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 미샤를 선정하게된 이유
1. 미샤 소개
(1) 회사연혁
(2) 미샤의 탄생
(3) 미샤의 성장
(4) 서영필 사장
2. 미샤의 가격정책
(1) 가격이란
(2) 기존 화장품의 가격과 미샤 화장품의 가격
3. 미샤의 SWOT 분석
(1) SWOT 분석
(2) SWOT 분석에 따른 세부전략
1. 미샤 소개
(1) 회사연혁
(2) 미샤의 탄생
(3) 미샤의 성장
(4) 서영필 사장
2. 미샤의 가격정책
(1) 가격이란
(2) 기존 화장품의 가격과 미샤 화장품의 가격
3. 미샤의 SWOT 분석
(1) SWOT 분석
(2) SWOT 분석에 따른 세부전략
본문내용
기 때문이다. 화장품 판매는 기능이나 효과보다는 브랜드이미지에 좌우된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화장품은 고몰입 제품으로 이미지와 브랜드를 구입하는 것이다. 또한 여성들에겐 고급 브랜드로고가 찍힌 제품을 갖고 싶어하는 '묘한심리‘가 있기 때문에 미샤의 가격경쟁력이 오히려 미샤에게 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OPPORTUNITY 기회요인
계속되는 내수침체로 소비자의 소비심리가 꽁꽁 언 상황에서 미샤는 수입화장품과 국내브랜드의 고급화로 생긴 '틈새시장'을 개척하여 화장품 원가를 공개하고 '정가가격정책'을 시도하게 되었다. 미샤의 가격정책은 더 이상 소비자들이 비싼 화장품만 쓰는 것이 아니라 '싸고 품질이 좋다면 쓰겠다'라는 뷰티넷 회원들의 의견을 전제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화장품이 이제는 생활 필수품이라는 인식의 전환도 미샤의 성공의 기회요인이 되고 있다. 미샤는올해 7∼8월 호주ㆍ싱가포르 시장 진출을 시작으로 유럽 및 홍콩 수출 등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8월 모집을 시작, 6개월째 100호점을 돌파했던 가맹점도 올해 말 200여개로 확대될 예정이며 또한 코스닥 등록에 대한 예정도 밝히고 있다.
4) THREATEN 위협요인
미샤의 등장으로 화장품가격파괴가 이루어지자 더페이스샵, 2000컬러스, 도도클럽 등의 저가정책을 위주로하는 후발업체가 속속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미샤가 개척해 놓은 화장품과 국내브랜드의 고급화로 생긴 '틈새시장'에서의 시장 경쟁의 강화를 의미하며 기존 고급 화장품 회사들이 대거 중저가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이라는 점은 화장품 가격파괴 시장경쟁의 가속화를 가져오고 있다.
(2) SWOT 분석에 따른 세부전략
1) SO전략(강점-기회 전략)
수입화장품과 국내 브랜드의 고급화로 인해 실리적인 면을 중시하는 20대 초반의 여성이나 부모님께 용돈을 받아쓰는 청소년의 경우 마땅히 이용할 브랜드가 없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미샤는 청소년이나 젊은 여성층이 선호하는 가수인 보아를 이미지 모델로 이용하여 미샤가 젊고 실리적인 이미지의 브랜드임을 강조하고 있다.
화장품은 생활 필수품중 하나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데 미샤는 이러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미샤는 선매품이 아니라 편의품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심어주는 광고 전략을 펼쳐야 한다.
온·오프라인의 통합으로 인한 고객과의 두터운 관계를 고객의 수를 늘리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을 의견을 중시하는 브랜드 이미지로 광고를 할 필요가 있다. 고객에게 모든 것을 공개하는 투명한 기업이라는 이미지에 대한 강화와 실제 코스닥에 상장되었을 때 기업 경영이 투명하다면 시너지 효과로 인해 미샤에 대한 이미지가 한층 더 좋아질 수 있을 것이다.
2) ST전략( 강점-위협 전략)
가장 큰 위협요인은 저가 정책을 위주로 하는 후발업체의 등장으로 인해 경쟁이 심화되었다는 점과 미샤와 비교해 비교적 브랜드 이미지가 확고한 기존 고급 화장품 회사들이 중저가 화장품을 출시했다는 점이다. 미샤가 이를 잘 이겨내기 위해서는 앞에서 말했듯이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빠르고 고객의 의견을 소중히 여긴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미샤의 가장 큰 핵심역량은 미샤는 고객에 의해 성장했기 때문에 그만큼 고객의 needs에 민감하고 고객과의 관계가 두텁다는 것이다.
