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학대의 의의
(1) 아동학대의 개념
(2) 아동학대의 종류
(3) 아동학대의 원인
(4) 아동학대의 징후
(5) 아동학대의 후유증
2. 아동학대의 실태분석
(1) 아동학대의 발생현황
(2) 아동학대 사례
(3) 아동학대의 대응상 문제점
3. 아동학대의 효율적 대응방안
(1) 결손가정 증가에 대한 해결책
(2) 사회문화에 대한 해결책 - 홍보와 교육
(3) 신고의무자의 범위 증가
(4) 경찰의 개입 범위 증가
(5) 대중매체의 활용
(6) 전문기관설립 - 정부의 적극적 개입
Ⅲ. 결론
* 참고문헌
Ⅱ. 본론
1. 아동학대의 의의
(1) 아동학대의 개념
(2) 아동학대의 종류
(3) 아동학대의 원인
(4) 아동학대의 징후
(5) 아동학대의 후유증
2. 아동학대의 실태분석
(1) 아동학대의 발생현황
(2) 아동학대 사례
(3) 아동학대의 대응상 문제점
3. 아동학대의 효율적 대응방안
(1) 결손가정 증가에 대한 해결책
(2) 사회문화에 대한 해결책 - 홍보와 교육
(3) 신고의무자의 범위 증가
(4) 경찰의 개입 범위 증가
(5) 대중매체의 활용
(6) 전문기관설립 - 정부의 적극적 개입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아동학대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그 예방법과 징후 등 전반적인 아동학대를 교육하여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아동학대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은 처벌이 아닌 가족의 회복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된다.
(5) 대중매체의 활용
대중매체의 힘을 요즘 느끼고 있다. MBC의 한 프로그램인 느낌표의 ‘눈을 떠요’라는 코너가 있다. MBC에서 눈이 거의 안 보이는 사람들의 사연을 선택해 눈을 뜨게 해주는 코너이다. 지금 이 코너의 감동으로 장기기증 열풍이 불고 있다. 이것이 대중매체의 힘인 것이다.
이러한 대중매체의 힘을 빌려 아동학대를 설명하고 함께 하기를 호소해야 한다. 홍보의 한 일원일 수 있겠지만 단순한 홍보와는 비할데가 없이 엄청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대중매체의 적극 활용으로 사회문화를 서서히 바꾸고 아동학대의전반적인 지식과 아동에 대한 사랑과 관심을 더욱 높여야한다.
(6) 전문 기관 설립 - 정부의 적극적 개입
요즘 독도 문제가 사회 이슈가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행정을 보면 언제나 소잃고 외야간 고치는 식이였다. 독도도 마찬가지이다. 그러한 오류를 이번에는 범하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해선 아동학대에 대한 정부의 전문기관을 설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기관. 예를 들어 아동복지부라는 것을 전담으로 두어야 할 것이다. 그 전문기관을 필두로 전국에 크고 작은 단체들의 힘을 한곳에 모아 아동학대예방에 힘써야 할 것이다.
Ⅲ. 결 론
우리가 세상을 살면서 가지고 싶은 것(want)과 꼭 필요한 것(need)이 있다. 이중에서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꼭 필요한 것을 '권리'라고 한다. 그리고 이런 것들은 우리 모두에게 똑같이 공평하게 필요하다. 우리아이들도 성인과 똑같은 '권리'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우리의 가정은 안식처로서의 역할을 기대하지만, 폭력에 인해 두려움을 느끼는 가정은 진정한 의미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결국 이런 학대 문제는 가정의 의미를 상실시키기에 충분하다. 아동학대가 일어나는 가장 큰 원인은 아이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해도 되는 소유물로 여기기 때문이다. 많은 부모들이 자신이 이루지 못한 이상이나 채우지 못한 욕심을 아이를 통해 이루려고 한다. 그러다 보니 함부로 말하고, 명령하고, 멋대로 간섭하고, 억누르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회와 가정에서 쌓인 울분이나 억눌림을 약자인 아이들을 대상으로 분풀이하고, 아이의 인권을 무시하고 아이 학대를 허용하는 우리 사회 탓이다.
어떠한 경우에도 폭력은 정당화 될 수 없다. 우리 사회는 이 땅에 태어나서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아이의 권리를 지키고 보호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 수많은 변화와 더불어서 그 기능이 약해지고 있는 지금이지만, 모두가 그 의식을 새롭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 아동은 언제까지나 폭력이라는 수단아래 종속될 것이다. 신체적인 학대를 받은 아이들은 몸의 상처뿐 아니라 마음의 상처도 매우 심각하다. 어렸을 때의 기억을 잊기 위해선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아동도 하나의 인격체로 인정하고 존중할 필요가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가정폭력은 사회폭력의 한 맥락에서 일어나고 있고 그 안에서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 다시 말해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문제인 것이다.
