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도심 변두리 빈민층의 삶 - 박태순 「정든 땅 언덕 위」
2.2. 도시화 정책에 따른 도태된 소외 계층의 삶 - 조선작 「영자의 전성시대」
2.3. 산업화와 소외된 계층의 삶 - 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3. 결론
2. 본론
2.1. 도심 변두리 빈민층의 삶 - 박태순 「정든 땅 언덕 위」
2.2. 도시화 정책에 따른 도태된 소외 계층의 삶 - 조선작 「영자의 전성시대」
2.3. 산업화와 소외된 계층의 삶 - 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3. 결론
본문내용
수밖에 없게 만드는 사회 현실의 모순을 비판적으로 담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에서는 오선생의 시선을 통해 구도에 유난히 집착을 보이는 권씨의 모습이 제시되고 있다. 70년대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쇠외된 계층에 관심을 가져오던 작가는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인물과 배경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학식을 갖추었으나 도시빈민에 가까운 권씨가 주인공으로 설정되었으며, 그를 옆에서 관찰하는 전형적인 소시민인 오선생이 서술자가 되어 작품을 전개하고 있다. 오선생이 더 나은 상층의 삶을 꿈꾸는 평범한 소시민이라면, 권씨는 대졸이라는 학력을 내세워서라도 자존심을 지키고자 하는 사람이다. 권씨가 처한 현실적 위치와 스스로가 규정하고자 하는 정체성 사이의 괴리감은 오선생의 시선을 통해 관찰된다. 도시빈민으로 전락한 주인공이 끝까지 지키고자 했던 지식인적 자존심을 상실해 가는 과정이 오선생이란 소시민의 눈을 통해 관찰된다는 구조로 사실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는 지식인을 통해 하층민의 삶을 바라보되, 그 지식인의 시선이 관념적이고 이중적임을 비판하게 되는 면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빈곤층의 반발과 지식인들의 비판은 극심하게 드러나는데, 작품이 나온 시기에 이르러 작가들의 사회의식도 그 전보다 크게 강화되어 지배계층이 물질적인 풍요만을 최고의 가치로 규정하는 데 반발하여 정신적·문화적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배체제가 빈부격차의 문제를 방치 내지 조장하는 데 반발하여 평등한 세상에로 다가가는 길을 모색했으며,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수많은 문제점들을 부각시키고 있다. 창작의욕을 고취하여 현실 문제에 대한 참여의지가 반영된 리얼리즘 계통의 작품들을 통해 민중들의 의식을 일깨워주는 큰 공헌을 하였음을 느낄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조남현 「70년대 소설의 실상과 의미」『우리 소설의 판과 틀』 서울대출판부 1991
2.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4』 시공사 2000
3. 류희식 『1970년대 도시소설에 나타난 '변두리성' 연구』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 2003
4. 조문주 『박태순 소설 연구』성균관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5. 추진호 『윤흥길 소설 연구』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 박현숙 『윤흥길 단편 소설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 김수진 『윤흥길 소설의 주제와 기법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에서는 오선생의 시선을 통해 구도에 유난히 집착을 보이는 권씨의 모습이 제시되고 있다. 70년대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쇠외된 계층에 관심을 가져오던 작가는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인물과 배경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학식을 갖추었으나 도시빈민에 가까운 권씨가 주인공으로 설정되었으며, 그를 옆에서 관찰하는 전형적인 소시민인 오선생이 서술자가 되어 작품을 전개하고 있다. 오선생이 더 나은 상층의 삶을 꿈꾸는 평범한 소시민이라면, 권씨는 대졸이라는 학력을 내세워서라도 자존심을 지키고자 하는 사람이다. 권씨가 처한 현실적 위치와 스스로가 규정하고자 하는 정체성 사이의 괴리감은 오선생의 시선을 통해 관찰된다. 도시빈민으로 전락한 주인공이 끝까지 지키고자 했던 지식인적 자존심을 상실해 가는 과정이 오선생이란 소시민의 눈을 통해 관찰된다는 구조로 사실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는 지식인을 통해 하층민의 삶을 바라보되, 그 지식인의 시선이 관념적이고 이중적임을 비판하게 되는 면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빈곤층의 반발과 지식인들의 비판은 극심하게 드러나는데, 작품이 나온 시기에 이르러 작가들의 사회의식도 그 전보다 크게 강화되어 지배계층이 물질적인 풍요만을 최고의 가치로 규정하는 데 반발하여 정신적·문화적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배체제가 빈부격차의 문제를 방치 내지 조장하는 데 반발하여 평등한 세상에로 다가가는 길을 모색했으며,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수많은 문제점들을 부각시키고 있다. 창작의욕을 고취하여 현실 문제에 대한 참여의지가 반영된 리얼리즘 계통의 작품들을 통해 민중들의 의식을 일깨워주는 큰 공헌을 하였음을 느낄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조남현 「70년대 소설의 실상과 의미」『우리 소설의 판과 틀』 서울대출판부 1991
2.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4』 시공사 2000
3. 류희식 『1970년대 도시소설에 나타난 '변두리성' 연구』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 2003
4. 조문주 『박태순 소설 연구』성균관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5. 추진호 『윤흥길 소설 연구』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 박현숙 『윤흥길 단편 소설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 김수진 『윤흥길 소설의 주제와 기법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추천자료
분단과 산업화 시대의 문학
우리나라 산업화시대의 문학
시인 김광규와 70년대 산업화시대
산업화 시대의 문학 : 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시가,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고려가요, 한국 중세문학 고...
한국 중세문학 조선시대문학의 배경, 한국 중세문학 조선전기문학과 조선후기문학, 한국 중세...
한국 중세문학 조선전기문학, 한국 중세문학 조선후기문학, 한국 중세문학 조선시대문학 야담...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특성,배경, 한국 중세문학 고려시대문학 가전체문학, 한국 중세...
[삼국시대][삼국시대 한문학][삼국시대 공예][삼국시대 불교미술][삼국시대 미술][삼국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