향후 경기 회복이 되었을 경우 소비가 다시 고급화되더라도 타격을 입지 않으려면 미샤의 타겟층이 확실히 정해져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미샤는 20대 중반의 여성층이나 중년층에 대한 화장품 계열 즉 주름개선과 같은 제품군보다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 계열 즉 화이트닝이나 여드름 개선과 같은 제품군이 강조되어야 한다.
3) WO전략(약점-기회전략)-약점을 극복함으로써 시장기회 활용
미샤의 최대 약점은 저가 화장품에 대한 질의 의심이다. 즉 가격에 대한 선입견을 없애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가 약해서 me-too기업으로 넘어가는 고객이 많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미샤는 광고비용의 절감만을 통해 저가정책을 이루어 내는 것이 아닌 만큼 장기적 안목으로 광고에 대해 좀더 투자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샤는 화장품을 생활 필수품이라고 정의하고 있는 만큼 POP 광고도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화장품의 질에 대한 의심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제품 사용 후기에 대한 이벤트를 많이 열어 구전효과를 누리는 길도 있고 고객 참여를 통한 브랜드 광고나 이벤트를 증가시켜 타겟층인 1020세대의 많은 호응을 얻어내고 또한 내가 직접 만들어가는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강화시켜야 한다.
또한 지금의 성장 속도로 볼 때 적정 생산 수준을 넘어 더 많은 생산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생산비용의 증대도 문제가 되지만 각 매장 마다 직원의 교육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자칫하면 불친절한 싸구려 상품의 이미지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각 매장의 직원의 상품에 대한 교육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화장품을 잘 모르는 고객의 경우 몰라서 못사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비용이 저렴한 온라인을 이용하여 각 대리점의 직원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4) WT전략(약점-위협전략)- 위협을 회피하며 약점을 최소화 시키는 전략
역시 가장 큰 위협요인은 기존 고급 화장품 회사의 중저가 브랜드 출시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위협은 위에서 밝힌대로 미샤의 핵심역량을 강화해서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꽤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만약 기존 고급 화장품 회사와의 가격 경쟁이 붙을 경우 미샤의 수익성 자체가 위협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쟁이 치열해질 것을 대비하여 기존의 제품을 따라 만드는 수준이 아니라 미샤만의 독특한 기능을 가진 신제품 라인을 가질 필요가 있다.
목 차
서 론 - 미샤를 선정하게된 이유
1. 미샤 소개
(1) 회사연혁
(2) 미샤의 탄생
(3) 미샤의 성장
(4) 서영필 사장
2. 미샤의 가격정책
(1) 가격이란
(2) 기존 화장품의 가격과 미샤 화장품의 가격
3. 미샤의 SWOT 분석
(1) SWOT 분석
(2) SWOT 분석에 따른 세부전략
3) OPPORTUNITY 기회요인
계속되는 내수침체로 소비자의 소비심리가 꽁꽁 언 상황에서 미샤는 수입화장품과 국내브랜드의 고급화로 생긴 '틈새시장'을 개척하여 화장품 원가를 공개하고 '정가가격정책'을 시도하게 되었다. 미샤의 가격정책은 더 이상 소비자들이 비싼 화장품만 쓰는 것이 아니라 '싸고 품질이 좋다면 쓰겠다'라는 뷰티넷 회원들의 의견을 전제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화장품이 이제는 생활 필수품이라는 인식의 전환도 미샤의 성공의 기회요인이 되고 있다. 미샤는올해 7∼8월 호주ㆍ싱가포르 시장 진출을 시작으로 유럽 및 홍콩 수출 등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8월 모집을 시작, 6개월째 100호점을 돌파했던 가맹점도 올해 말 200여개로 확대될 예정이며 또한 코스닥 등록에 대한 예정도 밝히고 있다.
4) THREATEN 위협요인
미샤의 등장으로 화장품가격파괴가 이루어지자 더페이스샵, 2000컬러스, 도도클럽 등의 저가정책을 위주로하는 후발업체가 속속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미샤가 개척해 놓은 화장품과 국내브랜드의 고급화로 생긴 '틈새시장'에서의 시장 경쟁의 강화를 의미하며 기존 고급 화장품 회사들이 대거 중저가 화장품을 출시할 예정이라는 점은 화장품 가격파괴 시장경쟁의 가속화를 가져오고 있다.
