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최근 자동차 부품 산업 동향
1. 산업 현황
2. 품목별 현황
3. 자동차 부품 산업 발전 단계
4. 자동차 부품 기업 현황
5. 문제점
Ⅱ. 수출입 동향
1. 개 황
2. 품목별 수입 시장 현황
3. 한국의 對중 수출 동향
Ⅲ. 유통 구조
Ⅳ. WTO 가입 영향 및 향후 전망
1. WTO 가입 영향
2. “10.5”계획 목표
Ⅴ. 부 록
1. 2003년 자동차 부품 관련 전시회 내역
2. 중국 자동차 부품 관세율 조정 추이
1. 산업 현황
2. 품목별 현황
3. 자동차 부품 산업 발전 단계
4. 자동차 부품 기업 현황
5. 문제점
Ⅱ. 수출입 동향
1. 개 황
2. 품목별 수입 시장 현황
3. 한국의 對중 수출 동향
Ⅲ. 유통 구조
Ⅳ. WTO 가입 영향 및 향후 전망
1. WTO 가입 영향
2. “10.5”계획 목표
Ⅴ. 부 록
1. 2003년 자동차 부품 관련 전시회 내역
2. 중국 자동차 부품 관세율 조정 추이
본문내용
술 도입으로 기술 및 개발 능력 상향 조정
5) 합자 기업의 전세계 영업 네트웍을 통해 국제 시장 진출 가속화
<도 전>
1) 완성차의 글로벌 구매 및 수입 대거 유입, 국산화율 인하
2) 자동차 리콜 제도 적응
3) 시장 수요와 발전 추이에 따른 생산 계획 예견성
4) 관리 수준 향상, 기술 함유량 제고, 자주 개발 능력 제고, 품질, 가격 및 서비스 경쟁력 향상 및 브랜드 인지도 향상
5) 국제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 저하, 시장정보 미흡
6) 품질, 가격 및 서비스 등 국제 경쟁력 저하
7) 외국기업의 반덤핑
향후 중국의 자동차 부품산업은 글로벌 구매, 부품 메이커와 완성차 메이커의 분리, 합병 재편성 가속화, 부품 기업의 실력 및 지위 상향 조정, 기술 합작 개발의 글로벌화, 정보네트웍 기술 응용, 시스템화 및 모듈화 및 전자화, 환보, 품질 인증 체계 국제화 및 브랜드 마케팅 등 추이를 보이게 될 것이다.
중국은 그간 외자 완성차 기업의 국산화율 상향 조정을 장려하는 정책을 제정, 외국인투자 완성차의 국산화율이 40%에 달해야 수입 관세 감면 우대 정책을 적용받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해 폭스바겐스가 생산하는 산타나는 국산화가 90%를 웃돌고 있으며, AUDI A6, 뷰익(別克 : Buick) 상해, 광주 雅閣(ACCORD) 등은 국산화가 40%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 국산화 정책 실시로 중국내 자동차부품 수입업체가 수입 허가증 취득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우리 기업이 중국시장에 진출하고자 할 경우, 중국에 진출한 외국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중국내 부품기업 또는 외국 완제품기업과 합자로 중국내에서 부품 생산에 종사하는 것도 타당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현재 중국 내에 세계 50대 자동차 부품기업 중 35개가 중국내에 합자기업을 설립했으며, 가입에 따른 개방 확대로 거대한 시장을 겨냥한 진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서비스무역업의 점진적으로 개방 확대로 a/s 부품 시장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각종 외제차 진출로 관련 정비업소의 진출도 가속화, 이들 정비업소는 당해 브랜드의 a/s 부품 공급 취급 동시에 기타 브랜드 부품도 취급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외국 자동차 부품 업계의 진출 및 판매 네트웍(연쇄점, 전매점) 구축도 예상된다.