세상에 태어난 인간이라면 누구나 공평하게 그 권리를 인정받아야 한다. 더 이상 가족으로 인해, 사회로 인해 고통받는 아동이 없길 바라고,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해줄 가치가 충분한 아동으로의 대우를 위해 모두가 노력할 필요가 있다. 누구나 소중한 존재로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참 고 문 헌
김광일, “가정폭력”, 탐구당 / 1988
이종목·이배근 공저,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책”, 홍익재, 1997
이호철, “학대받는 아이들”, 보리, 2001
이소희주정일 공저, “아동복지학”, 성문사, 1982.
구자현, “아동복지”, 한국사회복지연구소, 1988.
김종대, “아동복지론”, 형설출판사.
이소희, “유아복지의 이론과 실재”, 영설출판사. 1989.
주정일, “아동복지학”, 교문사, 1982.
연진영, “아동학대의 실태 및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2.
박은경, “아동학대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국민대석사논문, 1998.
이영은,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사회적 대책연구”, 단국대석사논문, 1996.
고주애, “사회복지기관의 아동학대 개입실태에 관한 연구”, 1998.
박금윤, “ 아동학대의 원인에 관한 연구”, 중대석사논문. 1998.
표갑수, “아동학대원인론”, 나남출판, 2000
표갑수, “아동학대의 원인론과 대처방안”, 한국아동복지학, 창간호, 1993.
http://1391.or.kr/index.htm/ 아동학대문제연구소
http://www.law.keio.ac.jp
http://www.eduican.com/lecture/sub/lecwel8.html
http://www.cyberwelfare.or.kr/2002-1/adong15.htm
http://education.sangji.ac.kr/~jbsong/sangji/daehagweon/002.htm
http://tong.bucheon.ac.kr/docs/bogji.html
http://www3.ocn.ne.jp/%7Ezonjk/sub2.html
http://my.netian.com/~witch10
http://wwwk.dongguk.ac.kr
http://www.childabuse.or.kr
http://www.tp.es.kr/bbs/file/board7
http://www.child.seoul.kr/cruel/연수 보고서
http://suwon.goodneighbors.org
http://welfare.nsu.ac.kr
http://myhome.naver.com/982059/download
http://www.kwf.or.kr/data
http://user.chollian.net/%7Eenoch65/con-data/con-1.htm
http://www.mirekid.com/upload
(5) 대중매체의 활용
대중매체의 힘을 요즘 느끼고 있다. MBC의 한 프로그램인 느낌표의 ‘눈을 떠요’라는 코너가 있다. MBC에서 눈이 거의 안 보이는 사람들의 사연을 선택해 눈을 뜨게 해주는 코너이다. 지금 이 코너의 감동으로 장기기증 열풍이 불고 있다. 이것이 대중매체의 힘인 것이다.
이러한 대중매체의 힘을 빌려 아동학대를 설명하고 함께 하기를 호소해야 한다. 홍보의 한 일원일 수 있겠지만 단순한 홍보와는 비할데가 없이 엄청난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대중매체의 적극 활용으로 사회문화를 서서히 바꾸고 아동학대의전반적인 지식과 아동에 대한 사랑과 관심을 더욱 높여야한다.
(6) 전문 기관 설립 - 정부의 적극적 개입
요즘 독도 문제가 사회 이슈가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행정을 보면 언제나 소잃고 외야간 고치는 식이였다. 독도도 마찬가지이다. 그러한 오류를 이번에는 범하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해선 아동학대에 대한 정부의 전문기관을 설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기관. 예를 들어 아동복지부라는 것을 전담으로 두어야 할 것이다. 그 전문기관을 필두로 전국에 크고 작은 단체들의 힘을 한곳에 모아 아동학대예방에 힘써야 할 것이다.
Ⅲ. 결 론
우리가 세상을 살면서 가지고 싶은 것(want)과 꼭 필요한 것(need)이 있다. 이중에서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꼭 필요한 것을 '권리'라고 한다. 그리고 이런 것들은 우리 모두에게 똑같이 공평하게 필요하다. 우리아이들도 성인과 똑같은 '권리'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우리의 가정은 안식처로서의 역할을 기대하지만, 폭력에 인해 두려움을 느끼는 가정은 진정한 의미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결국 이런 학대 문제는 가정의 의미를 상실시키기에 충분하다. 아동학대가 일어나는 가장 큰 원인은 아이를 독립된 인격체로 보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해도 되는 소유물로 여기기 때문이다. 많은 부모들이 자신이 이루지 못한 이상이나 채우지 못한 욕심을 아이를 통해 이루려고 한다. 그러다 보니 함부로 말하고, 명령하고, 멋대로 간섭하고, 억누르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회와 가정에서 쌓인 울분이나 억눌림을 약자인 아이들을 대상으로 분풀이하고, 아이의 인권을 무시하고 아이 학대를 허용하는 우리 사회 탓이다.
