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강대국들과는 동맹관계를 이루지 못했다. 영국은 비스마르크가 프랑스와 전쟁을 하는 것을 보고 독일을 경계하게 되었고, 막강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한 영국을 고립주의 정책을 펴고 있었다. 이는 다른 강대국이 자국의 중대한 이익을 위협하거나 유럽의 세력균형을 무너뜨릴 기도를 하지 않는 이상, 어떠한 동맹에도 개입할 의사가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당시 영국의 수상 디즈레일리는 3제동맹을 유럽 평화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 그 이유는 3제동맹에 영국의 최대 적인 러시아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비스마르크가 프랑스를 공격할지도 모른다는 것이 기사화 되기에 이른다. 이 뉴스가 보도되자 영국과 이탈리아가 독일에 대해 경고를 발했다. 또한 러시아의 재상은 비스마르크에게 프랑스를 침공할 의사가 없다는 약속을 해줄 것을 요구받는다. 비스마르크는 이에 좌절하여 사퇴까지도 고려하였다.
그러나 이런 외교적인 일들이 그를 쉬게 하지 않았다. 발칸반도에서 기독교 민족들이 회교 오스만제국의 지배에 대항하고 있었다. 만약 오스만제국의 지배가 무너질 경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러시아로 함께 개입하기 위해 채비를 갖추고 있었다. 또한 러시아는 동지중해의 항구를 손에 넣는 것으로 자국 외교의 이익을 얻고자 했다.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는 러시아의 팽창으로 인해, 아시아로 통하는 중요 해상로인 수에즈 운하가 위협받을 것을 두려워했다. 반면에 독일은 발칸반도에는 이해관계가 없었다. 이로 인해 유럽이 불안정해지자 1878년 6월13일 러시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오스만제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고 독일의 정치가들은 함께 모여 베를린 회의를 개최했다. 비스마르크는 의장직을 맡았다. 이 회의에서 오스트리아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차지하게 되었지만, 러시아는 합의사항에 불만족스러워했다. 차지한 영토가 있다해도 불가리아가 분할되어 있어 에게해의 항구를 차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는 비스마르크가 러시아의 야망을 저지시켜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꾸민 것이었다. 이로 인해 3제동맹은 깨지게 되었다. 그런데 이제는 프랑스가 러시아와 힘을 합쳐 독일을 공격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생겼다. 이에 1879년 독일은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과 재보장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러시아에게 위협적인 것이었다. 따라서 러시아는 3제동맹을 부활시키자는 제안을 하게 된다. 1881년 6월 18일 3제동맹이 부활되기에 이른다. 1884년과 1885년에 비스마르크는 식민지를 건설하게 된다. 영국은 독일의 진출을 자국의 식민지 국가들과 무역로에 대한 위협으로 보았다.
러시아는 무역과 자국내의 외국인 토지소유를 제한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비스마르크와의 의견대립이 있었다. 그는 러시아에 차관대여를 의도적으로 중지시켰다. 그러자 러시아는 프랑스로부터 5억 프랑의 차관을 얻어냈으며 이를 독일과의 국경 부근에 군사철도를 건설하는데 사용하였다. 정치체제가 완전히 다른 이 두나라는 긴밀한 경제 유대를 갖게 되고 1894년 군사동맹을 맺기에 이른다.
삼국동맹
1882년부터 1915년까지의 독일·오스트리 ·이탈리아 3국간에 체결된 방어비밀동맹.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1879년 2국동맹을 체결하였는데, 1881년 프랑스가 튀니지를 점령하여 보호국화하자, 일찍부터 곳에 야심을 품고 있던 이탈리아가 프랑스의 튀니지 점령을 인정하지 않고 1882년 5월 20일, 5년 기한으로 독일·오스트리아와 함께 이 동맹을 체결하였다. 1890년 독일의 비스마르크가 은퇴하기 전에는 비스마르크 안전보장체제의 일환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0세기 초에 들어서면서, 3국협상과의 대립이 격화함에 따라 지중해에서 영국과 대항할 힘이 없으며 오스트리아와는 미수복지 문제로 대립했던 관계로, 이탈리아는 점차 소극적이 되어, 이탈리아-터키전쟁, 발칸전쟁 이래 영국·프랑스에 접근하고 프랑스와는 비밀동맹을 체결하기도 했다. 그 때문에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이탈리아는 동맹국 원조의무는 방어전쟁에만 국한된다는 구실로 중립을 선언하고 결국 1915년 5월 3국동맹의 폐기를 선언한 뒤, 협상측에 가담하여 참전하였다.
