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현대 대중음악의 전체적인 평
2. 돈에 얽힌 한국 가수
3. 아티스트의 의미와 한국에서 아티스트라 평할 수 있는 가수가 있는가!
4. 단기적 목표와 장기적 목표
5. 싱어와 싱어송 라이터
6. 돈에 급급한 한국의 기획사 사장들
7. 사라져간 아이돌 그룹의 대표 HOT
8. 우리나라 순위프로그램과 빌보드의 비교.
9. 방송국의 모순
10.한국의 열성팬들
11. 요즘의 칭찬해 주어야할 가수와 그룹
12. 권력과 대중음악
13. 표절
2. 돈에 얽힌 한국 가수
3. 아티스트의 의미와 한국에서 아티스트라 평할 수 있는 가수가 있는가!
4. 단기적 목표와 장기적 목표
5. 싱어와 싱어송 라이터
6. 돈에 급급한 한국의 기획사 사장들
7. 사라져간 아이돌 그룹의 대표 HOT
8. 우리나라 순위프로그램과 빌보드의 비교.
9. 방송국의 모순
10.한국의 열성팬들
11. 요즘의 칭찬해 주어야할 가수와 그룹
12. 권력과 대중음악
13. 표절
본문내용
욕설이 들어간 실험적인 노랫말로 우리나라에 지금까지 붐을 일으켰던 장본인이지만 그의 노랫말에는 풍부한 비판이 담겨져 있다. 사랑타령만 하는 작금의 가수들과는 틀리다. 1집은 실험적 음반, 2집은 대중성을 탔지만 매니아들에게는 적잖이 욕을 먹은 음반 3집은 다시 그의 스타일로 복귀하여 필자의 느낌으로 하여금 최고라고 평가 받게 했다. 그의 4집이 나왔다. 하지만... 요번음반은 애석하게도 그가 프로듀싱하지 않았다. 그의 냄새가 많이 사라졌다. 요번앨범이 비록 별로였지만 그의 부활을 감히 예감해 보겠다. 이상이 필자가 칭찬하고픈 가수였다. 비록 더 있지만 많은 지식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아쉽게도 마무리하려 한다.
12. 권력과 대중음악
필자는 독자의 시각을 보고 참으로 의아하게 생각을 했다. 지금이 모 박정희나 전두환 시대인가? 과연 권력이 대중음악에도 영향을 미칠까 하고 생각해 보았다. 언론이 검열을 받는것처럼 가수가 자신의 진로를 결정할때 권력자의 검사를 맡아야 하는가? 만약에 그러한 사실이 진실로 평가된다면 아마도 우리나라만 행할 수 있는 행위란 생각을 해본다. 그런 일이 있어서는 당연히 안된다. 그런데 더욱 이상한 것은 이수만이 무슨 이유로 jtl이라는 그룹의 진출을 방해하는가에 대해서이다. 참으로 이상하지 않은가! 한국의 최고(?) 인기있는 가수들을 데리고 있는 그가 왜 그런 허접(?)들의 진출을 방해하는지 말이다. 모가 두려워서 그러는지 필자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도둑이 제발저려서일까? 뒤가 구린데가 있나? 이부분에 대해서는 필자 자신도 모라 비판할 수가 없지만 만약에 그러한 사실이 있다면 무슨 수를 써서라도 막아야 한다. 그런 것이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의 발전에 걸림돌이 될 게 뻔하기 때문이다.
13. 표절
아는 이들이 많겠지만 한국의 대중음악은 표절한 곡이 정말 많다고 할 수 있다. 팝과 일본음악을 아는 많이 아는 이들은 들어보면 금방 알 수 있다. 미국의 경우 표절이라는 것이 거의 없다. 그들은 샘플링이라는 차원에서 노래의 일정 소절의 부분을 돈을 주고 산다. 하다못해 미국에서 한국의 좋은 곡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라고 하면 반드시 한국가수의 허락을 받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샘플링이라 해도 외국에 가서 돈을 주고 사오는 경우가 있는가? 거의 없다. 그 돈이면 뮤직비디오 한편 더 찍는다는게 보편적인 생각이다. 대표적인 가수 겸 프로듀서로 SM기획의 유영진을 들 수 있다. 그의 곡은 왠만한 건 거의 표절이다. 그런 프로듀서로 인해 곡을 받은 가수들은 팬들에게 욕을 먹는다는 사실을 왜 모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상이 한국 현대대중음악의 흐름에 대한 나의 생각이다. 허접한 부분이 다소 있다. 대충 아는 지식과 모자란 글로 밀어붙인 것 같은 생각이 좀 든다. 한 가지 확실한게 있다면 우리나라는 현실을 직시하여 세계로의 진출을 모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무조건 쫓아가려 한다면 그것도 잘못된 생각이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대중음악 발전에 힘써야 할 것이다.
