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ꊱ 특기·적성교육의 의미
ꊲ 특기․적성 교육의 필요성
ꊳ 특기·적성교육의 현황
가. 프로그램
나. 지도 강사
다. 시설 환경
라. 학생과 학부모 의식
마. 개설과목의 예
ꊴ 다중적성이론의 적용
가. 다중적성이론의 의미
나. 가드너가 제시한 8가지 지능
다. 다중지능이론과 학습양식
라. 다중지능 이론의 핵심
마. 다중지능이론과 학교교육
바. 다중지능이론의 예
ꊵ 다중지능 이론의 한계
가. 학교교육 차원에서의 오해
ꊶ 특기적성교육의 문제점
ꊷ 개 선 방 안
가. 객관적인 진로 및 적성 탐구 방법 개발
나. 소규모 학교의 과목부족 및 강사확보
다. 공급자와 수요자의 신뢰도 확보
라. 다양한 특기적성교육의 공간 확보
마. 특정과목의 편중화 극복
ꊲ 특기․적성 교육의 필요성
ꊳ 특기·적성교육의 현황
가. 프로그램
나. 지도 강사
다. 시설 환경
라. 학생과 학부모 의식
마. 개설과목의 예
ꊴ 다중적성이론의 적용
가. 다중적성이론의 의미
나. 가드너가 제시한 8가지 지능
다. 다중지능이론과 학습양식
라. 다중지능 이론의 핵심
마. 다중지능이론과 학교교육
바. 다중지능이론의 예
ꊵ 다중지능 이론의 한계
가. 학교교육 차원에서의 오해
ꊶ 특기적성교육의 문제점
ꊷ 개 선 방 안
가. 객관적인 진로 및 적성 탐구 방법 개발
나. 소규모 학교의 과목부족 및 강사확보
다. 공급자와 수요자의 신뢰도 확보
라. 다양한 특기적성교육의 공간 확보
마. 특정과목의 편중화 극복
본문내용
하워드 가드너 지음, 김명희, 이경희 옮김) - 양서원(1998) -
5. 심리학의 실제 (민윤기, 안권순 공저) - 형설출판사(2004) -
[신문기사]
(1)
경북
도교육청은 최근 '사교육비 경감추진 현황' 중간 보고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도교육청은 또 현재 도내 초등학교의 30.8%, 중학교의 53.3%, 고등학교의 29%가 특기적성 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 5월말 현재 학원 수강생도 25만9천455명에서 16만9천41명으로 9만414명 줄었고, 이로 인해 사교육비가 기존 403억원에서 235억원으로 168억원 경감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전국
초중학교의 경우 예체능 및 기술교육 보완, 재능취미 계발, 영어체험학습 등을 위한 특기적성교육 활성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지역교육청 단위 순회강사 확보 및 악기 등 교재교구 구입을 위한 2004특별교부금 45.4억원 지원하여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다.
특히, 초중학생 사교육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영어교육과 관련하여 시도교육청별로 영어체험학습센터를 설치(서울, 인천, 경기, 강원, 제주)하거나 다양한 영어 캠프를 실시하는 등 영어체험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있다.
서울
서울시내 551개 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특기·적성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는 550개. 모든 학교가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셈이다.
반면 참여율은 높지 않다. 서울시 전체 초등학생 72만6643명 중 32.2%인 23만5013명만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보광초등을 비롯한 44개 선도학교는 70~90%에 이르고 있다. 아이들의 소질과 특기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학부모의 과도한 사교육비 부담을 덜어주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많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원초에 개설된 과목은 33개 영역의 140여개 강좌. 특기적성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수도 이번 여름방학에만 1405명이다. 1900여명의 전교생 중 70%가 넘는다. 지난 1학기 때는 1700여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다른 학교와 비교해 볼 때 눈에 띄게 높은 수치다.
#반원초가 학생들의 높은 호응을 이유
-철저한 시장조사를 통해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학부모 설명회와 공개수업 등으로 학부모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한 것이 적중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두 과목 이상의 강의를 듣는 학생들이 중간에 비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 도우미 교실'을 연 것도 학부모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강사들의 수강료를 현실화
#호응 얻지 못하는 원인
-우수한 강사를 확보 쉽지 않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공간도 부족하다.
