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장 case study - myoma uterine, TVH(문헌고찰 포함)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술장 case study - myoma uterine, TVH(문헌고찰 포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개인력

▣ 수술 전 간호 사정

▣ 수술 중 간호 기록

▣ Operation

▣ Myoma Uterine

▣ 자궁적출술(Hysterectomy)

본문내용

지만, 근종이 크거나 많은 수의 결절이 있을 때는 환자가 아기를 출산할 기회도 희박하고 합병증의 위험도 크므로 자궁절제술을 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 이다.
② 폐경기 전의 부인에게 자궁절제술을 할 경우 난소를 하나 또는 양쪽 모두 남기는 것이 좋다.
③ 보통 모든 근종질환 환자의 경우 95%이상에서 전 자궁절제술을 한다. 그러나 광범위하 게 염증성 질환이나 자궁내막증을 합병증으로 가진 경우에는 부분적 수술로 치료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9. 근종과 임신
근종이 불임증의 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거의 확신되고 있는데, 이것은 큰 자궁근종이 정상임신이나 정상분만을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유섬유종이 수정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므로 불임증의 다른 원인을 규명한 후 확실시 되면 근종절제술을 해야 한다.
근종절제술 후 임신이 되는 빈도는 수술 받지 않고 불임증을 가진 경우보다 훨씬 높은 25∼40%이다. 그러나 근종절제술을 한 부인에 있어서 임신을 보장할 수는 없는데, 그것은 자궁내막강내에 있는 섬유종의 크기와 수, 위치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자궁절제술을 하는 것은 임신을 원할 때에는 심사숙고해야 한다. 과다출혈로 인하여 자궁을 절제해야 할지도 모르므로 수술 전에 환자에게 근종절제술을 약속해서는 안되며, 환자의 요구를 최대한으로 따르겠지만 최종결정은 주치의를 따라야 한다.
▣ 자궁적출술(Hysterectomy)
1. 자궁적출술의 종류에 따른 정의
1) 복식자궁적출술(abdominal)
① 부분 자궁적출술 -자궁의 저부는 제거되나 경부는 남겨둔다.
② 전 자궁적출술 - 자궁 전체를 제거하는 것으로 난관과 난소는 남긴다.
③ 난관과 난소적출술과 함께 하는 전 자궁적출술 -자궁과 난관, 난소 전체를 제거한다.
2) 질식자궁적출술(vaginal)
① 경부와 질을 통한 자궁 제거로 경부는 남긴다.
질식자궁적출술
복식자궁적출술
적응증
질이완, 자궁탈 및 요실금, 탈장 등이 동반된 경우자궁이 크지 않고 유동성이 있는 경우 시행
자궁의 유동성이 제한된 경우, 골반 내 유착이 있는 경우, 부인과 악성 질환이 있는 경우, 골반 또는 복강 내 이상유무의 확인, 악성질환의 치료 등
장점
① 수술시간이 짧고 복부에 수술흔적이 전혀 없다.
② 수술 후 통증이 개복술에 비해 적고 출혈량도 적으며 조기보행이 가능하여 회복이 빠르다.
③ 복식에 비해 합병증이 적다.
① 과거부터 하던 방법이다.
② 질식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다
단점
① 자궁이 크거나, 과거 수술을 받아 배 안에 유착이 있는 경우 위험하다.
② 난소등에 혹이 있어 동시에 수술을 하여야 하는 경우 수술이 불가능하다.
③ 맹장등 다른 수술을 동시에 할 수가 없다.
① 배에 흉터가 크게 남는다.
② 수술후 통증이 심하다.
③ 입원 기간이 7-10 일 정도 걸린다.
④ 회복기간이 길다.
⑤ 수술후 배 안의 유착(수술 부위나 장들이 수술후 서로 달라 붙는 것) 이 올 수 있다.
2. 복식 & 질식의 차이와 장단점
3. 자궁절제술시의 처치 및 care
1) 수술 전 처치 및 care
질검진 혹은 신체검진
검사실 검사(혈액검사, 혈액형, 소변검사)
흉부 X-ray검사
심전도
수술후 일반적 처치에 대한 교육(체위변경, 기침, 심호흡)
수동적 혹은 능동적 하지운동
조기 이상의 필요성 교육
동통완화 방법 교육
수술 전날 밤 12시 이후부터 금식
필요시 관장
필요시 질세척
필요시 복부, 치구, 회음부의 삭모
메이크업이나 손톱의 메니큐어 제거
안경, 콘택트렌즈, 의치 등 제거
명찰 착용, 수술을 위한 서명
수술 전 방광을 비움
2) 수술 후 처치 및 care
안정될 때까지 15분 간격으로 활력징후 감시 : 안정되면 48시간 동안 4시간마다 감시
기도유지
체위변경, 기침, 심호흡 : 24시간 동안 2시간마다 손이나 베개를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지지해 준다.
하지운동 : 걸을 때까지 2∼4시간마다 운동시킴.
출혈여부 사정
복부드레싱이나 절개부위 사정
회음패드 수 확인 (질출혈은 보통 경미함.)
장움직임 청취, 장기능 상태 사정
I/O check : 수술 후 정체배뇨관은 24시간까지 꽃아 둘 수 있다. 질식자궁절제술을 받 은 경우 배뇨관을 제거한 후 소변 정체가 문제가 될 수 있다.
감염증후 사정 : 복부나 질의 절개 부위
합병증 증후 관찰
복식자궁절제술의 경우 : 수술부위 파열, 폐전색, 정맥염, 폐렴, 장폐색
질식자궁절제술의 경우 : 비뇨기계 감염, 소변정체, 상처부위 감염
동통완화 : 첫 24시간 동안에는 환자 자신이 조절할 수 있는 진통제 주입, 그 후 경구용 진통제 투여, 약물 이외의 동통완화법으로 호흡법, 이완운동, 자세변경, 복부의 hot bag 적용, 회음부에 얼음팩 이용, 좌욕 등
심리적 측면의 사정
우울이나 다른 정서적 반응을 사정
지지체계를 사정
성에 대한 걱정을 사정
3) 자궁절제술이나 근종절제술을 받은 여성을 위한 가정간호
조직의 회복을 위해 단백질, 철분, 비타민C가 많은 음식, 섬유질이 많은 음식, 매일 6~8 컵의 물을 섭취한다.
피곤할 때 자주 휴식한다. : 허용되는 편안한 수준의 활동을 한다.
6주 동안은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으며 오랫동안 서 있지 않도록 주의한다.
편안할 때까지 운전을 하지 않는다.
통목욕, 성교, 질세척은 추후 검진을 받을 때까지 하지 않는다.
다음의 증상이 있을 경우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자에게 알린다. : 질출혈, 위장계 기능 변 화, 수술 후 지속적인 증상(경련, 팽만, 배변습관의 변화) 상처감염(절개 부위의 발적, 부 어오름, 발열, 동통)
추후검진을 위한 약속시간을 반드시 지킨다.
4) 수술 후 합병증
급성합병증
출혈, 누공(요관 질 누공, 방광 질 누공), 폐색전증, 소장폐쇄, 발혈성 이환증
아급성 합병증
방광기능장애, 림프 낭종
만성합병증
방광기능 저하증
방광 무긴장증
요관 협착
▣ 참고문헌
·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01. p1287-1298
·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1999. p1220-1223
· 모성간호학 하. 현문사. p945-957
· http://medcity.com/jilbyung/jakunkjong.html
· 부인과학, 군자출판사
·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4.08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7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