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 IMRI 사례
가. 사업개요
나. 대북 사업의 특징 및 의의
다. 성공요인
라. 시사점
2. (주) 엔트랙의 사례
가. 사업개요
나. 사업목적 및 사업내용
다. (주)엔트랙의 대북협력사업 강점
라. 시사점
가. 사업개요
나. 대북 사업의 특징 및 의의
다. 성공요인
라. 시사점
2. (주) 엔트랙의 사례
가. 사업개요
나. 사업목적 및 사업내용
다. (주)엔트랙의 대북협력사업 강점
라. 시사점
본문내용
교육센터 등을 포함한 벤처 기술집적 산업단지를 구축해 북한과 본격적인 정보통신 사업을 함께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현재 평양고육센터에는 2000년 9월말부터 30여명의 인력들이 IT관련 교육을 받았고 2001년 5월에 3차교육을 시작으로 500여명 이상이 교육을 받고 있다. 교육을 받은 북한 인력은 고려기술개발제작소에 투입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국내에 들여와 제조/판매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할 것이다. 대북진출에 관한 노하우를 공유하고 사업적 가능성을 배가시키기 위해, 앞으로 대북진출에 관심있는 10여개 업체들을 컨소시엄을 구성해 대북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나. 사업목적 및 사업내용
(주)엔트랙의 사업목적은 북한의 우수인력을 발굴하여 남북 공동제품을 개발, 특히 3D, 데이터 베이스 구축, 애니메이션 등을 제작, 판매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향후 남북경협의 전초기지의 건설을 위한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21세기 디지털 통일강국을 건설하는데 기여하고 하는데 있다.
사업내용은 <표 1>와 같다.
<표 1> 사업내용
사업상대방
민족경제협력연합회 광명성총회사
위 치
평양시 통일 거리(평양시 낙랑구역 낙랑동)
면 적
부지 85,658㎡ (약 2만6천평)
건 축
1차 : 연건평 17,660㎡ (약 5,400평)
2차 : Main Business Centeer(8,000평)
광명성총회사
부지, 인력, 기타 부대 장비 공급
(주)엔트랙
설계, 감리, 건립관련 자재, 기술인력 공급
다. (주)엔트랙의 대북협력사업 강점
(주)엘사이버는 2000년 9월 국내 최초의 평양 소프트웨어 교육센터와 소프트웨어 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주)엔트랙은 2001년 4월 국내 최초로 평양에 비즈니스 타운 설립에 관한 승인을 통일부로부터 획득을 하게 되었다. (주)엘칸토의 평양 만경대 구두 공장의 경험과 중국지사를 통한 사업추진이 용이하고 기존의 신뢰구축을 바탕으로 사업안정성과 북한이 필요로하는 다양한 Solution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S/W 임가공 분야에 있어서는 전문인력의 유동성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으며 북한의 우수한 인력을 활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제품 개발과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타 위탁가공에 비해 물류비 재료비가 적어서 수익률이 높고 공동 S/W개발로 수익을 확대할 수 있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라. 시사점
(주)엔트랙의 사업목적은 북한의 우수인력을 발굴하여 남북 공동제품을 개발, 특히 3D, 데이터 베이스 구축, 애니메이션 등을 제작, 판매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여 남북경협의 전초기지를 만들고자 하는데 있다.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북한은 상당한 기술 수준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남북의 기술협력이 상호에게 새로운 발전을 이끌 수 있는 분야에 사업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남북경협의 새로운 장을 열어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했으며 연구개발시설을 구축하여 잠재적인 역량을 펼쳐나가려는 전략은 상당히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내 기업의 유치와 북한의 기술인력을 교육시킴으로써 공동 발전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었다고 생각한다. 단기적인 사업성과에 머물지 않고 보다 중 장기적인 사업전략을 바탕으로 남북경협을 추진하고자 하는 것은 바람직한 태도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여타 분야에서도 그대로 적용되고 고려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유재왕, "남북경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 논문, p.2, 2003
중소기업 협동조합중앙회, "중소기업 남북경제협력사업은 이렇게 추진한다" 2000. 5와 사 내발간 자료 참고하여 작성
(주) IMRI 홈페이지
(주) 엔트랙 홈페이지
나. 사업목적 및 사업내용
(주)엔트랙의 사업목적은 북한의 우수인력을 발굴하여 남북 공동제품을 개발, 특히 3D, 데이터 베이스 구축, 애니메이션 등을 제작, 판매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향후 남북경협의 전초기지의 건설을 위한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21세기 디지털 통일강국을 건설하는데 기여하고 하는데 있다.