현존 중국 자동차 부품 유통업체의 외국자본에 의한 재편성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2. “10.5”계획 목표
“10.5”계획 기간 중 중국은 5~10개의 대형 부품 기업을 육성하고 핵심 부품 3대 기업 점유율을 70%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부품 공급의 체계화, 하이테크, 고부가가치 부품의 점유율을 제고할 계획이다.
제품 안전 성능을 대폭 향상하고(대중 버스와 대형 트럭에 ABS 장착), 스용차의 ABS, 에어백 장착률을 제고, 신형 승용차 및 미니 버스의 측면 충돌 기술을 적용한다. 한편 6~8개 핵심 부품 개발 센터를 설립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자동차 신형 엔진 건설 및 개조 프로젝트, ABS, 에어백, 정화설비 및 자동 변속기(기어 박스) 등 자동차 핵심 부품 개조 프로제트 등을 중점 추진할 것이다.
Ⅴ. 부 록
1. 2003년 자동차 부품 관련 전시회 내역
일 시
전 시 회 명 칭
개 최 지
비 고
2003년 3월 21~24일
녕파국제 자동차 및 정비설비용품 전람회
녕파
寧波國際會展中心
2003년 4월
2003년 중국국제택시장비 및 부품 전람회
북경
2003년 6월 6~9일
2003년 청도 국제 자동차 정비 테스트 설비 및 부품 전람회
청도
靑島貴都會展中心
2003년 7월 16~18일
제2차 상해국제자동차부품 및 관련 제품 전람회
상해
上海世貿商城
2003년 8월
제3차 중국심양자동차공업박람회
심양
2003년 9월 3~6일
제 2차 중국(광주)국제자동차용품전람회
광주
광주중국수출상품교역회전관
2003년 9월
2003년 북경국제자동차, 부품 및 관련 제품 전람회
북경
2003년 10월
제 4차 중국 항주 국제 자동차 전람회
절강 항주
2003년 11월
제7차 심천 국제자동차, 오토바이 전람회
광동 심천
2003년 12월
제 3차 광동 국제자동차전시교역회
광동 동관
2. 중국 자동차 부품 관세율 조정 추이
(단위 : %)
HS 코드
명 칭
2003년
2004년
2005년
87060030
버스용 샤시
30
25
20
87060090
기타 차량용 샤시
31.4
26.1
20.7
87082100
안전 벨트
18.8
15.8
12.9
87082920
에어백
25
22.9
18.6
87082930
windowpane raiser
17.3
13.7
10
87083940
제동 장치
18.8
15.8
12.9
87084020
기어박스
18.8
15.8
12.9
87085040
구동 차축
18.8
15.8
12.9
87086040
비 구동 차축
18.8
15.8
12.9
87087040
로우드 휘일
18.8
15.8
12.9
87089100
방열기
18.8
15.8
12.9
87089200
소음기 및 배기관
18.8
15.8
12.9
87089340
클러치
18.8
15.8
12.9
87089440
소형 화물차용 핸들, 운전대 및 운전박스
18.8
15.8
12.9
87089450
대형 화물차용 핸들, 운전대 및 운전박스
12
10
-
87089920
기타 부분품 및 부속품
25
-
-
출 처 : 중국 WTO 가입 법률문서
목차
Ⅰ. 최근 자동차 부품 산업 동향
1. 산업 현황
2. 품목별 현황
3. 자동차 부품 산업 발전 단계
4. 자동차 부품 기업 현황
5. 문제점
Ⅱ. 수출입 동향
1. 개 황
2. 품목별 수입 시장 현황
3. 한국의 對중 수출 동향
Ⅲ. 유통 구조
Ⅳ. WTO 가입 영향 및 향후 전망
1. WTO 가입 영향
2. “10.5”계획 목표
Ⅴ. 부 록
1. 2003년 자동차 부품 관련 전시회 내역
2. 중국 자동차 부품 관세율 조정 추이
5) 합자 기업의 전세계 영업 네트웍을 통해 국제 시장 진출 가속화
<도 전>
1) 완성차의 글로벌 구매 및 수입 대거 유입, 국산화율 인하
2) 자동차 리콜 제도 적응
3) 시장 수요와 발전 추이에 따른 생산 계획 예견성
4) 관리 수준 향상, 기술 함유량 제고, 자주 개발 능력 제고, 품질, 가격 및 서비스 경쟁력 향상 및 브랜드 인지도 향상
5) 국제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 저하, 시장정보 미흡
6) 품질, 가격 및 서비스 등 국제 경쟁력 저하
7) 외국기업의 반덤핑
향후 중국의 자동차 부품산업은 글로벌 구매, 부품 메이커와 완성차 메이커의 분리, 합병 재편성 가속화, 부품 기업의 실력 및 지위 상향 조정, 기술 합작 개발의 글로벌화, 정보네트웍 기술 응용, 시스템화 및 모듈화 및 전자화, 환보, 품질 인증 체계 국제화 및 브랜드 마케팅 등 추이를 보이게 될 것이다.