어떠한 경우에도 폭력은 정당화 될 수 없다. 우리 사회는 이 땅에 태어나서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아이의 권리를 지키고 보호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 수많은 변화와 더불어서 그 기능이 약해지고 있는 지금이지만, 모두가 그 의식을 새롭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 아동은 언제까지나 폭력이라는 수단아래 종속될 것이다. 신체적인 학대를 받은 아이들은 몸의 상처뿐 아니라 마음의 상처도 매우 심각하다. 어렸을 때의 기억을 잊기 위해선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아동도 하나의 인격체로 인정하고 존중할 필요가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가정폭력은 사회폭력의 한 맥락에서 일어나고 있고 그 안에서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 다시 말해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문제인 것이다.
세상에 태어난 인간이라면 누구나 공평하게 그 권리를 인정받아야 한다. 더 이상 가족으로 인해, 사회로 인해 고통받는 아동이 없길 바라고,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해줄 가치가 충분한 아동으로의 대우를 위해 모두가 노력할 필요가 있다. 누구나 소중한 존재로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참 고 문 헌
김광일, “가정폭력”, 탐구당 / 1988
이종목·이배근 공저,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책”, 홍익재, 1997
이호철, “학대받는 아이들”, 보리, 2001
이소희주정일 공저, “아동복지학”, 성문사, 1982.
구자현, “아동복지”, 한국사회복지연구소, 1988.
김종대, “아동복지론”, 형설출판사.
이소희, “유아복지의 이론과 실재”, 영설출판사. 1989.
주정일, “아동복지학”, 교문사, 1982.
연진영, “아동학대의 실태 및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2.
박은경, “아동학대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국민대석사논문, 1998.
이영은,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사회적 대책연구”, 단국대석사논문, 1996.
고주애, “사회복지기관의 아동학대 개입실태에 관한 연구”, 1998.
박금윤, “ 아동학대의 원인에 관한 연구”, 중대석사논문. 1998.
표갑수, “아동학대원인론”, 나남출판, 2000
표갑수, “아동학대의 원인론과 대처방안”, 한국아동복지학, 창간호, 1993.
http://1391.or.kr/index.htm/ 아동학대문제연구소
http://www.law.keio.ac.jp
http://www.eduican.com/lecture/sub/lecwel8.html
http://www.cyberwelfare.or.kr/2002-1/adong15.htm
http://education.sangji.ac.kr/~jbsong/sangji/daehagweon/002.htm
http://tong.bucheon.ac.kr/docs/bogji.html
http://www3.ocn.ne.jp/%7Ezonjk/sub2.html
http://my.netian.com/~witch10
http://wwwk.dongguk.ac.kr
http://www.childabuse.or.kr
http://www.tp.es.kr/bbs/file/board7
http://www.child.seoul.kr/cruel/연수 보고서
http://suwon.goodneighbors.org
http://welfare.nsu.ac.kr
http://myhome.naver.com/982059/download
http://www.kwf.or.kr/data
http://user.chollian.net/%7Eenoch65/con-data/con-1.htm
http://www.mirekid.com/upload
추천자료
(아동복지)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선방안 - 2007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 아...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정의와 실태, 현황 문제점 및 아동학대 예방 방안 (2007년 추천 우수 ...
[아동학대]아동학대에 대한 아동복지법의 향후과제A+
매스컴을 통한 아동학대의 실태 사례를 예를 들어 본인의 생각하는 아동학대의 예방대책과 아...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실태와 근본적인 원인 분석 및 아동학대의 해결방안
매스컴을 통한 아동학대의 실태사례를 예로 들어 본인이 생각하는 아동학대 예방대책과 아동...
아동복지실천 대상별 중(학대아동, 보육아동, 장애아동, 한부모가정아동, 입양아동) 한 분야...
[아동복지론] 최근 아동학대 관련 신문 및 인터넷 자료를 가지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제...
[아동복지 공통] 아동학대의 원인을 제시하고,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아동복지 공통] 아동학대의 원인을 제시하고,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아동복지4공통] 아동학대의 원인을 제시 &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아동복지4공통) 아동학대의 원인을 제시하고,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아동학대 예방교육 프로그램) 아동, 보육교사,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아동학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