. 내부 전단벽은 불균등한 횡력, 즉 Diaphragm이 토압 및 수압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기본설계에서 제시된 South Wall설계는 Coupled Wall시스템이다. South Wall과 철도역사 벽은 Transfer Beam과 슬라브로 연결되어(Coupled) 토압과 수압에 견디어 낸다.
7. 지하연결통로
교통센터와 터미널 1건물을 상호연결하기 위해 5개의 지하연결통로가 설계되었다. 통로바닥은 교통센터에서 EL+1,500이고 터미널 1에서 EL+1,200으로 교통센터에서 터미널 1건물로 이어져 있다. 승객들의 편의를 위해 2대의 자동보도가 제공된다. 통로 지붕슬라브는 교통하중과 지상연결 통로기둥을 지지한다. 모든 통로는 지상 연결통로 기둥을 지지하는데, 이 기둥은 통로의 상부에 대칭으로 설치되지 않는다. 두터운 슬라브 지붕은 지상 연결통로 하중을 받는 Beam으로서 설계되었다.
8. 지상 연결통로
5개의 지상 연결통로는 터미널1과 교통센터를 이어 주는데 도착층 도로와 고가교량 사이를 가로 지른다. 스팬은 12m에서 24m로 다양하다.
구조시스템은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4개의 Vierendeel구조로 되어있다. Vierendeel구조는 최대 24m 스팬이며, 높이는 3.4m이다. 수직재(기둥)는 중심에서 4m이다. 2개의 외부 프레임은 지붕과 바닥에서 1.75m가 되게 설계되고 지붕과 바닥부재는 튜브구조가 된다. 수직부재도 튜브이다.
▣조사를 마치며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에 대한 문헌조사를 하면서 기존에 책에서만 보아오던 구조시스템들이 어떻게 쓰이고 있으며, 또한 이 건축물에서는 어떤 새로운 구조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지 완벽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알게 되었습니다. 교통센터의 3차원형태를 해결하기위한 컴퓨터모델링시스템, 클레딩시스템, 그리고 다양한 강재들, 여러 가지 하중에 적절하게 저항하기위한 구조시스템에 대한 지식도 얻게 되었습니다.
교통센터의 독특하고 미려한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시작한 이번 조사는, 이 건축물이 디자인만이 아닌 구조시스템에서도 최신기술이 활용된 우수한 건축물임을 알게 된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참고 자료 & 사이트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 건설지-2세트, 인천국제공항공사, 2001
■www.airport.or.kr
-인천국제공항공사 홈페이지
■www.samoo.co.kr
-삼우설계 홈페이지
■www.pluszine.co.kr
-'플러스‘건축잡지 ’홈페이지
포스트텐션 시스템은 경제적이지만 공기가 더 길게 되고 수축을 조절하는 익스펜션 조인트가 더 필요하다. 철골조 시스템은 현장타설 시스템보다 400mm 더 높은 층고가 필요하여 굴토와 배수도 더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전체 비용이 다른 시스템보다 높다. 또한 철골조 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부식과 진동문제가 있다.
교통센터 주차장과 그레이트 홀 바닥구조에는 현장타설 시스템이 권장된다. 공기와 수축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조물을 조인트로 이용하여 3~4개의 부 구조물로 나누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조립식 Steel Flying Forms과 단순한 철근배치(사전조립가능)를 사용하여 공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또한 5가지 다른 형태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시스템이 평가되었다.
→1방향 슬라브 / 1방향 빔 시스템
→2방향 슬라브 / 2방향 빔 시스템
→플랫슬라브 시스템
→팬 조이스트 시스템
→와플 슬라브 시스템
6. 벽체
지하외벽은 토압 및 수압과 슬라브의 수직하중을 견디도록 1방향 구조로 설계되었다. 외부벽은 또한 전단벽으로서 역할을 한다. 내부 전단벽은 불균등한 횡력, 즉 Diaphragm이 토압 및 수압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기본설계에서 제시된 South Wall설계는 Coupled Wall시스템이다. South Wall과 철도역사 벽은 Transfer Beam과 슬라브로 연결되어(Coupled) 토압과 수압에 견디어 낸다.
7. 지하연결통로
교통센터와 터미널 1건물을 상호연결하기 위해 5개의 지하연결통로가 설계되었다. 통로바닥은 교통센터에서 EL+1,500이고 터미널 1에서 EL+1,200으로 교통센터에서 터미널 1건물로 이어져 있다. 승객들의 편의를 위해 2대의 자동보도가 제공된다. 통로 지붕슬라브는 교통하중과 지상연결 통로기둥을 지지한다. 모든 통로는 지상 연결통로 기둥을 지지하는데, 이 기둥은 통로의 상부에 대칭으로 설치되지 않는다. 두터운 슬라브 지붕은 지상 연결통로 하중을 받는 Beam으로서 설계되었다.
8. 지상 연결통로
5개의 지상 연결통로는 터미널1과 교통센터를 이어 주는데 도착층 도로와 고가교량 사이를 가로 지른다. 스팬은 12m에서 24m로 다양하다.
구조시스템은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4개의 Vierendeel구조로 되어있다. Vierendeel구조는 최대 24m 스팬이며, 높이는 3.4m이다. 수직재(기둥)는 중심에서 4m이다. 2개의 외부 프레임은 지붕과 바닥에서 1.75m가 되게 설계되고 지붕과 바닥부재는 튜브구조가 된다. 수직부재도 튜브이다.
▣조사를 마치며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에 대한 문헌조사를 하면서 기존에 책에서만 보아오던 구조시스템들이 어떻게 쓰이고 있으며, 또한 이 건축물에서는 어떤 새로운 구조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지 완벽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알게 되었습니다. 교통센터의 3차원형태를 해결하기위한 컴퓨터모델링시스템, 클레딩시스템, 그리고 다양한 강재들, 여러 가지 하중에 적절하게 저항하기위한 구조시스템에 대한 지식도 얻게 되었습니다.
교통센터의 독특하고 미려한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시작한 이번 조사는, 이 건축물이 디자인만이 아닌 구조시스템에서도 최신기술이 활용된 우수한 건축물임을 알게 된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참고 자료 & 사이트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 건설지-2세트, 인천국제공항공사, 2001
■www.airport.or.kr
-인천국제공항공사 홈페이지
■www.samoo.co.kr
-삼우설계 홈페이지
■www.pluszine.co.kr
-'플러스‘건축잡지 ’홈페이지
추천자료
바우하우스와 현대 디자인
바우하우스가 현대 디자인에 미친영향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환경을 생각한 디자인
종묘공원 - 외부공간디자인, 계획, 사진, 요약
중세 르네상스 양식의 실내디자인 -팔라디오 작품
건축가 로버트 벤츄리(벤투리)의 약력, 건축가 로버트 벤츄리(벤투리)의 저서, 건축가 로버트...
건축가 쥬제페 테라니(주세페 테라니)의 업적, 건축가 쥬제페 테라니(주세페 테라니)와 합리...
아파트의 발전배경과 동향, 주상복합 아파트의 의의, 주상복합 아파트의 역사, 주상복합 아파...
현대카드 마케팅전략분석 및 현대카드 디자인경영사례분석과 현대카드 POLC전략 분석과 나의 ...
[디자인사] 서양 - 미술사 {선사(구석기 미술), 메소포타미아 / 이집트 / 에게 미술, 그리스 ...
한국과 미국의 디자인과 문화의 비교와 그에 따른 고찰
모더니즘과 한국적 디자인 (1960~1970年代)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