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청소년복지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행청소년복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비행청소년의 정의 및 유형
1. 청소년 비행의 정의
2. 비행청소년의 유형
1) 폭력비행
2) 성비행
3) 가출
4) 약물비행

청소년 비행의 원인 및 특징
1. 청소년 비행의 원인론
1) 개인내적 조건 이론
2) 사회구조 지향이론
3) 사회과정 지향이론
2. 청소년 비행의 원인
1) 가족적 차원
2) 사회적 환경
3) 학교 교육
4) 청소년 자신의 문제
5) 친구
6) 사이버 환경
3. 청소년 범죄나 비행의 특징

비행청소년을 위한 시설과 프로그램
1. 시설의 종류
2. 프로그램
1) 개별 접근적 프로그램
2) 집단 접근적 프로그램

해결책 및 대안
◎ 비행청소년 문제에 대한 사회복지 차원의 해결방안
1) 제도적 청소년 복지
2) 보완적 청소년 복지

기관 방문

*참고자료

본문내용

성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청소년의 유해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규제와 감시를 위한 조례가 제정되어야 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집행하는 정책이 마련되어야한다. 청소년들에게 술과 담배를 파는 행위, 음란성 물품을 배포하거나 공공연한 장소에 부착하는 행위는 미래 사회의 공적으로 엄중히 처벌되어야 한다. 청소년들이 비행에 쉽게 유혹되는 것을 막기 위해 청소년 비행의 예방을 학교나 가정에만 맡겨서는 안되며, 학교가 열린 시간에 거리를 배회하는 청소년들에 대한 경찰이나 관련 공무원의 개입도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2) 보완적 청소년 복지 - 비행청소년을 사후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으로 특히 교정복지란 범죄인이나 비행청소년을 개선 및 교화시킴으로써 재범을 방지 하고 사회복귀를 도모하기 위한 공공 및 민간 차원의 조직적 전문활동이다. 교정사업은..
첫째, 전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정학 또는 교정복지를 전공한 이력을 활용하여 전문적인 기법을 통한 치료적 개입으로 비행청소년의 재활을 도와야 한다.
둘째, 교정의 개별화가 필요하다. 비행청소년들을 격리시키거나 구금하는 것 위주의 획일적 처우보다는 청소년 개인의 다양한 성격과 상황, 비행동기에 따라 개별화된 교정사업을 위해서는 행동과학적 전문지식과 관찰, 청소년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근거한 과학적 분류심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교정의 사회화가 필요하다. 교정은 시설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보다 탈시설화를 통하여 공개적이고 민간의 참여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비행청소년의 교화과정에서 일반사회와 유사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청소년 비행은 구조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이 상황에 따라 상호작용하며 형성되는 문제이다. 현대사회에서 심각성이 나날이 커져가고 있는 비행 청소년 무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통한 예방이 중요하다. 사후처리보다는 예방을 통해, 이미 일을 그르친 뒤에는 뉘우쳐도 소용없다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식의 과정을 되풀이하지 않아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종합복지관, 부녀회관이나 상담소, 아동상담소 혹은 아동복지관, 청소년 상담소 혹은 청소년 회관 등에서 가족상담, 부모훈련사업을 활성화하는 가족상담사업의 활성화, 보호관찰의 수를 늘리고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며 보호관찰관 뿐 아니라 보호위원의 수와 자질을 향상시키는 보호관찰의 질적 수준의 향상, 빈곤으로 인한 비행을 예방하기 위해 빈곤가족에 대한 공공부조를 강화하고 현실적인 주거대책을 마련하는 빈곤청소년 가족에 대한 지원, 텔레비전, 영화, 잡지, 신문 등 대중매체 속의 범죄적, 폭력적 내용은 청소년 범죄행위에 영향을 미치며 음란, 비디오, 도색잡지, 음란폭력만화 등도 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매스컴의 교육기능을 강화하여 청소년 선도프로그램을 제작, 활용하며, 건강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 홍보활동에 주력하는 건강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 홍보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우리 모두는 그 동안 청소년 문제를 지나치게 개인과 가정의 문제로만 돌려왔음을 반성해야 한다. 청소년의 인성 형성의 과정을 생각할 때 또한 청소년이 우리 모두가 살아갈 미래사회의 주인공이라는 점을 생각할 때 이와 같은 책임 전가는 모든 정책 입안자와 시민들이 뇌리에서 사라져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비행 청소년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한 낙인의 자세를 버리고 열린 마음으로 그들을 수용하여 앞으로 다가올 사회를 전향적으로 발전시켜 복지사회 건설에 한걸음 다가서야 할 것이다.
기관 방문
대구시 청소년 쉼터
· 대상 : 가출청소년 - 가정폭력, 학대, 방임 등에 의해 습관적으로 밖을 나오는 아이들을 대상(주로 10대를 대상으로 하며 그 범위가 포괄적이고 다양)
· 특징 : 일시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단기쉼터(서류상 2주, 비공식적으로는 1달∼3달)
구성 - worker : 소장, 부장, 상담원 2명(규정된 인원 또는 최소한의 인원은 3명)
client : 8∼10명(서류상 10명, 적정인원은 8명)
재정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 YMCA자부담 + 후원
· 현황/실태 : 입소전 아이들의 생활 - 친구집, 쪽방 또는 노숙
구걸, 삥뜯기 또는 전단지 아르바이트
쉼터로 오는 경로 - 자발적〉강제적(구청, 시청, 경찰서〉부모님)
여성〉남성(여성을 위한 쉼터가 2배정도 多)
여름〉겨울
재입소율
· 프로그램 : 처음에는 intake(1주에 2번정도 개인상담)
집단상담, 거리상담, 미술치료, 글쓰기, 심리검사, 야외활동, 문화활동, 캠프 등
· 문제점 : 출발의 상태, 홍보가 부족
운영 - 예산부족 : 재정적 어려움이 多
시설부족 : 시에서 건물을 내주지 않음
시설이 낡음(안정적 ,쾌적성 , 협소한 공간)
대구시내에서의 청소년 쉼터는 단 2군데
인력부족 : 자원봉사자가 턱없이 부족한 상태
변수가 多 지속적인 프로그램 진행이 어려움
아이들의 문제 - 담배와 술은 기본적(반면, 본드흡연은 감소)
무기력, 방치 등으로 인한 쉼터병 발생
생활상의 문제가 많음
ex) 작은인원내에서도 왕따가 발생하여 마찰이 생김
부모님의 문제 - 부모와의 갈등이 가장 심각
부모와의 상담이 어려운 실정
그림
*참고자료
노혁..청소년복지론(2002)..대학출판사.
홍봉선·남미애..청소년복지론(2000)..양서원
김향초..가출청소년의 이해와 개입방법..나눔의집
김원중..청소년 성문제의 이해와 지도
오영재..(뉴밀레니엄 시대의)청소년복지론(2001)..양지.
현도사회복지대학교 교수 정은..청소년 성문제 사례연구..꽃동네
신라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교육학 박사 정홍섭..청소년 육성과 선도
청소년 상담소 자료
한국 성과학 연구소 자료
http://e3joon.hihome.com/non5.htm
http://myhome.hanafos.com/~dgymca/
http://www.drugkiller.or.kr/
http://www.inyouth.or.kr/link/link_main_3.htm
http://hanireporter.hani.co.kr/section-014005000/2001/014005000200103201717006.htm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04.10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