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문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문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의미

2. 종류

3. 기능

4. 감상

본문내용

살문이나 용자문(用字文)을 사용하여 여닫이로 구성하였으며 바깥문은 철저히 보온을 잘하기 위해 격자살이 촘촘한 교살문 또는 세살문, 꽃살문을 미닫이 형태로 사용하여 열 손실을 막았다. 물론 겨울에는 채광 효과를 고려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이런 문을 조합하는 것이다. 특히, 비가 오는 궂은 날을 대비하여 그 밖에 다시 들창을 달아 악천후에 대비하는 지혜가 놀라울 뿐이다. 물론 이 들창의 단열효과 때문에 보온이 잘 됨은 말할 것도 없다. 조명이 필요한 낮이나 여름에는 촘촘하여 갑갑하게 느껴지는 바깥문을 밀어 버리고 문살이 듬성듬성하여 밝은 안 쪽 문만 사용함으로써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꽃살문의 보온효과 - 전통 창호문살 중 백미는 꽃살문이다. 주로 교살문, 격자문살의 교차된 부분에 꽃 무늬를 붙여 아름다움을 더해 주고 있다. 물론 미적 아름다움만으로도 충분히 감상의 가치가 있지만 만약 꽃살무늬 사이에 갇힌 공기의 작용이 인공적인 단열의 효과를 높여주고 있음을 탐구할 수 있겠는지? 그래서 웬만한 사찰에서는 법당문을 이중으로 하지 않고 깊은 교살문에 꽃살무늬를 얹은 꽃살문 하나로도 법당의 단열을 감당하고 있다. 기가 막힌 조상들의 지혜라고 생각된다.
4. 감상
이번 M.T때 안동하회마을, 병산서원, 부석사를 가서 우리나라 전통건축물을 직접 보고 옛날 선조들은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적인 조화와 여백의 멋을 즐겼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창호의문양이 이렇게 다양하고, 섬세하게 표현했음을 볼 수 있었다. 무심코 봐왔던 우리나라의 창호는 이렇게 미적인면에서 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면에서도 뛰어나다는 것을 알았다.

키워드

문살,   창호,   살무늬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5.1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6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