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청의 조선정책과 조선의 대응책
1. 청의 조선정책
2. 조선의 대응책
Ⅲ. 일본의 조선정책과 조선의 대응책
1. 일본의 조선정책
2. 조선의 대응책
Ⅳ. 청일전쟁 이후의 동아시아 국제정세
Ⅴ. 청일전쟁이 한국에 미친 정치외교사적 영향
1. 조선에 미친 영향
2. 청일전쟁 이후의 경과
Ⅵ. 결론
Ⅱ. 청의 조선정책과 조선의 대응책
1. 청의 조선정책
2. 조선의 대응책
Ⅲ. 일본의 조선정책과 조선의 대응책
1. 일본의 조선정책
2. 조선의 대응책
Ⅳ. 청일전쟁 이후의 동아시아 국제정세
Ⅴ. 청일전쟁이 한국에 미친 정치외교사적 영향
1. 조선에 미친 영향
2. 청일전쟁 이후의 경과
Ⅵ. 결론
본문내용
대 전환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과 일본의 두 번에 걸친 국제적 헤게모니 쟁탈전은 아이러니컬하게도 두 번 모두 분쟁 당사자가 아닌 제3국, 즉 조선의 영토 위에서 시작되었다. 조선은 중국의 중화주의와 일본의 서구지향적 근대주의의 볼모가 되어 두 번에 걸쳐 희생양이 된 셈이다. “이는 조선이 중국과 일본의 중간 지대에 위치하고 있다는 지리적 요인이 무엇보다도 결정적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조선이 동아시아 국제질서 체제의 생명선임과 아울러 이의 외적 상징이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중국의 문화주의와 일본의 군사주의는 조선을 통해 자기주장을 표현했던 것이다. 조선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외적 표상이었다. 시모노세키조약의 제 1조가 전쟁 당사자들의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 제3국인 조선의 자주독립권을 규정한 까닭이 여기에 있는 것이다.”(후지무라 미치오 1997, 259)
조선을 중국 중심의 국제지배 질서로부터 분리해 낸 후, 일본은 순차적으로 조선을 병합하고, 만주국을 세운 후, 나아가 1940년대의 대동아 공영권에 이르는 일본 중심의 세계 질서를 추진했던 것이다. 일본은 청일전쟁으로 얻은 막대한 배상금, 과중한 세금수탈로 만들어진 군사비, 식민지 타이완으로부터 얻은 이윤, 전쟁으로 축재한 자본가의 이윤 등을 바탕으로 전쟁 후 일본자본주의는 급속한 발전을 이룩했다.
Ⅵ . 결 론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의 조공체제 하에서 전래된 ‘속방’ 문제는 개항 이후 근대 국제공법체제 하에 들어오면서 조선을 둘러싼 대외관계 특히 청과 일본과의 외교관계에서 조선이 가장먼저 타개해야 할 핵심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서 대청관계에서 자주성을 가지는가는 근대 국제공법체제에서 조선이 독립국으로 존속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결정하는 중요한 것이었다. 청일전쟁 직전 조선 ‘속방’ 문제가 조선과 청ㆍ일본 사이에서 논란이 되면서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는데 이용될 수 있었던 것은 개항 이후 조선이 청과의 전근대사회에서 있었던 속방관계를 타개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근대 조공관계에서 조ㆍ청 간의 ‘속방’ 문제는 근대 국제 공법체제 하에서 청과 일본에 이용되면서 조선이 근대 식민국으로 전락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시 말해 국제 정세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오로지 청국 또는 제 3세력에 의존하여 국가를 보존하려는 봉건지배 층의 기득권 유지욕이 식민국으로 가는데 앞장 섰다고 할 수 있다. 조선 속방 문제를 둘러싼 청과 일본의 대립은 결국 일본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이로부터 전근대적 조공체제에 가탁한 조선 ‘속방’론은 그 종말을 보게 되고, 일본의 식민지배를 위한 기초가 마련되었던 것이다. 결국 일본의 승리로 동아시아는 제국주의에 물든 국가들의 세력다툼의 장이 되고 말았던 것이다.
- 참고문헌 -
김기혁외 5명. 1996. 『청일전쟁의 재조명』.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 연구소.
김기혁. 1996. "이홍장과 청일전쟁."『청일전쟁의 재조명』.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 연구소 , 7~51.
구선희. 1999.『韓國近代 對淸政策史 硏究』. 서울 : 도서출판 혜안.
박영재. 1996. “무츠 무네미츠와 청일전쟁.” 『청일전쟁의 재조명』.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 연구소, 52-74.
유영익. 1996. “대원군과 청일전쟁.” 『청일전쟁의 재조명』.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 연구소, 75-127.
후지무라 미치오. 1997.『청일전쟁』. 서울 : 도서출판 소화.
