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으로 파생된 청소년 문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차 발표

2차 발표

3차 발표

본문내용

3~장수생) 비수험생150명
(백신고등학교,가락고등학교,중상고등학교, 대일고등학교,노량진학원 학생)
본론
1. 수험생활을 하기 전 스트레스 정도는?
매우 많았다 (13%)
많은 편 이었다 (11%)
가끔 있었다 (47%)
없는 편 이었다 (23%)
전혀 없었다 (6%)
2. 수험 생활을 시작한 후 스트레스 정도는?
매우 많다 (27%)
많은 편이다 (36%)
가끔 있다 (27%)
없는 편이다 (7%)
전혀 없다 (3%)
3. 스트레스의 주된 원인은?
여가시간의 불충분 (20%)
신체적 문제 (9%)
주위의 기대 (26%)
과도한 학습 (38%)
기타 (7%)
4. 수험생활을 시작한 후 징크스가 생겼나요?
네 (71% )
아니오 (29%)
수능징크스의 예
수능 날은 항상 춥다.
소나타의 S란 글자를 떼서 가지고 있으면 서울대에 붙는다.
남학생이 여학생의 방석을 가지고 있으면 시험에 붙는다.
학교정문으로만 다녀야 합격한다. 후문이나 쪽문은 낙방
S로 시작되는 옷을 입어야 서울대에 합격한다.
떨어졌다는 말은 절대 쓰지 않는다.
횡단보도 흰색부분만 밟고 다닌다. 까만색은 떨어진다는 의미
죽은 피한다. 시험을 죽 쑬 수 있으니까
건물을 올라 갈 때는 엘리베이터로 내려 올 때는 계단으로
고3수험생이 먹는 반찬에는 절대 참기름을 안 넣는다
미역국 먹으면 미끄러진다.
백일주 마실 때 맥주를 마시면 거품이 나오므로 합격이 물거품이 된다.
여학생은 어머니가 사준 은반지를 끼어야 합격한다.
원하는 대학에 소지품을 묻으면 합격한다
5. 수험생활을 시작한 후 이전보다 음주 및 흡연 등의 일탈정도의 변화가 있습니까?
증가했다 (42%)
감소했다 (24%)
변화 없다 (34%)
줄어든 경우- 공부에 방해가 될까봐, 학교나 학원에 있는 시간이 많아서, 주위사람들의 통제
늘어난 경우-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동조심리,
(폭력,흡연,음주)
늘어나는 이유
(음주 횟수의 증가, 음주량의 증가, 흡연빈도의 증가, 폭력)
*1999년 서울시 청소년 음주문화 실태조사 연구에 의하면 고3의 음주원인은 61%가 심리적 압박감 및 스트레스에 의해서라고 나타났다.
6. 수험생활을 시작한 후 이전보다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건강관리를 하셨습니까?
네 (81%)
아니오 (19%)
1. 아침을 거르지 않는다.
2.수험생에게 좋은 음식만 먹는다.
(야채류, 해조류, 조개류,잡곡 등)
3.나쁜 음식은 먹지 않는다.(인스턴트식품 등)
4.보약을 먹는다.(총명탕, 비타민, 청뇌환 등)
5.가벼운 운동
6.아로마 테라피
7.반신욕
7. 수험생의 특정 행동(징크스, 일탈행동, 건강관리) 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습니까?
전혀 감소하지 않았다
감소하지 않은 편이다
조금 감소했다
많이 감소한 편이다
모두 감소했다
8. 수험생만의 특정 행동 및 생활양식이 청소년 문화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그렇다
아니다
잘모르겠다
징크스란 일종의 미신적 강화로써 부수적인 행동들이 미신적으로 강화되면, 그것들은 자극제시 직후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자극이 제시되기 직전에 발생한다. 이러한 징크스는 예언적 의미를 지니므로 심리적 상태에 큰영향을 미친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수험생들의 징크스는 타 청소년에 비해 나타나는 비율이 크며 이것은 학습과 주위의 기대 등으로 인한 압박에 의해 일어난다. 과도한 학업량과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현실을 징크스로 귀인을 돌려 자기 만족, 합리화를 시키는 것이다.
결론
수험생의 일탈
감소의 원인은 사회통제이론에서 찾을 수 있다.
공부에 방해가 될까봐; 전념
학교나 학원에 있는 시간이 많아서;관여
주위사람들의 통제;애착
증가의 원인은 스트레스 해소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수험생의 비행원인은 타 연령의 청소년 비행원인 (호기심, 친구들과 보내는 시간이 좋아서) 과 또 다른 이유를 가지고 있음을 관찰 할 수 있다.(스트레스 해소, 현실도피, 성인에 대한 모방심리 등)
예년과 달라진 수능문화 사례연구
“수능 끝∼고3 찜질방 쫑파티”
예년과 달라진 수능문화 사례연구
문화관광부
여러 기업체
청소년 수련관
대학 수능시험을 마친 고3생들을 위한 동아리잔치
2. 수능 응원문화
조사대상 : 고1~고2(비 수험생)
조사목적 : 선배들을 응원하고 격려하는 행동을 조사하고 그 양상들을 관찰하여서 청소년들만의 고유한 문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
ㅅㅏㄹㅏ으ㅣㅇㅕ
ㅇ ㅅ
▶▒▒▒▒▒▒◀
수능대박나세요♡
수:리수리마수리
능:력있는머리로
만:들어져랏!
점:수만점받아
울엄마기절좀하게
이모티콘 응원
s▶@◀s 붙어라
s(*^ㅡ^*)/
s▶@◀s 붙어라
\(*^ㅡ^*)s
수능만점맞아랏~
/)/) ˚☆
( ..)˚☆˚☆
(☞+☜ 너를위해
기도하마.수능시
험잘치뤄.힘내구
수능 당일날 학교 앞
설문조사 (서울시내 비 수험생 150명대상)
1. 성별
여 (57%)
남 (43%)
2. 조사대상
고1 (46%)
고2 (54%)
3-1. 응원을 해본적이 있다면 어떤 식으로 응원을 해보셨습니까? (중복답변가능)
문자나 이메일로 격려 메시지를 보낸다 (23%)
수능 당일 날 찾아가서 응원한다(42%)
떡이나 엿을 사준다 (32%)
기타 (3%)
3-2. 응원하는 사람과의 관계는 어떻습니까?
그냥 아는 친한 선배 (42%)
가족 또는 친척 (7%)
동아리 선배(33%)
동반동번 선배 (14%)
3-3. 선배들을 응원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옛날부터 내려오는 전통이므로
강압에 의한 반타의적으로
선배들이 수능을 잘보라는 진심에
나도 수험생이 되면 후배들이 챙겨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기타
문화 현상의 특징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행동양식
일시적·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집단적인 양상, 그들만의 소속감 부여
총정리
수능에서 파생된 문화현상은 청소년으로부터 자의적으로 생성된 문화라기 보다는 입시라는 틀 안에서 생성된 것이다. 하지만 그 안에서 청소년은 자신들의 감정을 표출하고, 창조적인 행동들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행동들과 생활양식은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청소년들에게서 반복 되고 있고 계속해서 청소년의 개성을 반영하여 변화 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청소년들만의 독특한 문화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4.2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0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