중국은 그간 외자 완성차 기업의 국산화율 상향 조정을 장려하는 정책을 제정, 외국인투자 완성차의 국산화율이 40%에 달해야 수입 관세 감면 우대 정책을 적용받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해 폭스바겐스가 생산하는 산타나는 국산화가 90%를 웃돌고 있으며, AUDI A6, 뷰익(別克 : Buick) 상해, 광주 雅閣(ACCORD) 등은 국산화가 40%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 국산화 정책 실시로 중국내 자동차부품 수입업체가 수입 허가증 취득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우리 기업이 중국시장에 진출하고자 할 경우, 중국에 진출한 외국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중국내 부품기업 또는 외국 완제품기업과 합자로 중국내에서 부품 생산에 종사하는 것도 타당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현재 중국 내에 세계 50대 자동차 부품기업 중 35개가 중국내에 합자기업을 설립했으며, 가입에 따른 개방 확대로 거대한 시장을 겨냥한 진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서비스무역업의 점진적으로 개방 확대로 a/s 부품 시장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각종 외제차 진출로 관련 정비업소의 진출도 가속화, 이들 정비업소는 당해 브랜드의 a/s 부품 공급 취급 동시에 기타 브랜드 부품도 취급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외국 자동차 부품 업계의 진출 및 판매 네트웍(연쇄점, 전매점) 구축도 예상된다.
현존 중국 자동차 부품 유통업체의 외국자본에 의한 재편성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2. “10.5”계획 목표
“10.5”계획 기간 중 중국은 5~10개의 대형 부품 기업을 육성하고 핵심 부품 3대 기업 점유율을 70%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부품 공급의 체계화, 하이테크, 고부가가치 부품의 점유율을 제고할 계획이다.
제품 안전 성능을 대폭 향상하고(대중 버스와 대형 트럭에 ABS 장착), 스용차의 ABS, 에어백 장착률을 제고, 신형 승용차 및 미니 버스의 측면 충돌 기술을 적용한다. 한편 6~8개 핵심 부품 개발 센터를 설립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자동차 신형 엔진 건설 및 개조 프로젝트, ABS, 에어백, 정화설비 및 자동 변속기(기어 박스) 등 자동차 핵심 부품 개조 프로제트 등을 중점 추진할 것이다.
