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북한미술의 전반적인 특징
1) 철저한 사회주의적 미술
2) 김일성부자의 우상화
3) 민족적 주체성의 강조
4) 문화재 미술관련 연구의 낙후
5) 당체계로 일원화된 미술계의 구조
2. 교시를 통해 본 주체사상의 미학과 사회주의적 이념
3. 사실주의적인 예술의 주창
4. 미술의 개념
5. 북한 미술의 제도적 구조
6. 북한 미술의 유형
7. 결 론
1) 철저한 사회주의적 미술
2) 김일성부자의 우상화
3) 민족적 주체성의 강조
4) 문화재 미술관련 연구의 낙후
5) 당체계로 일원화된 미술계의 구조
2. 교시를 통해 본 주체사상의 미학과 사회주의적 이념
3. 사실주의적인 예술의 주창
4. 미술의 개념
5. 북한 미술의 제도적 구조
6. 북한 미술의 유형
7. 결 론
본문내용
, 리동현의 <손자>)
둘째, 사회주의 우월성을 나타내는 조각(정윤애의 <휴식참에>, 김광철의 <간석지의 부부>, 강점치의 <복구건설의 나날>, 김동호와 김중남의 <예술체조>)
셋째, 혁명성을 고취하기 위한 조각(원용학의 <밀영의 아침>, 위정반의 <사령부를 보위하여>, 강환룡의 <억세게 날려라>, 한광현의 <내가 맡겠소>)
넷째, 남한 사회의 비판에 관한 조각(로익화의 <불굴의 신념>, 박상현의 <일어나라, 광주여>, 윤룡숙의 <광주의 분노>, 조원석의 <분노는 폭발하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⑤ 공 예
실용공예, 장식공예로 분류되며 재료에 따라서 금속공예, 사기공예, 유리공예, 종이공예, 목공예, 수예, 골각공예, 합성수지공예, 말총공예, 참대공예 등으로 세분된다.
북한 공예의 특징은 첫째, 공예는 물질문화의 한 형태이며 동시에 인간의 미적 요구에 맞게 생활을 반영하는 측면을 띠기 때문에, 공예의 목적을 실용성과 장식성의 유기적인 통일에 둔다. 다시 말해서, 공예의 실용성은 용도에 적합한 재료, 형태, 구조가 가지는 쓸모를 의미하며, 예술성은 제품의 형태나 색깔, 무늬, 장식 등에서 나타나는 미적 가치를 의미한다.
둘째, 이러한 예술성이 일정한 실용적인 목적을 가진 물품들을 통하여 구현되는데 있다. 따라서 공예는 독특한 예술적 형상의 법칙을 바탕으로, 재료의 특성과 형태에 따라서 독자적인 기술과 표현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7. 결 론
북한의 미술사상이 갖는 반세기동안의 변화는 우리의 경우와는 너무나 많은 이질적인 차이를 보여준다. 특히 사회주의적인 사실주의의 이론에 의거한 내용들이나 주체사상의 확립이후 나타나는 일관된 이념적인 사고, 전통의 계승을 위하여 만들어낸 조선화를 중심으로 하는 북한의 민족주의적인 경향은 남한과는 매우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심지어는 주체사상이 없는 북한의 미술을 논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보아도 좋을 만큼 미학적, 사상적인 바탕이 되고 있으며, 회화와 조각 이외의 선전예술, 출판 분야는 그 정도가 훨씬 심하게 반영되어 있다.
특히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고 있는 북한의 작가체계와 만수대창작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작가군의 형성은 이와같은 이념적인 틀을 유지해 가는 방법으로 선택된 사회주의 전형의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다만 최근 일본을 통해서 우리와의 교류전이 이루어진 계기를 통하거나 제3국의 자료를 통하여 연구된 바에 의하면, 속도는 매우 완만하지만 주제나 기법적인 면에서, 서서히 이념적인 주제에서 자연의 주제로 변화해 가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고, 특히 외국으로 나가는 작품들의 경우 이같은 예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물론 이런 모습이 외화벌이라는 개념과 대외적인 이미지 개선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전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과거에는 많이 볼 수 없었던 경향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http://nk.chosun.com/ http://www.kimjong-il.com/ http://tongilnews.com/
으로 가시면 북한의 미술 작품들을 직접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둘째, 사회주의 우월성을 나타내는 조각(정윤애의 <휴식참에>, 김광철의 <간석지의 부부>, 강점치의 <복구건설의 나날>, 김동호와 김중남의 <예술체조>)
셋째, 혁명성을 고취하기 위한 조각(원용학의 <밀영의 아침>, 위정반의 <사령부를 보위하여>, 강환룡의 <억세게 날려라>, 한광현의 <내가 맡겠소>)
넷째, 남한 사회의 비판에 관한 조각(로익화의 <불굴의 신념>, 박상현의 <일어나라, 광주여>, 윤룡숙의 <광주의 분노>, 조원석의 <분노는 폭발하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⑤ 공 예
실용공예, 장식공예로 분류되며 재료에 따라서 금속공예, 사기공예, 유리공예, 종이공예, 목공예, 수예, 골각공예, 합성수지공예, 말총공예, 참대공예 등으로 세분된다.