-학습효과를 내려면 수업이 계속 이뤄져야 하는데도 중간에 끊기는 경우도 적잖다. 대부분의 강의가 주 1~2회에 그치는 데다 일정 학생수가 모이지 않으면 폐강되기 때문이다.
하현옥 기자 중앙일보 & Joins.com,
(2)
보광초등학교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5월과 올해 5월을 기준으로 학원수강실태를 분석한 결과 학원에 다니지 않는 학생은 지난해 15.5%(214명)에서 올해 19.6%(255명)로 4.1% 늘어났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특기적성교육에 따른 연간 사교육비 절감효과는 성북구 삼선초등의 경우 7억3천만원, 강남구 대현초등 7억2천만원, 강서구 발산초등 2억2천만원 등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강남구 대현초등의 경우 전교생의 93%가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해 3월 13만2천원이던 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올해 들어서 8만3천원으로 4만9천원이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특기적성 교육이 사교육비 절감 효과를 가져오려면
-현재 주 2회 하고 있는 특기적성 수업을 주 4회로 늘려야 하며 수준별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와 교육비 등이 개선필요. 시교육청은 올해부터 여건이 되는 학교를 대상으로 특기적성교육을 주 5회까지 운영토록 했으나 교실부족, 낮은 수강료에 따른 우수 강사 확보 어려움, 교사들의 부담 가중 등으로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조찬제·정유진기자 helpcho65@kyunghyang.com〉 경향신문 2003-06-30
(3)
▲연이은 수강료 착복 논란
앞서 영암 삼호서 초교에서도 학교가 관리해야 할 수강료를 3년째 강사가 관리하면서 지난 한해에만 78명분, 230만원어치가 회계상 누락됐다가 지난 6월 반환조치되는 등 수강료 횡령사건이 끊이질 않고 있다.
▲학교-강사-학원간 불법 이중계약
학교와 강사간 1대 1 계약이외에 별도로 강사와 업체, 강사와 사설학원간 이중 근로계약 맺어졌다.
여수 A학원도 지난 2002년부터 일선 초등학교에 10여명의 한문강사를 알선한 뒤 수강료 중 강사경력에 따라 50만-70만원을 월급으로 주고, 나머지는 학원에 귀속시키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강사들은 가뜩이나 적은 급여의 상당 부분은 학원장에게 '상납'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고, '수업은 학교 안, 수익은 학교 밖'이라는 기형적 구조가 정착되고 있다.
▲현직 교사 참여율 저조
불법 이중계약과 수강료 횡령이 잇따른 데는 '특기적성교육=외래강사의 몫'이라는 그릇된 역할론이 한 몫을 하고 있다.
지난 7월말 현재 광주지역 특기적성 강사는 모두 1268명으로 이중 현직교사는 360명(28.4%)에 불과하다.
무리한 수업시수와 잡무, 수급불균형 등으로 시간적 육체적 여력이 없다는 게 주된 이유다. 과목당 평균 2만7000원에 불과한 수강료도 현실적인 어려움 가운데 하나다.
▲비인기 과목. 소규모 학교는 '찬밥'
올 상반기 광주시내 특기적성교육 전체 수강생 5만1000명 중 컴퓨터가 2만5500명으로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수강과목의 양극화
그 다음으로 예능 1만2000명(23.5%), 외국어6200명(12.2%), 글짓기 2000명(3.9%), 체육 1800명(3.5%) 등이 뒤를 이었다.
학교규모와 교육환경 차이로 개설 과목수도 편차가 심해 광주 동초교 등 소규모 학교는 3∼4개 과목에 불과한 데 비해 도심학교는 10여과목, 시범학교인 경양초교는 20과목을 개설, 운영중이다
송창헌기자 chang@newsis.com 2004/09/09 【광주=뉴시스】
5. 심리학의 실제 (민윤기, 안권순 공저) - 형설출판사(2004) -
[신문기사]
(1)
경북
도교육청은 최근 '사교육비 경감추진 현황' 중간 보고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도교육청은 또 현재 도내 초등학교의 30.8%, 중학교의 53.3%, 고등학교의 29%가 특기적성 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 5월말 현재 학원 수강생도 25만9천455명에서 16만9천41명으로 9만414명 줄었고, 이로 인해 사교육비가 기존 403억원에서 235억원으로 168억원 경감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전국
초중학교의 경우 예체능 및 기술교육 보완, 재능취미 계발, 영어체험학습 등을 위한 특기적성교육 활성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지역교육청 단위 순회강사 확보 및 악기 등 교재교구 구입을 위한 2004특별교부금 45.4억원 지원하여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다.
