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 시장분석 및 제언 - DMB상용화 준비단계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MB 시장분석 및 제언 - DMB상용화 준비단계의 문제점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DMB란?

Ⅱ. DMB 현황
1. 해외 현황
2. 국내 현황-지상파 DMB vs. 위성 DMB
1) 사업자 2) 기타 상황

Ⅲ. 문제점
1. 위성 DMB 문제점 : 위성 DMB 컨텐츠
2. 지상파 DMB 문제점 : 방송3사의 뉴미디어 장악 가능성
3. DMB 상용화 관련 문제점 : 1) 안개 속 DMB 정책 2) 적극적인 홍보 부족

Ⅳ. 제언
1. 위성 DMB 컨텐츠 문제 ⇨ 차별화된 컨텐츠 개발 필요
2. 지상파 DMB 문제점 ⇨ 신규 방송사업자를 대폭 확대하는 정책
3. DMB 상용화 ⇨ 법과 제도의 뒷받침, 적극적인 홍보 필요

Ⅴ. 결론

본문내용

상파 방송의 얼굴만 바꾸는 정책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신규방송사업자들이 기존의 방송사업자들의 견제를 받지 않고 활발히 사업에 참여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DMB 상용화의 문제 법과 제도의 뒷받침, 적극적인 홍보 필요
마지막으로 DMB상용화에 있어 법과 제도가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DMB 관련법과 제도가 현실 상황에 맞게 정비되어 DMB 상용화를 뒷받침 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방송위원회는 사안을 놓고 결정을 여러 번 번복하는 이때까지의 무기력한 모습을 버리고 적극적으로 미디어 정책을 내놓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DMB관련 정책을 제대로 결정하지 못해 일본에게 세계 최초 위성DMB 상용화를 빼앗긴 것과 같은 일을 되풀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 각 방송위원회와 사업체는 DMB 서비스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소비자들의 욕구(Need)가 없다면 무용지물이다. 방송이란 결국 사람이 보는 것이다. 사람의 커뮤니케이션 욕구가 없다면 방송도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여 준비한 DMB 사업이 사람들의 외면 속에 좌초되지 않기 위해서는 상용화 이전 정부와 DMB서비스 준비 사업자 중심으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쳐 시민들의 인지도를 올릴 필요가 있다.
Ⅴ. 결론
이 때까지의 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DMB란 방송과 통신이 융합 된 새로운 매체이다. 기존 매체의 시, 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진 만큼 DMB사업자들은 앞으로 다양한 컨텐츠 개발 통해 수용자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기술의 발전에 발맞추어 법과 제도의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상황은 기술 개발만 단독으로 앞서 나가고 나머지는 계속 쳇바퀴를 맴도는 상황이다. 앞으로는 서로간의 이익다툼에 열중하기보다 방송위원회와 각 사업자들 간의 활발한 논의를 통해 모든 사항을 신속하게 결정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준비 사업자들은 아무리 훌륭한 기술이라도 소비자들의 욕구(Need)가 없다면 상용화 될 수 없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하여 시민들의 DMB에 대한 인지도를 상승시켜 많은 자본을 투자한 DMB사업이 많은 수용자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고,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DMB,   위성,   지상파,   뉴미디어,   컨텐츠,   방송산업,   신매체,   방송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5.06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