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목적
3. 시술 전 주의사항
4. 금기사항
5. 검사 방법
6. 간호
7. 뇌척수액 검사 분석
2. 목적
3. 시술 전 주의사항
4. 금기사항
5. 검사 방법
6. 간호
7. 뇌척수액 검사 분석
본문내용
상에 의한 부종으로 두개내압 상승
천자부위 이상에서 척수의 지주막하강이 폐색
모양
맑고 무색
혼탁
붉은혈액 색깔
갈색 혹은 오렌지색
감염 (백혈구수증가,단백질 혹은 여러 가지 미생물로 인함)
지주막하강 출혈, 뇌출혈 혹은 뇌실출혈, 외상성 천자 (이때는 초기검체에만 붉은빛이 있다.)
단백질 상승, 적혈구 파괴
단백질
15~45mg/100ml
현저히 증가
현저히 감소
종양, 외상, 출혈, 요붕증, 다발성 신경염, 뇌척수액내에 혈액이 존재
신속한 뇌척수액 생산
감마글로불린
총단백질중 3~12%
증가
수초탈락 질환(다발성 경화증), 신경매독, 길리안- 바레 증후군
Oligoclonal bands
없다
있음
다발성 경화증의 90%에서 출현, 만성 뇌막염, 신 경매독, 염증성 다발성 신경염
포도당
50~80mg/100ml (혈중혈당치2/3)
증가함
감소함
전신적 고혈당
전신적 저혈당, 세균성 감염 혹은 진균감염, 뇌막염, 이하선염, 지주막하 출혈이후
백혈구
0~5
증가
급성질환 : 뇌막염 (뇌막염은 뇌척수액에서 백혈구의 수가 현저하게 상승된 것으로, 혼탁하거나 화농성으로 보인다.) , 급성감염, 종양, 농양, 경색
적혈구
0
적혈구 존재
출혈 혹은 외상성 천자
천자부위 이상에서 척수의 지주막하강이 폐색
모양
맑고 무색
혼탁
붉은혈액 색깔
갈색 혹은 오렌지색
감염 (백혈구수증가,단백질 혹은 여러 가지 미생물로 인함)
지주막하강 출혈, 뇌출혈 혹은 뇌실출혈, 외상성 천자 (이때는 초기검체에만 붉은빛이 있다.)
단백질 상승, 적혈구 파괴
단백질
15~45mg/100ml
현저히 증가
현저히 감소
종양, 외상, 출혈, 요붕증, 다발성 신경염, 뇌척수액내에 혈액이 존재
신속한 뇌척수액 생산
감마글로불린
총단백질중 3~12%
증가
수초탈락 질환(다발성 경화증), 신경매독, 길리안- 바레 증후군
Oligoclonal bands
없다
있음
다발성 경화증의 90%에서 출현, 만성 뇌막염, 신 경매독, 염증성 다발성 신경염
포도당
50~80mg/100ml (혈중혈당치2/3)
증가함
감소함
전신적 고혈당
전신적 저혈당, 세균성 감염 혹은 진균감염, 뇌막염, 이하선염, 지주막하 출혈이후
백혈구
0~5
증가
급성질환 : 뇌막염 (뇌막염은 뇌척수액에서 백혈구의 수가 현저하게 상승된 것으로, 혼탁하거나 화농성으로 보인다.) , 급성감염, 종양, 농양, 경색
적혈구
0
적혈구 존재
출혈 혹은 외상성 천자
추천자료
NIOSH lifting Guide
운동을 통한 요통예방과 치료
요통의 치료 및 예방에 있어 주의할 여러 가지 자세
요통의 치료 및 예방에 있어 주의할 여러 가지 자세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추간판 탈출증 케이스 스터디
요통이란
[척추협착증 Spinal Stenosis] 간호과정, Case Study입니다.
추간판탈출증(디스크)의 개념, 추간판탈출증(디스크)의 종류, 추간판탈출증(디스크)의 치료, ...
[디스크][추간판탈출증][디스크수술][디스크합병증]디스크(추간판탈출증)의 병태생리, 디스크...
통증 간호과정 적용(정형외과 수술 후 통증 간호과정 , 실습 case study)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과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