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물체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실험 결과

2.고찰 및 토의

본문내용

실제로 찍힌 지점을 보정하여 값을 나타내면 아래 표와 같다.
모눈종이 스크린
1cm
12cm
1cm
5cm
카메라
17cm
3cm
<옆에서 본 모습>
20.9
11.82
-0.91
-11.81
-22.73
t[sec]
0.125
0.25
0.375
0.5
0.625
y값도 비례식에 의한 보정값을 계산하여 나타내면 아래표와 같다.
153.52
152.72
145.44
152.72
160
167.2
94.56
-7.28
-94.48
-181.84
위치 v
[cm] [cm/sec] x
x
0 0.125 0.25 0.375 0.5 0.625 t[sec] 0 0.125 0.25 0.375 0.5 0.625 t[sec]
y
y
2.고찰 밀 토의
실험 결과를 보면 45도일 때가 60도일 때보다 속도가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제로 45도로 물체를 던졌을 때 가장 멀리 날아간다. 중력의 방향과 던지는 방향을 합성하면 45도가 나오기 때문에 가장 멀리 날아간다. 수평 방향으로는 공기저항을 무시하면 초속도로 등속운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결과값을 보면 속도가 점점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공기저항을 받기 때문이다. 수직 방향으로는 공기저항을 무시하면 중력가속도에 의해서만 힘을 받고 운동을 하지만 지구상에는 공기의 저항이 있기 때문에 속도의 변화값이 변화하면서 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실제 대기상에서는 바람까지 작용하여 더욱 맞지가 않는다. 가속도 역시 일정가속도 운동을 하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론상으로와는 달리 실제로 공기의 저항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값이 어느 정도 일정하치 않고 불규칙한 모습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실제 모눈종이 스크린에 찍힌 위치 해석함에 따라 개인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다. 그리고 모눈종이 스크린에 찍힌 위치를 시간에 따라 찍은 사진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조금은 흐트러져서 합성된 경우에도 조금은 차이가 날 수 있다. 실험을 하면서 전혀 느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오차가 있다. 던지는 방향에 따라 편향력이라는 것의 힘이 다르게 작용하게 되는데 던지는 방향과 공중에 떠있는 시간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게 되어 오차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쇠공이 최고점에 있을때의 높이를 구하는 방법으로는 속도가 0일때 높이를 구하면 된다. 속도가 0일때는 최고 정점에서 내려오기 직전 순간 속도이기 때문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5.06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9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