12. 권력과 대중음악
필자는 독자의 시각을 보고 참으로 의아하게 생각을 했다. 지금이 모 박정희나 전두환 시대인가? 과연 권력이 대중음악에도 영향을 미칠까 하고 생각해 보았다. 언론이 검열을 받는것처럼 가수가 자신의 진로를 결정할때 권력자의 검사를 맡아야 하는가? 만약에 그러한 사실이 진실로 평가된다면 아마도 우리나라만 행할 수 있는 행위란 생각을 해본다. 그런 일이 있어서는 당연히 안된다. 그런데 더욱 이상한 것은 이수만이 무슨 이유로 jtl이라는 그룹의 진출을 방해하는가에 대해서이다. 참으로 이상하지 않은가! 한국의 최고(?) 인기있는 가수들을 데리고 있는 그가 왜 그런 허접(?)들의 진출을 방해하는지 말이다. 모가 두려워서 그러는지 필자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도둑이 제발저려서일까? 뒤가 구린데가 있나? 이부분에 대해서는 필자 자신도 모라 비판할 수가 없지만 만약에 그러한 사실이 있다면 무슨 수를 써서라도 막아야 한다. 그런 것이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의 발전에 걸림돌이 될 게 뻔하기 때문이다.
13. 표절
아는 이들이 많겠지만 한국의 대중음악은 표절한 곡이 정말 많다고 할 수 있다. 팝과 일본음악을 아는 많이 아는 이들은 들어보면 금방 알 수 있다. 미국의 경우 표절이라는 것이 거의 없다. 그들은 샘플링이라는 차원에서 노래의 일정 소절의 부분을 돈을 주고 산다. 하다못해 미국에서 한국의 좋은 곡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라고 하면 반드시 한국가수의 허락을 받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샘플링이라 해도 외국에 가서 돈을 주고 사오는 경우가 있는가? 거의 없다. 그 돈이면 뮤직비디오 한편 더 찍는다는게 보편적인 생각이다. 대표적인 가수 겸 프로듀서로 SM기획의 유영진을 들 수 있다. 그의 곡은 왠만한 건 거의 표절이다. 그런 프로듀서로 인해 곡을 받은 가수들은 팬들에게 욕을 먹는다는 사실을 왜 모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상이 한국 현대대중음악의 흐름에 대한 나의 생각이다. 허접한 부분이 다소 있다. 대충 아는 지식과 모자란 글로 밀어붙인 것 같은 생각이 좀 든다. 한 가지 확실한게 있다면 우리나라는 현실을 직시하여 세계로의 진출을 모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무조건 쫓아가려 한다면 그것도 잘못된 생각이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대중음악 발전에 힘써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아도르노의 대중음악론
스웨덴의 대중음악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현주소
중세의 음악의이해
[대중음악][대중가요][음반산업][음악산업]대중음악(대중가요), 음반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및...
브라질 대중음악의 역사와 변화과정에 관한 고찰
서태지응 통해 본 한국 대중음악의 발전 방향
교회음악의이해
현대_문학과_대중문화
[대중예술의 분류][대중예술의 미학][대중예술 대중음악][대중예술 시각영상][대중예술 대중...
나는 가수다를 통한 대중음악의 비평 및 느낀점
좋아하는 대중음악과 싫어하는 대중음악 분석
[★★표절 문제 해결방안★★] 대중음악 표절 문제의 심각성과 원인 , 전망, 해결방안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