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계 기본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섭취량, 배설량 측정기록

2. 단순도뇨

3. 유치도뇨

4. residual urine

5. 방광세척 (Bladder irrigation)

본문내용

것을 방지해야 한다.
(7) 소변을 비우고 난 소변백의 입구는 소독제로 닦은 후 뚜껑을 씌운다.
(8) 소변백은 정규적으로 환자마다 이름이 표시된 개인용 소변기를 이용하 여 비운다.
(9) 하루에 한번씩 도뇨관 삽입부위를 물과 비누 세척하고 필요시 소독제 로 소독하여 청결함이 유지되도록 한다.
(10) 도뇨관를 가지고 있는 환자중에서 요로감염이 있는 환자와 감염이 없 는 환자는 격리시켜 교차 감염의 기회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격 리가 불가능하면 관리후 손씻기를 철저히 한다.
도뇨관 세척
(1) 도뇨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정규적인 도뇨관 세척은 하지 않 는다.
(2) 도뇨관과 소변백을 분리하기 전에 도뇨관과 소변백의 접촉부위를 소독 제로 소독한다.
(3) 멸균된 세척액과 주사기를 사용하여 무균적으로 세척한다.
4. residual urine
잔뇨는 요의를 느껴서 배뇨하고 나서도 방광 안에 여전히 남아있는 요의 양을 말하는 것이다. 요의를 심하게 느끼는데도 배뇨를 하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nelaton을 삽입하여 도뇨시키기도 한다. urine과 stool은 우리 몸에서 기능을 다 하고 밖으로 배출시켜야하는 물질로 우리 몸에 오래 정체 시는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residual urine은 유치 도뇨를 한 환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catheter를 remove하기 전에 bladder training을 하는데 residual urine의 양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
5. 방광세척 (Bladder irrigation)
방광 세척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방광내의 혈괴나 농, 점액을 씻어내어 요정체를 해결하기 위해
② 방광내에 약을 주입 염증을 예방하고 치료
③ 도뇨관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④ 출혈 방지
⑤ 방광의 예방과 치유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1. 세척용액
(1) Saline : 체내 전해질 농도의 균형을 깨뜨리지 않도록 사용
(2) KMnO₄: 살균제로 창상이나 점막의 세정에 사용
(3) Betadine : 곰팡이, 칸디다, 트리코모나스, 창상, 화상, 수술시 살균소 독을 위해 사용
2. 세척 시 주의점
(1) 세척 시 천천히 주입하여 점막의 손상을 방지하고 방광에 압력 가중되 는 것을 방지하며 세척용액은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흘러나오도록 한 다.
(2) 세척동안 Aseptic technique 적용하여 세척이 오히려 감염의 요소가 되 지 않도록 주의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5.28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4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