유영익 외 . 2000.『한국사 / 국사편찬위원회. 40 :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편. 1993. 『한국 외교사 1』. 서울 : 집문당.
진위방. 1996. 『淸·日 甲午戰爭과 朝鮮』. 서울 : 백산자료원.
조선을 중국 중심의 국제지배 질서로부터 분리해 낸 후, 일본은 순차적으로 조선을 병합하고, 만주국을 세운 후, 나아가 1940년대의 대동아 공영권에 이르는 일본 중심의 세계 질서를 추진했던 것이다. 일본은 청일전쟁으로 얻은 막대한 배상금, 과중한 세금수탈로 만들어진 군사비, 식민지 타이완으로부터 얻은 이윤, 전쟁으로 축재한 자본가의 이윤 등을 바탕으로 전쟁 후 일본자본주의는 급속한 발전을 이룩했다.
Ⅵ . 결 론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의 조공체제 하에서 전래된 ‘속방’ 문제는 개항 이후 근대 국제공법체제 하에 들어오면서 조선을 둘러싼 대외관계 특히 청과 일본과의 외교관계에서 조선이 가장먼저 타개해야 할 핵심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서 대청관계에서 자주성을 가지는가는 근대 국제공법체제에서 조선이 독립국으로 존속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결정하는 중요한 것이었다. 청일전쟁 직전 조선 ‘속방’ 문제가 조선과 청ㆍ일본 사이에서 논란이 되면서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는데 이용될 수 있었던 것은 개항 이후 조선이 청과의 전근대사회에서 있었던 속방관계를 타개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근대 조공관계에서 조ㆍ청 간의 ‘속방’ 문제는 근대 국제 공법체제 하에서 청과 일본에 이용되면서 조선이 근대 식민국으로 전락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시 말해 국제 정세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오로지 청국 또는 제 3세력에 의존하여 국가를 보존하려는 봉건지배 층의 기득권 유지욕이 식민국으로 가는데 앞장 섰다고 할 수 있다. 조선 속방 문제를 둘러싼 청과 일본의 대립은 결국 일본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이로부터 전근대적 조공체제에 가탁한 조선 ‘속방’론은 그 종말을 보게 되고, 일본의 식민지배를 위한 기초가 마련되었던 것이다. 결국 일본의 승리로 동아시아는 제국주의에 물든 국가들의 세력다툼의 장이 되고 말았던 것이다.
- 참고문헌 -
김기혁외 5명. 1996. 『청일전쟁의 재조명』.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 연구소.
김기혁. 1996. "이홍장과 청일전쟁."『청일전쟁의 재조명』.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 연구소 , 7~51.
구선희. 1999.『韓國近代 對淸政策史 硏究』. 서울 : 도서출판 혜안.
박영재. 1996. “무츠 무네미츠와 청일전쟁.” 『청일전쟁의 재조명』.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 연구소, 52-74.
유영익. 1996. “대원군과 청일전쟁.” 『청일전쟁의 재조명』.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 연구소, 75-127.
후지무라 미치오. 1997.『청일전쟁』. 서울 : 도서출판 소화.
유영익 외 . 2000.『한국사 / 국사편찬위원회. 40 :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편. 1993. 『한국 외교사 1』. 서울 : 집문당.
진위방. 1996. 『淸·日 甲午戰爭과 朝鮮』. 서울 : 백산자료원.
키워드
추천자료
러일전쟁
[한류열풍][한류][문화컨텐츠]한류열풍의 영향과 위기 및 지속, 확산 방안 고찰(한류열풍, 한...
혼외관계가 결혼에 미치는 영향('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을 바탕으로)
[증시][증시대공황][미국증시][세계증시][증시활성화][주식문화]1929년의 증시 대공황, 미국...
십자군전쟁의 원인 발달 전개 결말 영향까지 총정리한 발표용 ppt입니다.
베트남 전쟁이 미국에 끼친 영향 영어에세이 (The effects of The Vietnam War on The U.S.A)
[희토류전쟁] 중국의 희토류 수출 감소에 따른 영향과 향후 전망 보고서
[희토류전쟁] 중국의 희토류 수출 감소에 따른 영향과 향후 전망 PPT자료
[환율전쟁] 양적완화정책에 따른 영향과 경제변화 보고서
[의학] 기술이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가, 건강과 질병[전쟁이 몰고온 암, 흑사병[페스...
러일 전쟁
2014년 1학기 한국사회문제 중간시험과제물 E형(한국전쟁이나 냉전 혹은 분단의영향)
러일 전쟁-비스마르크 체제,러불동맹과 영일동맹,러·일전쟁의 전개,발틱함대와 쓰시마해전,빌...
한국사회문제4C)한국전쟁이나 냉전, 분단이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나, 사회에서 일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