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지체의 정의
정신지체의 분류
Ⅰ. 사회, 심리학적 분류
Ⅱ. 교육적 분류
정신지체의 발생원인
Ⅰ. 출생전 원인 - 선천성 원인
Ⅱ. 출생이후의 원인, 후천성 원인
정신지체아의 발달 특성 가능성
정신지체의 분류
Ⅰ. 사회, 심리학적 분류
Ⅱ. 교육적 분류
정신지체의 발생원인
Ⅰ. 출생전 원인 - 선천성 원인
Ⅱ. 출생이후의 원인, 후천성 원인
정신지체아의 발달 특성 가능성
본문내용
도구사용, 기초능력과 작업습관, 인격적응, 사회환경, 가정에 유용한성원, 매일의 생활환경, 신체와 정신건강훈련, 작업습관
1 4년
중등
13 18
8 12
작업에 관한 지식, 직업훈련과 작업경험, 작업정치, 사회적 적응, 기초적 생활적응, 시민으로서의 적응
3 6년
졸 업 후
16세이상
8 12
사회 및 직업적응, 실제직업기술과 사회기능
3 년
위의 표는 정신지체아의 연령에 따른 발달가능성 [Mainord and Love(1973), Dunn(1963), Allen and Cortazzo(1970), telford and Sawrey(1967)]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국 건강교육 복지성에서는 아래와같이 정신지체아의 발달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단계(CA)
발 달 과 업
학력전기(0 5세)
성 숙 과 발 달
①IQ 20이하(profound)
②IQ 20 35(severe)
③IQ36 52(moderate)
④IQ 53 68(mild)
.감각신경기능의 발달로 양호,보호가 필요.
.발달의 원동력이 빈약하며 훈련에의해 효과를 얻지 못하며 의사소통 능력이 거의 없다.
.말이나 의사소통능력을 배울 수 있다. 사회적 자각이 빈약하며 운동발달은 순조롭다. 신변자립할수 있다.
.사회적 기능 및 의사소통의 발달이 가능, 감각운동의 지체는 가벼움.이 연령단계에서는 정상아와 구별하기 힘듬.
학령기(6 20세)
훈 련 과 교 육
①IQ 20이하
②IQ 20 35
③IQ36 52
④IQ 53 68
.어떤기능의 발달을 보이나 신변자립은 훈련에 의해 도움을 얻을 수 없고 모두 보호를 요함.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수 있고, 건강습관이 훈련되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 文化學習(技術技能)은 배울수 없다. 체계적인 습관의 훈련은 도움을 얻는다.
.특수교육이 주어지면 10대 후반에는 4학년 정도의 교과학습이 가능하다.
.10대 후반까지 약6학년 수준의 문자기능을 학습할수 있으나 일반 중등 학교의 학습은 불가능함. 중등학교 수준에서 특히 특수교육이 요구됨
성인기(21세이상)
사 회 및 직 업 적 적 합 성
①IQ 20이하
②IQ 20 35
③IQ36 52
④IQ 53 68
.자기보존을 완전히 할 수 없고 완전한 보호와 감독을 요함.
.완전한 감독하에서 부분적인 신변처리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통제된 환경내에서 최소한의 신변보호 능력을 기른다.
.비숙련직 반숙련직에서 자기 보존을 할 수 있다. 가벼운 사회적, 경제적 압박에 서 있을때 생활지도 요함
.적절한 교육과 훈련에 의해 사회적, 직업적 으로 자립. 심한 사회적, 경제적 압박하에 있을때 생활지도를 요함.
훈련가능 정신지체아는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와 같이 특수학급의 교육 계획으로는 효과를 올릴수 없으나, 다음 세가지 면에서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요약된다.
첫째, 식사, 착탈의, 배변, 수면 등과 같은 활동에서는 신변자립이 가능하다.
둘째, 지역사회에서는 곤란하지만 가정내에서나 근린사회에서는 신변자립이 가능하다.
셋째, 보호수용장소나 작업장, 시설 등에서는 유익한 활동이 가능하다.
교육가능 정신지체아는 정신연령의 범위가 8세에서 12세 정도이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지적 교육 계획은 가능하다. 즉 교육 가능 정신지체아는 정신 발달이 지체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학교의 교육에서는 교육효과를 올릴수 없으나 첫째, 읽기, 쓰기, 작문, 산수등의 지적 학습에서는 최소한의 교육 가능성이 있다.
둘째, 지역사회에서 독립생활을 할 수 있는 정도에 이르기까지의 사회 적응력은 있다.
셋째, 장래 생활이 불안정하기는 하나 자활해 갈수 있을큼 최소한의 작업능력은 있다.
