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병변으로 인한 전반적 발달장애아의 진단보고서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일반적인 정보

2. 배경정보 및 행동관찰
1) 배경정보
2) 행동관찰

3. 진단 내용
1) 진단 도구 및 진단 결과

4. 총체적 언어 능력
(1) 수용언어
(2) 표현언어
(3) 운동능력 및 섭식기능

5. 요약 및 권고

본문내용

-
10. 가정하기
-
11. 선택하기
+
구어 산출은 안됨
선택한 물건에 대해 단지 손을 뻗어 잡으려고 한다.
12. 설명하기
-
13. 끝맺기
-
*대화를 이끄는 능력은 실시하지 못함
③ 검사결과에 따른 치료방향
아동은 의사소통적인 기능/의도에 있어 적절한 반응을 보이지 못했고, 단지 무의미한 소리(울음), 웃는 소리(미소) 등으로 물건 및 행동을 요구하거나 거부하곤 했다. 우선 계 속적인 상호작용(인사하기, 요구하기, 지시하기 등) 훈련에 있어 제스처 모방을 통한 언 어 단계로의 접근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5) 구강 기능 평가
① 검사일:
② 진단 결과
기능
척도
행동반응
턱 닫기
굴곡
1
·깨물기 반사
숟가락을 강하게 깨문다.
능동적으로 놓지 못한다.
빈도
1
식사 시간당 10번 중 7번
숟가락
위에서
입술 다물기
1
식사도구의 접촉에 의해 턱 내밀기나 깨물기 반사가 보인다.
혀 조절
2
삼킬 때 입술 사이에서 수평적으로 앞쪽이나 밖으로 혀를 내민다.
삼키는 동안
입술 다물기
1
삼키는 동안 아래턱/아랫입술의 약한 운동이 보인다.
손실 없이 음식
삼키기

2
50% 손실
빈도
2
10번 중 5번은 과도한 손실
씹기(혀/턱조 절)
2
작은 턱 운동이 있다. 씹는 동안 기능적이지 못하다.
쩝쩝 마시기
(찔끔찔끔)
2
유리컵의 가장자리 쪽으로 약한 아래턱 운동이 보인다.
손실
없이 액체삼키기

2
50% 액체 손실
빈도
2
10번 중 5번은 과도하게 흘림.
기침 없이 음식 삼키기
감성
4
단지 음식의 질감에서만 기침이나 과민 반응이 나타남.
빈도
3
입안에 있을 때의 30% 기침
③ 검사결과에 따른 치료방향
아동은 비정상적인 혀와 하악의 운동으로 인해 씹기와 삼키기 모두에 문제를 보였다. 아동은 식사 도구의 접촉에 비정상적인 깨물기 반사를 보이며, 음식물을 보고 혀를 조 금씩(전체 혀의 1/3 정도) 내밀지만, 삼킬 때, 입술의 움직임과 혀를 뒤쪽으로 가져가는 기능이 떨어져 음식물의 과도한 손실을 보인다. 특히, 고체 음식의 경우는 비정상적인 씹기 패턴으로 구강에서 음식물을 완전히 분해하지 못하고, 삼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선 냉·온 자극을 이용한 구륜근 주변의 마사지와 요플레 및 냉·온 자극을 이용한 혀의 마사지(훈련)를 통해 아동의 혀와 입술의 능동적인 움직임을 유도하고, 이를 바탕 으로 호흡훈련(구·비강 호흡 분리)을 통한 비정상적인 호흡패턴(비강호흡)을 줄여나가 야 할 것이다.
4. 총체적 언어 능력
(1) 수용언어
아동의 수용언어 연령은 REEL검사 결과 5개월로 진단되었다. 아동은 소리나는 물체가 가까이 다가오면 하던 행동을 멈추는 등의 반응을 보이고, 종종 다른 사람의 목소리에 화 자의 얼굴을 쳐다보거나 입술과 입을 봄으로써 반응하기도 하며, 가끔 자신의 이름을 인 식하고, 반응한다. 아동은 소리가 나는 곳으로 머리를 돌릴 수 있고, 화난 목소리를 들으 면 두려워하거나 주의가 산만해지며, 화자의 얼굴을 쳐다보곤 하지만, 활동을 멈추지는 않 는다.
아동은 몸짓이나 말로 하는 지시를 거의 수행할 수 없으며, 컵 사용하기, 공 던지기, 공 넣기는 종종 모방하기도 한다. 아동은 음악이나 노래에 주의를 기울이며, 눈앞에 있다가 사라지는 물체를 눈으로 쫓고, 찾으려고 시도한다.
(2) 표현언어
아동의 표현언어 연령은 REEL검사 결과 3개월로 진단되었다. 아동은 종종 무의미한 모 음 비슷한 음절을 반복하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소리를 내지 않는다. 아동은 자신이 흥 미 있어 하는 활동 중에는 때때로 웃거나 즐거운 소리를 내기도 한다. 아동은 자신이 좋 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지만, 손을 뻗거나 얼굴을 찡그림으 로써 표현하기도 한다. 아동은 치료사가 박수를 치면, 좋아하지만 스스로 박수를 치진 않 는다. (아동이 상대방의 손을 끌어 상대방 손을 치곤 한다.)
(3) 운동능력 및 섭식기능
아동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앉을 수 있고, 기기도 하며, 손을 잡아주면 걷기도 가능하 다. 아동의 섭식에 있어서는 고체 음식의 경우 비정상적인 씹기패턴으로 인해 입안의 음 식물을 완전히 씹지 않은 채 삼키며, 액체 음식의 경우 컵을 사용 시 컵의 가장자리를 자 주 깨물고, 절반 정도의 액체 손실을 보인다. 빨대를 사용하더라도 빠는 힘이 약해 절반 정도의 액체 손실을 보인다.
5. 요약 및 권고
이 아동은 만 3세의 뇌병변으로 인한 전반적인 발달장애 아동이다. 이 아동의 진단 결과, 아동의 언어 능력은 수용언어 5개월, 표현언어 3개월 정도의 수준으로 생활연령에 비해 많 이 지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동의 구강 구조와 기능을 관찰한 결과 구조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큰 문제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혀가 두껍고, 움직임이 둔하여 기능적인 측면에 어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비강호흡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아 연구개 및 인두 의 기능에 있어서도 문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아동은 물체나 사람 그리고, 물체나 사람의 청각적 자극과 목소리에 집중할 수 있지만, 오 랜 시간동안 집중하지는 못하며, 사물을 이용한 모방이나 동작모방이 전혀 되지 않고, 사물 의 기능적 사용, 의사소통 제스처(지적하기, 요구하기, 보여주기 등) 사용도 거의 되지 않는 다. 우선 아동에게 주의 집중력과 기본적인 지시 따르기(주세요, 상자에 넣어요, 가져오세 요, 공 던져요 등) 훈련을 통해 언어지도에 참여할 수 있는 기본적인 태도를 길러주고, 단 순한 동작을 따라하는 훈련을 통해 모방의 기초단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 다. 그와 동시에 입술 마사지, 혀의 훈련, 호흡훈련을 통해 구강 및 호흡에 있어 계속적인 자극을 제공해 줌으로서 아동의 정상적인 구강 기능과 호흡패턴을 유도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아동이 다른 사물이나 사람에게 많은 흥미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아동이 적극적으로 반 응할 수 있는 강화인을 찾는 것도 치료에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아동이 흥미를 보이고, 즐거워하는 활동을 통해 아동에게 상호작용과 그에 따른 발화 유 도 등 언어단계에 필요한 것을 훈련시키는 것에 치료의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가격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4.24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1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