(2) SWOT 분석에 따른 세부전략
1) SO전략(강점-기회 전략)
수입화장품과 국내 브랜드의 고급화로 인해 실리적인 면을 중시하는 20대 초반의 여성이나 부모님께 용돈을 받아쓰는 청소년의 경우 마땅히 이용할 브랜드가 없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미샤는 청소년이나 젊은 여성층이 선호하는 가수인 보아를 이미지 모델로 이용하여 미샤가 젊고 실리적인 이미지의 브랜드임을 강조하고 있다.
화장품은 생활 필수품중 하나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데 미샤는 이러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미샤는 선매품이 아니라 편의품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심어주는 광고 전략을 펼쳐야 한다.
온·오프라인의 통합으로 인한 고객과의 두터운 관계를 고객의 수를 늘리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을 의견을 중시하는 브랜드 이미지로 광고를 할 필요가 있다. 고객에게 모든 것을 공개하는 투명한 기업이라는 이미지에 대한 강화와 실제 코스닥에 상장되었을 때 기업 경영이 투명하다면 시너지 효과로 인해 미샤에 대한 이미지가 한층 더 좋아질 수 있을 것이다.
2) ST전략( 강점-위협 전략)
가장 큰 위협요인은 저가 정책을 위주로 하는 후발업체의 등장으로 인해 경쟁이 심화되었다는 점과 미샤와 비교해 비교적 브랜드 이미지가 확고한 기존 고급 화장품 회사들이 중저가 화장품을 출시했다는 점이다. 미샤가 이를 잘 이겨내기 위해서는 앞에서 말했듯이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빠르고 고객의 의견을 소중히 여긴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미샤의 가장 큰 핵심역량은 미샤는 고객에 의해 성장했기 때문에 그만큼 고객의 needs에 민감하고 고객과의 관계가 두텁다는 것이다.
향후 경기 회복이 되었을 경우 소비가 다시 고급화되더라도 타격을 입지 않으려면 미샤의 타겟층이 확실히 정해져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미샤는 20대 중반의 여성층이나 중년층에 대한 화장품 계열 즉 주름개선과 같은 제품군보다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 계열 즉 화이트닝이나 여드름 개선과 같은 제품군이 강조되어야 한다.
3) WO전략(약점-기회전략)-약점을 극복함으로써 시장기회 활용
미샤의 최대 약점은 저가 화장품에 대한 질의 의심이다. 즉 가격에 대한 선입견을 없애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가 약해서 me-too기업으로 넘어가는 고객이 많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미샤는 광고비용의 절감만을 통해 저가정책을 이루어 내는 것이 아닌 만큼 장기적 안목으로 광고에 대해 좀더 투자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샤는 화장품을 생활 필수품이라고 정의하고 있는 만큼 POP 광고도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화장품의 질에 대한 의심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제품 사용 후기에 대한 이벤트를 많이 열어 구전효과를 누리는 길도 있고 고객 참여를 통한 브랜드 광고나 이벤트를 증가시켜 타겟층인 1020세대의 많은 호응을 얻어내고 또한 내가 직접 만들어가는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강화시켜야 한다.
또한 지금의 성장 속도로 볼 때 적정 생산 수준을 넘어 더 많은 생산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생산비용의 증대도 문제가 되지만 각 매장 마다 직원의 교육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자칫하면 불친절한 싸구려 상품의 이미지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각 매장의 직원의 상품에 대한 교육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화장품을 잘 모르는 고객의 경우 몰라서 못사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비용이 저렴한 온라인을 이용하여 각 대리점의 직원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4) WT전략(약점-위협전략)- 위협을 회피하며 약점을 최소화 시키는 전략
역시 가장 큰 위협요인은 기존 고급 화장품 회사의 중저가 브랜드 출시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위협은 위에서 밝힌대로 미샤의 핵심역량을 강화해서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꽤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만약 기존 고급 화장품 회사와의 가격 경쟁이 붙을 경우 미샤의 수익성 자체가 위협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쟁이 치열해질 것을 대비하여 기존의 제품을 따라 만드는 수준이 아니라 미샤만의 독특한 기능을 가진 신제품 라인을 가질 필요가 있다.
목 차
서 론 - 미샤를 선정하게된 이유
1. 미샤 소개
(1) 회사연혁
(2) 미샤의 탄생
(3) 미샤의 성장
(4) 서영필 사장
2. 미샤의 가격정책
(1) 가격이란
(2) 기존 화장품의 가격과 미샤 화장품의 가격
3. 미샤의 SWOT 분석
(1) SWOT 분석
(2) SWOT 분석에 따른 세부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