Ⅴ. 부 록
1. 2003년 자동차 부품 관련 전시회 내역
일 시
전 시 회 명 칭
개 최 지
비 고
2003년 3월 21~24일
녕파국제 자동차 및 정비설비용품 전람회
녕파
寧波國際會展中心
2003년 4월
2003년 중국국제택시장비 및 부품 전람회
북경
2003년 6월 6~9일
2003년 청도 국제 자동차 정비 테스트 설비 및 부품 전람회
청도
靑島貴都會展中心
2003년 7월 16~18일
제2차 상해국제자동차부품 및 관련 제품 전람회
상해
上海世貿商城
2003년 8월
제3차 중국심양자동차공업박람회
심양
2003년 9월 3~6일
제 2차 중국(광주)국제자동차용품전람회
광주
광주중국수출상품교역회전관
2003년 9월
2003년 북경국제자동차, 부품 및 관련 제품 전람회
북경
2003년 10월
제 4차 중국 항주 국제 자동차 전람회
절강 항주
2003년 11월
제7차 심천 국제자동차, 오토바이 전람회
광동 심천
2003년 12월
제 3차 광동 국제자동차전시교역회
광동 동관
2. 중국 자동차 부품 관세율 조정 추이
(단위 : %)
HS 코드
명 칭
2003년
2004년
2005년
87060030
버스용 샤시
30
25
20
87060090
기타 차량용 샤시
31.4
26.1
20.7
87082100
안전 벨트
18.8
15.8
12.9
87082920
에어백
25
22.9
18.6
87082930
windowpane raiser
17.3
13.7
10
87083940
제동 장치
18.8
15.8
12.9
87084020
기어박스
18.8
15.8
12.9
87085040
구동 차축
18.8
15.8
12.9
87086040
비 구동 차축
18.8
15.8
12.9
87087040
로우드 휘일
18.8
15.8
12.9
87089100
방열기
18.8
15.8
12.9
87089200
소음기 및 배기관
18.8
15.8
12.9
87089340
클러치
18.8
15.8
12.9
87089440
소형 화물차용 핸들, 운전대 및 운전박스
18.8
15.8
12.9
87089450
대형 화물차용 핸들, 운전대 및 운전박스
12
10
-
87089920
기타 부분품 및 부속품
25
-
-
출 처 : 중국 WTO 가입 법률문서
목차
Ⅰ. 최근 자동차 부품 산업 동향
1. 산업 현황
2. 품목별 현황
3. 자동차 부품 산업 발전 단계
4. 자동차 부품 기업 현황
5. 문제점
Ⅱ. 수출입 동향
1. 개 황
2. 품목별 수입 시장 현황
3. 한국의 對중 수출 동향
Ⅲ. 유통 구조
Ⅳ. WTO 가입 영향 및 향후 전망
1. WTO 가입 영향
2. “10.5”계획 목표
Ⅴ. 부 록
1. 2003년 자동차 부품 관련 전시회 내역
2. 중국 자동차 부품 관세율 조정 추이
추천자료
[중국][경제개혁][중국 경제개혁][모택동 사상]중국 경제개혁과 모택동 사상(중국 경제개혁의...
[중국 공산당]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구조, 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특성, 중국공산...
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교육과정변천, 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일반선택과목(중국어Ⅰ)과 심화...
[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공산당]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조직원리, 중국공산당(중국...
[중국어 동사][품사][중국어][복합동사]중국어 품사 동사의 분류, 중국어 품사 동작동사, 중...
[중국문학][개혁문학][민간문학][강호시파][구정량][도연명]중국문학과 개혁문학, 중국문학과...
[중국문학][민간문학][소수민족문학][육유][몽롱시]중국문학의 변천, 중국문학과 되돌아보기...
[중국문학][상흔문학][소수민족문학][기행문학][호적]중국문학의 역사, 중국문학과 상흔문학,...
[중국교육][중국교육 교육개혁][중국교육 문제점][중국교육 개선과제]중국교육의 현황, 중국...
[중국교육][중국의 교육]중국교육의 목표, 중국교육의 이념, 중국교육과 시장경제도입, 중국...
[중국][중국의 교육][정치사상교육][고등교육][특수교육][환경교육][의무교육][공학교육]중국...
[중국교육][중국교육제도][중국교육정책]중국교육의 목적, 중국교육의 상황, 중국교육의 이념...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분류,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오역,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품사, ...
≪중국 관광시장의 현황과 중국인 관광객 유치방안≫ (중국 시장의 현황, 중국 관광시장의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