그러므로 교육가능성이란 지적교과, 사회성 작업등 모든 면에서 최소한의 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1 4년
중등
13 18
8 12
작업에 관한 지식, 직업훈련과 작업경험, 작업정치, 사회적 적응, 기초적 생활적응, 시민으로서의 적응
3 6년
졸 업 후
16세이상
8 12
사회 및 직업적응, 실제직업기술과 사회기능
3 년
위의 표는 정신지체아의 연령에 따른 발달가능성 [Mainord and Love(1973), Dunn(1963), Allen and Cortazzo(1970), telford and Sawrey(1967)]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국 건강교육 복지성에서는 아래와같이 정신지체아의 발달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단계(CA)
발 달 과 업
학력전기(0 5세)
성 숙 과 발 달
①IQ 20이하(profound)
②IQ 20 35(severe)
③IQ36 52(moderate)
④IQ 53 68(mild)
.감각신경기능의 발달로 양호,보호가 필요.
.발달의 원동력이 빈약하며 훈련에의해 효과를 얻지 못하며 의사소통 능력이 거의 없다.
.말이나 의사소통능력을 배울 수 있다. 사회적 자각이 빈약하며 운동발달은 순조롭다. 신변자립할수 있다.
.사회적 기능 및 의사소통의 발달이 가능, 감각운동의 지체는 가벼움.이 연령단계에서는 정상아와 구별하기 힘듬.
학령기(6 20세)
훈 련 과 교 육
①IQ 20이하
②IQ 20 35
③IQ36 52
④IQ 53 68
.어떤기능의 발달을 보이나 신변자립은 훈련에 의해 도움을 얻을 수 없고 모두 보호를 요함.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수 있고, 건강습관이 훈련되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 文化學習(技術技能)은 배울수 없다. 체계적인 습관의 훈련은 도움을 얻는다.
.특수교육이 주어지면 10대 후반에는 4학년 정도의 교과학습이 가능하다.
.10대 후반까지 약6학년 수준의 문자기능을 학습할수 있으나 일반 중등 학교의 학습은 불가능함. 중등학교 수준에서 특히 특수교육이 요구됨
성인기(21세이상)
사 회 및 직 업 적 적 합 성
①IQ 20이하
②IQ 20 35
③IQ36 52
④IQ 53 68
.자기보존을 완전히 할 수 없고 완전한 보호와 감독을 요함.
.완전한 감독하에서 부분적인 신변처리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통제된 환경내에서 최소한의 신변보호 능력을 기른다.
.비숙련직 반숙련직에서 자기 보존을 할 수 있다. 가벼운 사회적, 경제적 압박에 서 있을때 생활지도 요함
.적절한 교육과 훈련에 의해 사회적, 직업적 으로 자립. 심한 사회적, 경제적 압박하에 있을때 생활지도를 요함.
훈련가능 정신지체아는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와 같이 특수학급의 교육 계획으로는 효과를 올릴수 없으나, 다음 세가지 면에서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요약된다.
첫째, 식사, 착탈의, 배변, 수면 등과 같은 활동에서는 신변자립이 가능하다.
둘째, 지역사회에서는 곤란하지만 가정내에서나 근린사회에서는 신변자립이 가능하다.
셋째, 보호수용장소나 작업장, 시설 등에서는 유익한 활동이 가능하다.
교육가능 정신지체아는 정신연령의 범위가 8세에서 12세 정도이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지적 교육 계획은 가능하다. 즉 교육 가능 정신지체아는 정신 발달이 지체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학교의 교육에서는 교육효과를 올릴수 없으나 첫째, 읽기, 쓰기, 작문, 산수등의 지적 학습에서는 최소한의 교육 가능성이 있다.
둘째, 지역사회에서 독립생활을 할 수 있는 정도에 이르기까지의 사회 적응력은 있다.
셋째, 장래 생활이 불안정하기는 하나 자활해 갈수 있을큼 최소한의 작업능력은 있다.
그러므로 교육가능성이란 지적교과, 사회성 작업등 모든 면에서 최소한의 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추천자료
노인복지법과 장애인 복지 법관련
장애인 복지 법
정신장애인의 사회복지적 접근법
장애인복지정책 '대한민국의 장애인으로 산다는 것'(사회복지).hwp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의 주된 내용과 사회복지법적인의의
장애인의 인권 문제를 사회복지법적 차원에서 조사하여 재출하시오
사회복지법의 목적으로서 사회적 통합, 장애인에 대한 성폭력범죄의 법리적 문제와 입법론적 ...
[사회복지법제론] 우리나라와 외국의 장애인 관련법
사회복지법제론 - 국제법과 사회복지(국제인권규약, 사회보장에 관한 다양한 국제 조약 및 선...
[사회복지와 인권] 정신장애인에 관한 차별 (이슈, 국내법, 국제법, 해외사례, 문제점, 해결...
[장애인 복지론] 장애인 독립 위해 법제도를 실생활에 맞게 변경 적용.
<정신장애인 주거시시설> (정신보건복지, 주거시설 필요성과 종류, 모형, 주거시설원칙, 적용...
[장애인 차별, 차별의 개념, 해결방안] 장애인, 장애인 차별금지법, 장애인의 복지욕구, 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