사업내용은 <표 1>와 같다.
<표 1> 사업내용
사업상대방
민족경제협력연합회 광명성총회사
위 치
평양시 통일 거리(평양시 낙랑구역 낙랑동)
면 적
부지 85,658㎡ (약 2만6천평)
건 축
1차 : 연건평 17,660㎡ (약 5,400평)
2차 : Main Business Centeer(8,000평)
광명성총회사
부지, 인력, 기타 부대 장비 공급
(주)엔트랙
설계, 감리, 건립관련 자재, 기술인력 공급
다. (주)엔트랙의 대북협력사업 강점
(주)엘사이버는 2000년 9월 국내 최초의 평양 소프트웨어 교육센터와 소프트웨어 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주)엔트랙은 2001년 4월 국내 최초로 평양에 비즈니스 타운 설립에 관한 승인을 통일부로부터 획득을 하게 되었다. (주)엘칸토의 평양 만경대 구두 공장의 경험과 중국지사를 통한 사업추진이 용이하고 기존의 신뢰구축을 바탕으로 사업안정성과 북한이 필요로하는 다양한 Solution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S/W 임가공 분야에 있어서는 전문인력의 유동성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으며 북한의 우수한 인력을 활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제품 개발과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타 위탁가공에 비해 물류비 재료비가 적어서 수익률이 높고 공동 S/W개발로 수익을 확대할 수 있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라. 시사점
(주)엔트랙의 사업목적은 북한의 우수인력을 발굴하여 남북 공동제품을 개발, 특히 3D, 데이터 베이스 구축, 애니메이션 등을 제작, 판매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여 남북경협의 전초기지를 만들고자 하는데 있다.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북한은 상당한 기술 수준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남북의 기술협력이 상호에게 새로운 발전을 이끌 수 있는 분야에 사업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남북경협의 새로운 장을 열어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했으며 연구개발시설을 구축하여 잠재적인 역량을 펼쳐나가려는 전략은 상당히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내 기업의 유치와 북한의 기술인력을 교육시킴으로써 공동 발전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었다고 생각한다. 단기적인 사업성과에 머물지 않고 보다 중 장기적인 사업전략을 바탕으로 남북경협을 추진하고자 하는 것은 바람직한 태도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여타 분야에서도 그대로 적용되고 고려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유재왕, "남북경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 논문, p.2, 2003
중소기업 협동조합중앙회, "중소기업 남북경제협력사업은 이렇게 추진한다" 2000. 5와 사 내발간 자료 참고하여 작성
(주) IMRI 홈페이지
(주) 엔트랙 홈페이지
추천자료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전략방향 (국제경영 WTO
의류기업의 중국진출
기업의세계화/해외진출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성공사례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성공 사례, 홍진크라운 (HJC)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 진출과 외국기업에 대한 투자환경 분석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성공 (Nexon-넥슨)
이랜드(e-land)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기업소개 및 역사와...
하이테크산업의 마케팅믹스전략, 건설산업의 마케팅믹스전략, 호텔산업의 마케팅믹스전략, 유...
엠에스엔-다국적 기업의 해외진출 실패사례 분석,MSN의 국내시장 진출,SWOT을 통한 실패요인 ...
[현대 자동차의 중국 진출] 연구 배경 및 목적, 터키 개관 및 배경, 연구목적, 한국-터키 FTA...
쉽게 사서 이익을 얻다 - 벼랑 끝 이마트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다, 이마트 (e-Mart) (이마...
[SM엔터테인먼트 해외진출 마케팅 레포트] SM엔터테인먼트 (SM Entertainment) 기업분석과 S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