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외화면을 찾아 의미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속 외화면을 찾아 의미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 주리라>

김지운 <장화 , 홍련>

장 르누아르 <게임의 규칙>

본문내용

이러한 게임은 궁극적으로는 성의 게임이며 또 서로 얽히고 깨어지지만 상류사회의 그것이 보다 ‘위선’적이다. 앙드레는 이러한 규칙을 깨뜨리기 때문에 죽음을 당합니다. 르누아르는 그 자신이 직접 옥타브로 출연하여 이들의 성적 게임의 매개자이자 또 참여자가 됩니다. 그래서 유려한 카메라워크는 옥타브를 중심축으로 이동해 나갑니다. 카메라는 그를 따라다니며 귀족계급과 하인계급의 사회를 자연스럽게 대비시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오손 웰스의 <시민 케인>(1941)의 딥 포커스 촬영이 이미 여기서 확고한 미학적 의미를 획득하고 있습니다. 영화적 공간개념을 확장시킨 것이지요. 전심초점 공간의 표현으로 깊이감을 강조하였을 뿐 아니라 등장인물들로 하여금 프레임의 경계를 계속 드나들게 함으로써 훗날 영화학자 노엘 비루시가 체계적으로 분석한 외화면공간(오프스크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르누아르의 탁월한 연출기법은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클로즈업이 거의 배제된 풀숏화면의 배경이 되는 세팅과 의상코드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다중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남성성/여성성, 우아함/천박함, 전통/현대, 도시/시골, 상류/하류계층 등).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4.2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