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목회상담의 원리
3. 목회상담의 배경
4. 목회상담과 목회자
5. 목회상담의 대상 이해
6. 목회상담의 심리적 이해
7. 결론
2. 목회상담의 원리
3. 목회상담의 배경
4. 목회상담과 목회자
5. 목회상담의 대상 이해
6. 목회상담의 심리적 이해
7. 결론
본문내용
.
2) 생리 심리학 - 유기체의 행동을 지배하는 신경계통이나 내분비선 등의 기능을 연구하는 분야로 유기체의 생리적 측면을 연구하는 심리학이다.
3) 실험심리학 또는 이론 심리학 - 실험실에서 연구되는 모든 심리학의 지식을 포함한다.
4) 비교심리학 - 동물의 종족사이의 행동을 비교 연구하는 것으로 동물심리학, 인종심리학, 차이 심리학, 발달심리학의 뜻도 포함한다.
5) 차이심리학 혹은 개인차 심리학 - 심리검사를 가지고 인간의 능력이나 태도 등을 측정하여 그 차이와 유사성을 연구하는 심리학이다.
6) 발달 심리학 - 심신의 발달을 대상으로 하여 그 일반적 경향이나 법칙 등을 연구하는 심리학이다.
7) 교육심리학 - 교육과정에서 생기는 여러 가지 심리적 현상을 연구하여 그의 법칙과 사실을 밝히고 교육을 효율적으로 추진시키려는 심리학의 분야이다.
8) 산업심리학 - 인사 선발, 작업능률, 상품매매 등 산업부분의 여러 가지 문제에 관련된 응용심리학의 하나이다.
9) 역동심리학 - 성격심리학과 동일하며 주로 개인의 적응행동을 취급한다.
10) 이상 심리학 - 일반적으로 정상상태에서 이탈된 행동을 취급한다. 임상 심리학의 기반이 된다.
11) 임상심리학 - 역동심리학과 이상 심리학에서 얻은 결과를 적용하여 행동 곤란을 진단하고 그것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주는 심리학 분야이다.
12) 사회 심리학 - 사회학과 문화인류학이 서로 밀접한 관계이다.
5. 프로이드 학파의 이론
프로이드는 인간을 내적으로 갈기 갈기 찢어진 존재라고 보았다. 그는 인간이란 기본적인 원시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프로이드는 이것을 이드(Id 성과 공격)라 불렀다. 그러나 사람에게는 또한 초자아(Super Ego 더욱 자주 양심이라고 부르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라는 것이 있다.
6. 프로이드 학파의 과오
프로이드는 종교란 유아기에 속한 것인데, 인간은 여기서 성장할 필요가 있는데 종교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있고 인간이 나이가 들어 성장하면 그에게는 더 이상 종교가 필요하지 않다고 한다. 프로이드의 이론들은 현대 사회의 질병들을 복잡화시킨 요인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이것은 모든 질병의 근원이며 궁극적으로 죄이다.
7. 프로이드 이론과 목회상담의 관계
목회상담에서 프로이드의 원리를 그대로 적용시키고 있는 경우는 비기독교적인 것을 기독교에 적용하려는 모순을 범하고 있다. 목회상담은 정신의학자들의 이론과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사역이다. 영혼을 구하려는 하나님의 사역자들의 헌신적 노력이어야 한다.
8. 정신병과 목회상담
상담자인 목회자는 정신병 학자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하나님의 사역자이다. 하나님의 사역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기초로 하여 이 문제들을 해결하여야 한다. 목회자들이 여기에 대한 기본 관념이 없으면 모든 것이 실패에 돌아가고 말며, 제대로 되어지지 아니할 것이다. 이미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심리학이나 정신의학은 하나의 도구이지 목적이 아니다. 그러므로 목회 상담은 성경을 기초한 기본적인 원리의 제시가 선행되어야 하며 여기서 얻어지는 진리가 심령의 모든 문제를 근본적으로 치료할 것이다.
Ⅶ. 결 론
급변하는 시대 상황은 목회 영역을 세분화시키고 과학적인 연구와 분석을 필요로 하게 한다. 목회자가 가지는 영역중 설교, 심방, 전도 등은 상담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현대 목회는 신자들 사이에 일어나는 개인적 불안과 긴장의 상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목회자는 그것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목회자는 상담에 관한 깊은 연구와 실천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영성과 전문성의 적절한 조화를 의미한다.
2) 생리 심리학 - 유기체의 행동을 지배하는 신경계통이나 내분비선 등의 기능을 연구하는 분야로 유기체의 생리적 측면을 연구하는 심리학이다.
3) 실험심리학 또는 이론 심리학 - 실험실에서 연구되는 모든 심리학의 지식을 포함한다.
