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언어학적 및 전략적 말하기능력을 위한 담화분석 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기

2. 사회언어학적 및 전략적 능력 연구
2.1 제2언어 학습에서 사회언어학적 능력 및 전략적 능력의 중요성
2.2 한국어교육계에서의 사회언어학적 및 전략적 능력 연구 동향

3. 언어교수/학습에 대한 담화적 차원 접근
3.1 제2언어 교수/학습과 담화 분석
3.2 담화 분석자로서의 학습자(Learner as Discourse Analyst)
3.3 학습자를 위한 담화분석 방법의 과정
3.4 담화분석의 각 단계별 구성

4. 실제 수업 모형
4.1 간투사와 청자 반응 신호
4.2 실제 수업 모형

5.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경우), 교사는 학생들이 상황 역할 Ⅰ과 상황 역할 Ⅱ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1) 자기 평가(self-evaluation)
학습자들은 앞서 제시되었던 간투사와 청자반응신호에 대한 항목들을 바탕으로 자신이 행한 상황 역할극에서 자신의 발화를 관찰, 그 차이점을 분석해 보도록 한다.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자기 평가지(self-evaluation sheet)를 나누어주고 두 번에 걸친 상황 역할극을 비교, 정리하도록 한다.
(2) 동료 평가(peer-evaluation)
자신의 발화에 대한 분석이 끝나면 두 번에 걸친 상황 역할극에서 자신의 짝의 발화를 관찰, 그 차이점을 분석하도록 한다. 이것이 끝나면 짝에게 자신이 작성한 짝의 평가지를 주고 서로 토론하게 한다.
이러한 다양한 평가법은 비교와 토론을 통해 '말'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높이고, 미처 자신이 발견하지 못했던 자신의 말하기에 대한 여러 가지 점들을 인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5. 맺음말
앞장에서 두 가지 담화표지의 사회언어학적, 전략적 면에 초점을 둔 담화분석을 이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유의할 점 몇 가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는 녹화 또는 녹음 테입을 제시할 때는 맥락 즉, 대화가 이루어지는 세팅, 대화자들간의 관계, 대화자들의 나이 및 성별, (때에 따라서 직업) 등에 대한 정보가 모두 명확히 파악되어야 한다. 이는 대화의 사회언어학적인 면으로의 접근을 위해서 기본으로 다루어져야 할 요소들이기 때문이다. 둘째, 대화 운용상에서 '의미협상'적인 면에 보다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라면, 원어민-비원어민 화자간의 대화 상황도 효과적일 것일 것이다. 두 화자간의 언어 능력의 차이가 클수록, 그리고 사회문화적 차이가 클수록 많은 의미협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대화자들의 전략적인 대화 운용을 잘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앞선 모형에서는 두 가지 담화표지에 제한하였지만, 그밖에도 담화분석의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서 사회언어학적, 전략적인 면을 살펴볼 수 있는 대화의 특질들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대화 참여 구조에 대한 접근도 문화적인 면, 대화 운용의 전략적인 면을 인식하는 데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이는 대화가 이루어지는 셋팅(사적 대화, 공식적 대화)에 따른 대화 참여 태도 및 대화 운용에 대한 학습뿐만 아니라, 앞서 지적했던 바대로 중복(overlap)의 경우 문화에 따라 그 인식이 크게 다르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후 한국어 원어민과의 대화에서 학습자들이 취할 대화 참여의 태도를 학습하는 것에도 효과적일 것이다.
지금까지 학습자들의 사회언어학적 및 전략적 말하기 능력의 배양을 위한 담화분석 적용의 한 방법으로서 '학습자 담화분석가' 활동을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은 이 활동을 통해서 언어란 무엇이고 다양한 맥락 속에서 의사소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그 언어가 어떻게 적절하게, 전략적으로 사용되는지를 직접 탐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교실이라는 일률적이고 제한된 공간 속에서도 교실 밖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목표어의 다양한 면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새로운 언어학습환경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정숙(1998), "과제수행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교육 방법론," 한국어교육, 95-112쪽.
김정숙·원진숙(1993),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이중언어학회 10, 24-33쪽.
박영준(2000),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문화적 어휘·표현의 교육," 한국어교육 11-2, 89-110쪽.
조항록(1998), "한국어 고급과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 9-2, 223-238쪽.
조항록·강승혜(2001), "초급단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수 요목의 개발 (1)," 한국어교육 12-2, 491-510쪽.
지수용(2000), "중국인을 위한 문화도입식 한국어 교수법 연구," 한국어교육 11-2, 160-188쪽.
진제희(2000),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전략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경자 외(2001), 응용언어학 사전, 경진문화사
Celce-Murcia, M. & Olshtain, E(2001), Discourse and contex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 2-28쪽, 164-181쪽.
Duranti, A. & Goodwin, C(1992), "Rethinking context: an introduction," In: A. Duranti & C. Goodwin (Eds.), Rethinking Context. Language as an Interactive Phenomenon,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 1-42쪽.
Fraser, Bruce(1999), "What are discourse markers?," Journal of Pragmatics 31, 931-952쪽.
Hatch, Evelyn(2000), Discourse and language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4쪽.
Jucker, A. H. & Ziv, Y.(1998), "Discourse markers: Introduction," In A.H. Jucker & Y. Ziv (Eds.), Discourse Markers - Description and Theory, John Benjamin, 1- 12쪽.
Norrick, N. R.(2001), "Discourse markers in oral narrative," Journal of Pragmatics 33, 849-878쪽.
Shiffrin, Deborah(1987), Discourse Mark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 72쪽.
_______________(1994), Approach to Dicourse, Oxford: Blackwell, 20-43쪽, 386-419쪽.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4.1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9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