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여성학 강의를 읽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 여성학 강의를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장 여성학이란 무엇인가

2장 평등과 해방의 꿈 - 페미니즘의 다양한 모색

3장 성차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4장 여성과 문화 읽기

5장 남성과 남성 문화

6장 여성의 몸과 정체성

7장 성과 권력

8장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결혼과 가족

9장 역사 속의 여성과 일

10장 현대 사회와 여성의 일

11장 서구 여성 운동의 어제와 오늘

13장 한국 여성 운동의 흐름과 과제

14.맺음말

본문내용

의 여성과 일
1.중세 경제의 특징: 가구 경제
경제의 기반이 가구였다는 사실은 노동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임금이 유일한 기준이 아니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근대 이후와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있다.가구에 기반을 둔 경제에서 여성과 남서의 일은 모두 생존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었지만, 서로의 여역은 세세히 규종되어 있었다. 농촌에서 여셩의 영역은 집, 남서의 영역은 바깥이다
2.여성 노동의 특징: 저임금, 미숙련, 낮은 지위, 잦은 이동
3.함께한 노동, 불평등한 지위
여성과 남성은 여러 가지 면에서 결코 평등하지 않을 뿐 아니라 가구를 벗어나 경제적으로 오로지 사회적으로 독립된 여성이란 존재하지 않았고, 여성의 가치는 오로지 사회적으로 ‘여성의 영역’ 이라 규정된 작업과 공간에 머물러 있을 때만 인정될 뿐이었다.
10장 현대 사뢰와 여성의 일
1.여성은 어디서 어떻게 일하고 있나?
-연령별 결제 활동 참가율에서 연령,취업률 곡선을 보면 아직도 M자형의 차막 형태를 보이고 있다.
-우리 나라 여성 취업자의 직종별 구성을 살펴보면 노동 시장에서 하위의 직종에 많은 여성들이 집중 되어 있다.
2.포드주의와 대량 생산체제하에서의 여성 노동
현대 사회에서 여성이 어떤 일을 하는가 하는 문제는 자본주의적 생산 방식의 변화와 깊은 관께가 있다. 특히 구체적인 생산현장에서 노동이 수행하는 방식, 즉 노동 과정의 변화는 노동 조직과 노동력 수요의 변동을 가져옴으로써 여성의 공용 기회와 고용 형태에 중요한 영햐을 끼친다.포드주의 적인 대량 생산 체제를 확대시키는 계기가 되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여성들이 조립이나 가공 공정에 투입된다.
3.성별 직업 분리
성별 직업분리는 서구 사회에서도 노동 시장에 존재하는 중요한 성불평등 현상으로 지적되고 있다.
4.노동 시장의 성 불평등에 관한 이론
-인적 자본론:여성은 가사 노동과 임신, 출산, 육아로 인해 노동 시장에 참여하는 것이 불연속적이므로 지식과 기술의 습득에 필요한 투자를 꺼리게 된다는 것
-통계적 차별론:노동 시장의 불완전한 정보에 의해 발생하는 차별을 말한다
-혼합가설:여성들 스스로 여성적인 직업을 선택하기 때문에 노동 시장에서 낮은 지위를 갖게 된다.(본인의 경험에 비추어 가장 잘 이해된는 부분)
11장 서구 여성 운동의 어제와 오늘
-의회 민주주의가 순조롭게 발전한 국가에서 자유주의 여권 운동이 만개 하였을 뿐 아니라 가장 급진적인 단께인 참정권 획득으로가지 발전 된 경우
-보수, 봉건 세력의 힘이 강하여 정치적 자유뿐 아니라 남성의 일반,보통 선거권까지 제한 된 국가들
-차르 치하의 러시아와 같은 경우
13장 한국 여성 운동의 흐름과 과제
1.여성운동의 목표
-여성운동은 남성 지배체제인 가부장제를 개혁하기 위한 것이다
-여성운동은 가부장적인 제도의 개혁뿐 아니라 가부장적인 문화.의식을 개혁하기 위해 활동하기도 한다
-여성운도은 전략적 목표와 현실적 목푤르 추구한다
2.여성 운동과 여성 단체의 역할
-여성 단체는 여성의 이해를 대변한다
-여성 단체는 압력 단체의 역할을 한다
-여성 단체는 여성들의 의식화하고 조직화 한다
-여성 단체는 여성 지도자를 육성하고 공급한다
3. 한국 여성 운동의 과제
-가부장제 개혁을 위한 대중적 여성 운동이 필요하다
-다양한 여성들이 당야한 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펼치는 여성 운동이 필요하다
-여성의 정치 세력화를 위한 운동이 강화 됫어야 한다
14.맺음말
이 책에서는 여성과 남성의 이분법화 된 사회적 인식 및 사회적 구조를 비판한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처음부터 끝까지 여성은~~ 남성은~~ 식의 논리를 전개하고 하고 있다. 굳이 말하자면 순환반복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그래서 인지 조금 읽다보면 짜증 날 정도로 했던 말이 계속 전개 된다. 원래가 남성과 여성이 이성이라는 것 자체가 이분적일지는 모르지만 그러한 사실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잘못 되지 않은가 싶다. 속은 이분화 되어 있는데 말은 이분화하면 안 된다 는 식의 논리 전개는 어불 성설이다.
사실 사회생활을 조금이라 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 남성이기에 여성과 비교해서 우월하다는 사고는 이미 젊은 층들에 먹히지 않은 옛 이야기 임을 알고 있다.좀더 솔직히 독자들에게 다가가야할 필요가 있다. 즉 본인의 경험과 주위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여자를 여성인 아닌 사람으로 보이느냐? 아님 여성한테 남성을 남성이 아닌 사람으로 보이느냐 질문을 던질 때 무엇이라 답할지 궁금하다. 즉 다시 말해 여성은 남성에 비해 불평등한 차별을 받아 왔고 지금도 그러하다라는 눈에 보이는 결론 보다는 지켜져야할 여성과 남성이 있다는 전제하에 보다 근본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본인은 학원 강사이다. 아이들을 접할 때 여성과 남성아이들의 차이는 확연하다. 물론 사회적 구조와 억압에 의해서 남성화 여성화 되어질지도 모르겠다. 중요한 것은 제도가 남성화 되어야 한다 여성화 되어야 한다는 인식의 전달 이전에 여자 아이들과 남자 아이들의 사고 방식은 판이하게 틀리다. 그러면 좀더 거슬러 유아기로 거슬러 올라가 무조건 사뢰적 구조가 남성화 여성화 했다고 주장만 하는 것이 오른가?
본인이 하고자 하는 말은 여성과 남성의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혹자는 생리적인 차이만 있을 뿐이다 라고 주장 할 숭도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정신 적인 차이가 존재 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문화 적 차이다 구조적 차이다 말할 수도 있지만 본인이 이야기 하는 것은 점더 근원적인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근원적인 차이를 도외시 한 체 과거부터 지금가지의 현상을 있는 그대로 부정할 것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도대체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생리적 차이만 있을 뿐이라면 남성과 여성의 만남의 의미는 완전히 뒤죽 박죽이 되지 않을까? 남자는 여성적인면에 마음이 흔들리고 사랑을 하게 된다. 그런데 여자가 남성답고 남성이 여성답다면 그 어디에 이성적 만남이 있겠는가?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생리적 차이뿐만 아니라 사회, 역사, 국가가 만들어낸 차이가 존재하고 그 속엔 정신적인 차이가 존재함을 인식 한 후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을 논의해야 할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5.15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