4) 비교심리학 - 동물의 종족사이의 행동을 비교 연구하는 것으로 동물심리학, 인종심리학, 차이 심리학, 발달심리학의 뜻도 포함한다.
5) 차이심리학 혹은 개인차 심리학 - 심리검사를 가지고 인간의 능력이나 태도 등을 측정하여 그 차이와 유사성을 연구하는 심리학이다.
6) 발달 심리학 - 심신의 발달을 대상으로 하여 그 일반적 경향이나 법칙 등을 연구하는 심리학이다.
7) 교육심리학 - 교육과정에서 생기는 여러 가지 심리적 현상을 연구하여 그의 법칙과 사실을 밝히고 교육을 효율적으로 추진시키려는 심리학의 분야이다.
8) 산업심리학 - 인사 선발, 작업능률, 상품매매 등 산업부분의 여러 가지 문제에 관련된 응용심리학의 하나이다.
9) 역동심리학 - 성격심리학과 동일하며 주로 개인의 적응행동을 취급한다.
10) 이상 심리학 - 일반적으로 정상상태에서 이탈된 행동을 취급한다. 임상 심리학의 기반이 된다.
11) 임상심리학 - 역동심리학과 이상 심리학에서 얻은 결과를 적용하여 행동 곤란을 진단하고 그것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주는 심리학 분야이다.
12) 사회 심리학 - 사회학과 문화인류학이 서로 밀접한 관계이다.
5. 프로이드 학파의 이론
프로이드는 인간을 내적으로 갈기 갈기 찢어진 존재라고 보았다. 그는 인간이란 기본적인 원시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프로이드는 이것을 이드(Id 성과 공격)라 불렀다. 그러나 사람에게는 또한 초자아(Super Ego 더욱 자주 양심이라고 부르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라는 것이 있다.
6. 프로이드 학파의 과오
프로이드는 종교란 유아기에 속한 것인데, 인간은 여기서 성장할 필요가 있는데 종교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있고 인간이 나이가 들어 성장하면 그에게는 더 이상 종교가 필요하지 않다고 한다. 프로이드의 이론들은 현대 사회의 질병들을 복잡화시킨 요인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이것은 모든 질병의 근원이며 궁극적으로 죄이다.
7. 프로이드 이론과 목회상담의 관계
목회상담에서 프로이드의 원리를 그대로 적용시키고 있는 경우는 비기독교적인 것을 기독교에 적용하려는 모순을 범하고 있다. 목회상담은 정신의학자들의 이론과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사역이다. 영혼을 구하려는 하나님의 사역자들의 헌신적 노력이어야 한다.
8. 정신병과 목회상담
상담자인 목회자는 정신병 학자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하나님의 사역자이다. 하나님의 사역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기초로 하여 이 문제들을 해결하여야 한다. 목회자들이 여기에 대한 기본 관념이 없으면 모든 것이 실패에 돌아가고 말며, 제대로 되어지지 아니할 것이다. 이미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심리학이나 정신의학은 하나의 도구이지 목적이 아니다. 그러므로 목회 상담은 성경을 기초한 기본적인 원리의 제시가 선행되어야 하며 여기서 얻어지는 진리가 심령의 모든 문제를 근본적으로 치료할 것이다.
Ⅶ. 결 론
급변하는 시대 상황은 목회 영역을 세분화시키고 과학적인 연구와 분석을 필요로 하게 한다. 목회자가 가지는 영역중 설교, 심방, 전도 등은 상담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현대 목회는 신자들 사이에 일어나는 개인적 불안과 긴장의 상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목회자는 그것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목회자는 상담에 관한 깊은 연구와 실천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영성과 전문성의 적절한 조화를 의미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행동주의 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행동치료 상담]행동주의 이론과 행동주의 학습이론 및 ...
상담의 기본원리와 노인상담의 특성
[진로상담][진로상담 원리][진로상담 목표][진로상담 실태][진로상담 발전과제]진로상담의 개...
가족상담의 원리와 기법 그리고 가족상담의 목적과 필요성
생활지도의 배경과 영역 그리고 상담
상담의 기본방법, 상담면접의 원리에 대하여 서술
[가족상담 및 치료]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기본원리와 해결중심으로 이끄는 질문들을 정리
행동주의 아동상담이론의 원리와 기법
가족상담의 기본개념 및 원리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발달배경
[상담사례]게슈탈트 이론을 배경으로 만 7세 초등학교 2학년 여아의 상담 사례 (총 4회 분량)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치료의 발달 배경 - 가족치료, 가족치료의 기초, 가족치료의 발달배...
[진로進路상담이론]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개관과 이론적 배경 및 기본 구인(자기효능감, 결과...
상담(Counseling)과 상담의 방법(Counseling Processes and Methods)에 대해서 {상담의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