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열역학의 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온도계

2.에어컨

3.냉장고

본문내용

다. 하지만 14비트 바이트라 할지라도 마지막에서 일어나는 연속적인 1은 막을 수 없는데, 이는 하나가 1로 끝나고 다른 하나가 1로 시작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3개의 머징(merging) 비트들이 바이트들 사이에 놓여지게 된다. 이래서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8비트 바이트들이 CD-ROM에서는 17채널 비트를 필요로 하게 된다.
손에 알코올을 묻히고 입으로 불면 차갑게 느껴지는데,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 바로 전기냉장고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지금부터 3, 40년쯤 전에 냉장고가 처음 선을 보였다.
냉장고는 열을 이동시키는 기계라 할 수 있다. 냉장고 안의 열을 밖으로 보내서 내부를 냉장시키는 것이다.
냉장고의 원리를 보자, 냉장고 바닥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스가 뒤쪽의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다시 '모세관'을 지나면 저온·저압 액화가스가 된다. 이 액화가스는 '증발기'에서 기체로 변하는데 이때 열을 대량으로 빼앗아 냉장고 내부 온도를 급격히 떨어뜨리는 것이다.냉매 가스는 다시 압축기로 되돌아가면서 이 동작을 되풀이 하여 냉장고의 온도를 차갑게 유지한다.열을 이동하는 '냉매'는 주로 프레온가스를 사용한다. 프레온가스는 오존층을 파괴하여 대기오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는 가스개발이 한창이다.
냉장고 안에 하얀 성에가 끼기 쉬운데 이는 냉장식품의 습기 때문이다. 증발기에 끼는 성에는 열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즉시 제거해 주어야 한다. 보통 성에를 제거할 때는 전열 히터와 압축기의 열로 증발기를 덥혀서 녹인다.
냉장고는 에어컨 기능을 갖지 않는다. 굳이 에어컨 역할을 하게 하려면 냉장고 문을 방 안쪽으로 열어두고, 뒤쪽을 창 밖으로 향하게 해서 열이 한쪽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면 되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다.전기냉장고는 대부분 냉장과 냉동을 겸한 '냉동 냉장고'이다. 냉장실의 온도는 10∼0℃이고, 냉동실은 -15℃-20℃정도로서 서로 구분되어 있다.냉각 방식은 '가스압축식'이 일반적인데 '흡수식'이나 '전자식'을 쓰기도 한다.'흡수식' 냉장고는 열을 가할수록 차가워지는 암모니아의 상태 변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전자식' 냉장고는 '펠티에(Peltier) 효과', 즉 서로 다른 두 금속을 접합시켜 전류를 통하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접합부가 뜨거워지거나 냉각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 두 방식 모두 압축기가 없어 조용하다는 큰 장점을 갖고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4.13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