북한 공예의 특징은 첫째, 공예는 물질문화의 한 형태이며 동시에 인간의 미적 요구에 맞게 생활을 반영하는 측면을 띠기 때문에, 공예의 목적을 실용성과 장식성의 유기적인 통일에 둔다. 다시 말해서, 공예의 실용성은 용도에 적합한 재료, 형태, 구조가 가지는 쓸모를 의미하며, 예술성은 제품의 형태나 색깔, 무늬, 장식 등에서 나타나는 미적 가치를 의미한다.
둘째, 이러한 예술성이 일정한 실용적인 목적을 가진 물품들을 통하여 구현되는데 있다. 따라서 공예는 독특한 예술적 형상의 법칙을 바탕으로, 재료의 특성과 형태에 따라서 독자적인 기술과 표현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7. 결 론
북한의 미술사상이 갖는 반세기동안의 변화는 우리의 경우와는 너무나 많은 이질적인 차이를 보여준다. 특히 사회주의적인 사실주의의 이론에 의거한 내용들이나 주체사상의 확립이후 나타나는 일관된 이념적인 사고, 전통의 계승을 위하여 만들어낸 조선화를 중심으로 하는 북한의 민족주의적인 경향은 남한과는 매우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심지어는 주체사상이 없는 북한의 미술을 논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보아도 좋을 만큼 미학적, 사상적인 바탕이 되고 있으며, 회화와 조각 이외의 선전예술, 출판 분야는 그 정도가 훨씬 심하게 반영되어 있다.
특히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고 있는 북한의 작가체계와 만수대창작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작가군의 형성은 이와같은 이념적인 틀을 유지해 가는 방법으로 선택된 사회주의 전형의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다만 최근 일본을 통해서 우리와의 교류전이 이루어진 계기를 통하거나 제3국의 자료를 통하여 연구된 바에 의하면, 속도는 매우 완만하지만 주제나 기법적인 면에서, 서서히 이념적인 주제에서 자연의 주제로 변화해 가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고, 특히 외국으로 나가는 작품들의 경우 이같은 예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물론 이런 모습이 외화벌이라는 개념과 대외적인 이미지 개선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전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과거에는 많이 볼 수 없었던 경향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http://nk.chosun.com/ http://www.kimjong-il.com/ http://tongilnews.com/
으로 가시면 북한의 미술 작품들을 직접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자료
(북한문학의이해D-E형)주체문예시대 북한문학의 특징에 대하여(북한의 정치변화와 문예이론의...
[명절][북한의 명절][남한의 명절][한국의 명절][중국의 명절][일본의 명절][미국의 명절]북...
[이데올로기][북한 주체사상]이데올로기의 기능, 이데올로기의 표상, 북한의 경제운영체제, ...
[악의 축][북한]악의 축과 북한의 반응, 악의 축과 한반도정세, 악의 축과 이라크, 악의 축과...
[도시계획][북한][로마][브라질][이집트][북한의 도시계획][로마의 도시계획][브라질의 도시...
[북한문예산책]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북한 문화예술의 관계
[은어, 은어와 북한은어, 은어와 군대은어, 은어와 무당은어, 은어와 인터넷, 은어와 방송, ...
[북일관계정상화]북일관계정상화(북한일본관계정상화)와 정상화의미, 일본입장, 북일관계정상...
[철학, 한국철학, 북한철학, 중국철학, 인도철학, 독일철학, 그리스철학(희랍철학), 한국, 북...
북일국교정상화협상(북한일본국교정상화)의 추진배경, 교섭과정, 협상현황, 재개, 북일국교정...
[생산][북한 상품 생산][일본 지식정보 생산][한국 농업 생산][독일 기업 생산][호주 산업 생...
[북한의 사회와 경제 B형] 북한의 대외관계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의 외교)
[북한의 사회와 경제 E형] 북한주민의 가치관과 일상생활에 대해 논하시오. (북한주민의 가치관)
★ 국제협상론 - 북한의 협상전략 ( 북한의 역대 협상전략, 살라미 협상전략, 벼랑 끝 협상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