※ 참고 문헌
- 두산동아 대백과사전
- 비스마르크 , Wilhelm Mommsen 지음, 최경은 옮김
도서출판 한길사, 1997년 7월 10일
- 비스마르크(세계지도자열전 20) : 조나산 로즈, 이기동역, 대현출판사, 1988
- 서양현대사 : 조경래, 인신사, 1990
- 독일사 : A.모로아, 전영애역, 홍성사, 1991
그러나 이런 외교적인 일들이 그를 쉬게 하지 않았다. 발칸반도에서 기독교 민족들이 회교 오스만제국의 지배에 대항하고 있었다. 만약 오스만제국의 지배가 무너질 경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러시아로 함께 개입하기 위해 채비를 갖추고 있었다. 또한 러시아는 동지중해의 항구를 손에 넣는 것으로 자국 외교의 이익을 얻고자 했다.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는 러시아의 팽창으로 인해, 아시아로 통하는 중요 해상로인 수에즈 운하가 위협받을 것을 두려워했다. 반면에 독일은 발칸반도에는 이해관계가 없었다. 이로 인해 유럽이 불안정해지자 1878년 6월13일 러시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오스만제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고 독일의 정치가들은 함께 모여 베를린 회의를 개최했다. 비스마르크는 의장직을 맡았다. 이 회의에서 오스트리아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차지하게 되었지만, 러시아는 합의사항에 불만족스러워했다. 차지한 영토가 있다해도 불가리아가 분할되어 있어 에게해의 항구를 차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는 비스마르크가 러시아의 야망을 저지시켜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꾸민 것이었다. 이로 인해 3제동맹은 깨지게 되었다. 그런데 이제는 프랑스가 러시아와 힘을 합쳐 독일을 공격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생겼다. 이에 1879년 독일은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과 재보장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러시아에게 위협적인 것이었다. 따라서 러시아는 3제동맹을 부활시키자는 제안을 하게 된다. 1881년 6월 18일 3제동맹이 부활되기에 이른다. 1884년과 1885년에 비스마르크는 식민지를 건설하게 된다. 영국은 독일의 진출을 자국의 식민지 국가들과 무역로에 대한 위협으로 보았다.
러시아는 무역과 자국내의 외국인 토지소유를 제한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비스마르크와의 의견대립이 있었다. 그는 러시아에 차관대여를 의도적으로 중지시켰다. 그러자 러시아는 프랑스로부터 5억 프랑의 차관을 얻어냈으며 이를 독일과의 국경 부근에 군사철도를 건설하는데 사용하였다. 정치체제가 완전히 다른 이 두나라는 긴밀한 경제 유대를 갖게 되고 1894년 군사동맹을 맺기에 이른다.
삼국동맹
1882년부터 1915년까지의 독일·오스트리 ·이탈리아 3국간에 체결된 방어비밀동맹.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1879년 2국동맹을 체결하였는데, 1881년 프랑스가 튀니지를 점령하여 보호국화하자, 일찍부터 곳에 야심을 품고 있던 이탈리아가 프랑스의 튀니지 점령을 인정하지 않고 1882년 5월 20일, 5년 기한으로 독일·오스트리아와 함께 이 동맹을 체결하였다. 1890년 독일의 비스마르크가 은퇴하기 전에는 비스마르크 안전보장체제의 일환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0세기 초에 들어서면서, 3국협상과의 대립이 격화함에 따라 지중해에서 영국과 대항할 힘이 없으며 오스트리아와는 미수복지 문제로 대립했던 관계로, 이탈리아는 점차 소극적이 되어, 이탈리아-터키전쟁, 발칸전쟁 이래 영국·프랑스에 접근하고 프랑스와는 비밀동맹을 체결하기도 했다. 그 때문에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이탈리아는 동맹국 원조의무는 방어전쟁에만 국한된다는 구실로 중립을 선언하고 결국 1915년 5월 3국동맹의 폐기를 선언한 뒤, 협상측에 가담하여 참전하였다.
※ 참고 문헌
- 두산동아 대백과사전
- 비스마르크 , Wilhelm Mommsen 지음, 최경은 옮김
도서출판 한길사, 1997년 7월 10일
- 비스마르크(세계지도자열전 20) : 조나산 로즈, 이기동역, 대현출판사, 1988
- 서양현대사 : 조경래, 인신사, 1990
- 독일사 : A.모로아, 전영애역, 홍성사, 1991
추천자료
인권과 국제정치(미국의 대이라크공격)
국제정치학 연구 방법론#3
장주기 국제정치이론 요약
냉전시기의 국제정치이론의 변화
기후변화와 국제정치
[국제정치학개론] 유럽 통합의 이론적 고찰과 형성과정 및 유럽연합의 교훈
[국제정치학개론] 전후로부터 현재까지의 유럽통합의 역사와 특징 및 유럽통합의 역사에 대한...
국제정치학개론,한국전쟁의 원인과 성격 그리고 전개과정
국제정치경제체제의 역사,자유주의-만델의 장기파동론,알트 파터,월러스틴
국가정보와 국제정치 기말 정리
[국제정치와 이해] 당나라
[현대국제정치론] 태평양 전쟁과 일본 (태평양 전쟁의 정의,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태평양 ...
[국제정치의 이해] 개입과 간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