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설치된 강제 지주를 제거하고, 영구적인 보수가 될 수 있는 프스트텐션 케이블을 설치하는데 합의를 하였다. 라이트 설계의 주요점은 캔티레버로서 지주를 받쳐 놓는다는 것은 그것 자체가 실패작의 의미를 갖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영구적인 보강법의 설계는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는 로버트 실먼社가 맡는다고 한다. 강케이블은 건물의 주부재인 보의 양측을 따라 설치되고, 처짐이 없는 상태, 즉 당초 거푸집을 제거했을 때의상태까지케이블을 긴장할 것이다. 이 보수보강공사의 비용은 공공재원이 아닌 민간차원에서 조성된 복구기금이라고 한다.
▶ 낙수장에서 수직-수평의 적용
우선, 수평적 요소로써의 적용은 아까 말했듯이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로 층을 나누면서 그 기준면이 나오게 된다.
낙수장같은 경우에는 대지가 평판하지 못하다. 그래서 프랭크는 대지의 높낮이에 따라 층을 달리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그래서 계단으로 이어진 각 층의 천장은 밖과 연관되어 이어지며, 자연과 하나가 되어 이상적인 모양을 이룬다. 그리고 고가평면, 즉 지붕은 평처마를 이루고 있는 듯 보인다.
낙수장의 특징적인 요소로는 내외부 공간이 원만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그의 유기건축이 말을 해 주듯이 각 실은 연속되어있고 자연과도 자연스럽게 접하고 있다.
물론 지금은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고있긴 하지만 그 시대에 파격적인 켄틸레버 구조를 선보이며 구조적인 조형성도 갖추어진 작품이었다.
▶ 조사 후기
아직 건축에 대하여 아는 것이 거의 없는상태에서 유명 건축물을 논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
자료 조사와 작품에대한 이해만 해도 꽤 많은 시간을 투자할 정도였으니..
그렇지만 그만큼 많은 것을 배우고 좋은 경험을 한것같다.
낙수장이라는 유명 건축물과 프랭크 로이드라이트라는 유명건축가에대해 좀더 많이 알 수 있는 시간을 가졌고,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 - 수직ㆍ수평선에서의 건축물, 그리고 그것과 자연의 조화 - 라는 새로운 문제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좋은 계기였다.
수업시간에 듣고 배우기만 하던 것과는 또 다른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왔으니까...
4대 거장이라는 명칭이 붙는 라이트의 건축물에 구조학적인 문제가 생겼다는 것 역시 충격이었다.
기술이나 지식의 부족 때문인지, 아니면 자신의 독단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번 과제와는 무관한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그것을 보면서 건축가로써의 자질..처음에 교수님이 말씀하신..에 대해서도 다시한번 생각 할 수 있었다.
이 영구적인 보강법의 설계는 뉴욕에 본사를 두고 있는 로버트 실먼社가 맡는다고 한다. 강케이블은 건물의 주부재인 보의 양측을 따라 설치되고, 처짐이 없는 상태, 즉 당초 거푸집을 제거했을 때의상태까지케이블을 긴장할 것이다. 이 보수보강공사의 비용은 공공재원이 아닌 민간차원에서 조성된 복구기금이라고 한다.
▶ 낙수장에서 수직-수평의 적용
우선, 수평적 요소로써의 적용은 아까 말했듯이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로 층을 나누면서 그 기준면이 나오게 된다.
낙수장같은 경우에는 대지가 평판하지 못하다. 그래서 프랭크는 대지의 높낮이에 따라 층을 달리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그래서 계단으로 이어진 각 층의 천장은 밖과 연관되어 이어지며, 자연과 하나가 되어 이상적인 모양을 이룬다. 그리고 고가평면, 즉 지붕은 평처마를 이루고 있는 듯 보인다.
낙수장의 특징적인 요소로는 내외부 공간이 원만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그의 유기건축이 말을 해 주듯이 각 실은 연속되어있고 자연과도 자연스럽게 접하고 있다.
물론 지금은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고있긴 하지만 그 시대에 파격적인 켄틸레버 구조를 선보이며 구조적인 조형성도 갖추어진 작품이었다.
▶ 조사 후기
아직 건축에 대하여 아는 것이 거의 없는상태에서 유명 건축물을 논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
자료 조사와 작품에대한 이해만 해도 꽤 많은 시간을 투자할 정도였으니..
그렇지만 그만큼 많은 것을 배우고 좋은 경험을 한것같다.
낙수장이라는 유명 건축물과 프랭크 로이드라이트라는 유명건축가에대해 좀더 많이 알 수 있는 시간을 가졌고,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 - 수직ㆍ수평선에서의 건축물, 그리고 그것과 자연의 조화 - 라는 새로운 문제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좋은 계기였다.
수업시간에 듣고 배우기만 하던 것과는 또 다른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왔으니까...
4대 거장이라는 명칭이 붙는 라이트의 건축물에 구조학적인 문제가 생겼다는 것 역시 충격이었다.
기술이나 지식의 부족 때문인지, 아니면 자신의 독단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번 과제와는 무관한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그것을 보면서 건축가로써의 자질..처음에 교수님이 말씀하신..에 대해서도 다시한번 생각 할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