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M과 SPICE에 대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MM과 SPICE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CMM(Capability Maturity Model)
1-1. CMM 개요
1-2. CMM의 구성
1-3. 국내 업체 현황
1-4. 결론

2. SPICE(Software Process Improvement & Capability dEtermination)
2-1. SPICE의 개요
2-2. SPICE 의 구성과 내용
2-3 SPICE의 발전 방향

본문내용

le process
PA 4.1 Measurement attribute
: 프로세스 측정
PA 4.2 Process control attribute
: 프로세스의 정량적인 관리
Level 5
Optimizing process
PA 5.1 Process change attribute
: 조직 전체 level에서의 프로세스 변화의 효과성 및 영향분석 평가
PA 5.2 Continuous improvement attribute
: 프로젝트 level에서의 변화의 효과성 및 영향분석 평가
(그림 1)에서 본 바와 같이, 프로세스 능력 수준은 0에서부터 5까지의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스 능력 수준은 각 Level별 프로세스 Attributes(PAs)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각각의 능력수준별 프로세스 Attributes(PA)은 <표1>과 같으며, 각각의 능력수준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Level 0, Incomplete: 프로세스의 목적 달성에 전반적으로 실패하는 상태이다. 프로세스의 결과물인 Work Product(WP)가 거의 없거나, 쉽게 식별이 안 되는 수준을 말한다.
- Level 1, Performed: 프로세스의 목적이 전반적으로 달성되나, 적극적으로 계획되거나 추적되지 않는 상태이다. 식별 가능한 Work Product(WP)가 존재하며 프로세스의 목적을 달성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수준이다.
- Level 2, Managed: 프로세스가 명시된 절차에 따라 WP를 산출하고, 프로세스가 계획되고 추적되는 상태를 말한다. 여기에서의 WP는 표준과 요구사항을 따르며, Level 1과의 차이점은 계획된 일정과 자원 내에서 품질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WP를 산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 Level 3, Established: “정의된 프로세스(Defined Process)”를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관리하는 상태이다. 정의된 프로세스는 good S/W process engineering principles에 근거하고 정의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원이 마련된다. 각 프로세스의 구현 시에는 승인되고 조정된(tailored) 표준과 문서화된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Level 2와의 차이점은 정의된 프로세스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 Level 4, Predictable: 정의된 프로세스가 일정한 통제범위(Control Limits)내에서 일관되게 수행되는 상태이다. 수행결과의 자세한 측정값이 수집되고 분석되며 수행상태가 정량적으로 관리된다. Level 3과의 차이점은 프로세스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세스가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일관되게 수행된다는 것이다.
- Level 5, Optimizing: 현재 및 미래의 사업 needs에 맞게 프로세스가 최적화되게 변경되어, 정의된 사업목표를 계속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상태이다. 사업목표에 근거하여 프로세스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정량적 목표를 확립하고, 정량적인 피드백을 통하여 목표에 대한 지속적인 프로세스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결과 분석을 통해 지속적인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수준이다. Level 4와의 차이점은 현재 및 미래의 사업목표를 효과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해 프로세스가 동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다. 프로세스 능력 수준의 결정
ISO/IEC 15504 심사는 Organization Unit(OU)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OU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책임지고 지원하는 조직 전체 또는 일부분을 말한다. 심사 시에 피 심사 조직은 사업목적과 관련된 프로세스들의 일부만을 선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대상 조직 내의 프로세스 차원에 있는 모든 프로세스들을 심사할 필요는 없다.
각 프로세스의 능력수준은 각 수준별 Process Attributes(PA)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대상 프로세스가 Level 1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PA 1.1(Process Performance Attribute)에 의한 rating을 결정해야만 한다. 능력수준 Level 1을 받는 데 실패한 프로세스는 Level 0에 해당한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Level 2에서 Level 5까지는 각각 두 개의 PA를 갖는다.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Process Attribute(PA)는 ISO/IEC 15504: Part 2에서 정의된 attribute의 실행 정도에 따라서 F(Fully), L(Largely), P(Partially), 혹은 N(Not achieved) 등의 rating으로 측정된다. 한 프로세스가 능력수준 K의 PA들은 F 혹은 L까지 만족해야 한다. 이러한 rating기법은 <표3>에 표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로세스가 Level 3의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PA 1.1,PA 2.1과 PA 2.2는 F rating, PA 3.1과 PA 3.2는 F혹은 L rating을 받아야만 한다.
2-3 SPICE의 발전 방향
SPICE는 ISO 12207 생명주기 표준을 토대로 하고 CMM, Bootstrap과 같은 표준을 참조하여 제정하여 현재 TR15504를 확정하고 심사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1~2년 안에 제정되는 ISO 15504는 ISO 15288을 생명주기 표준으로 하여 모든 시스템 제품과 서비스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여 수준을 평가하고 개선방법을 찾아주게 된다. ISO 9001, 9126, CMM과 같은 표준들을 참조모델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정하고 있다. 이러한 비전을 실행하기 위해서 SPICE Network, Research, 그리고 벤치마킹의 세가지 파트너로 나누어서 발전시키려는 시도는 모든 사람들이 쉽게 SPICE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KSPICE는 SPICE 표준제정과 심사 Trials의 DB축적, 그리고 현재에도 3가지 파트너에 전문가가 참여하여 공헌하고 있다.
국제 표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책임과 의무를 다함으로써 세계의 인정을 받을 수 있고 이러한 여건 하에서 만들어진 한국의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모든 한국 제품과 서비스의 수준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될 것이다.

키워드

cmm,   spice,   국내,   업체,   현황,   개용,   구성,   요소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4.1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