특히, 초중학생 사교육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영어교육과 관련하여 시도교육청별로 영어체험학습센터를 설치(서울, 인천, 경기, 강원, 제주)하거나 다양한 영어 캠프를 실시하는 등 영어체험 프로그램이 확대되고 있다.
서울
서울시내 551개 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특기·적성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는 550개. 모든 학교가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셈이다.
반면 참여율은 높지 않다. 서울시 전체 초등학생 72만6643명 중 32.2%인 23만5013명만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보광초등을 비롯한 44개 선도학교는 70~90%에 이르고 있다. 아이들의 소질과 특기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학부모의 과도한 사교육비 부담을 덜어주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많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원초에 개설된 과목은 33개 영역의 140여개 강좌. 특기적성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수도 이번 여름방학에만 1405명이다. 1900여명의 전교생 중 70%가 넘는다. 지난 1학기 때는 1700여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다른 학교와 비교해 볼 때 눈에 띄게 높은 수치다.
#반원초가 학생들의 높은 호응을 이유
-철저한 시장조사를 통해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학부모 설명회와 공개수업 등으로 학부모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한 것이 적중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두 과목 이상의 강의를 듣는 학생들이 중간에 비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 도우미 교실'을 연 것도 학부모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강사들의 수강료를 현실화
#호응 얻지 못하는 원인
-우수한 강사를 확보 쉽지 않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공간도 부족하다.
-학습효과를 내려면 수업이 계속 이뤄져야 하는데도 중간에 끊기는 경우도 적잖다. 대부분의 강의가 주 1~2회에 그치는 데다 일정 학생수가 모이지 않으면 폐강되기 때문이다.
하현옥 기자 중앙일보 & Joins.com,
(2)
보광초등학교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5월과 올해 5월을 기준으로 학원수강실태를 분석한 결과 학원에 다니지 않는 학생은 지난해 15.5%(214명)에서 올해 19.6%(255명)로 4.1% 늘어났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특기적성교육에 따른 연간 사교육비 절감효과는 성북구 삼선초등의 경우 7억3천만원, 강남구 대현초등 7억2천만원, 강서구 발산초등 2억2천만원 등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강남구 대현초등의 경우 전교생의 93%가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해 3월 13만2천원이던 학생 1인당 사교육비는 올해 들어서 8만3천원으로 4만9천원이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특기적성 교육이 사교육비 절감 효과를 가져오려면
-현재 주 2회 하고 있는 특기적성 수업을 주 4회로 늘려야 하며 수준별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와 교육비 등이 개선필요. 시교육청은 올해부터 여건이 되는 학교를 대상으로 특기적성교육을 주 5회까지 운영토록 했으나 교실부족, 낮은 수강료에 따른 우수 강사 확보 어려움, 교사들의 부담 가중 등으로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조찬제·정유진기자 helpcho65@kyunghyang.com〉 경향신문 2003-06-30
(3)
▲연이은 수강료 착복 논란
앞서 영암 삼호서 초교에서도 학교가 관리해야 할 수강료를 3년째 강사가 관리하면서 지난 한해에만 78명분, 230만원어치가 회계상 누락됐다가 지난 6월 반환조치되는 등 수강료 횡령사건이 끊이질 않고 있다.
▲학교-강사-학원간 불법 이중계약
학교와 강사간 1대 1 계약이외에 별도로 강사와 업체, 강사와 사설학원간 이중 근로계약 맺어졌다.
여수 A학원도 지난 2002년부터 일선 초등학교에 10여명의 한문강사를 알선한 뒤 수강료 중 강사경력에 따라 50만-70만원을 월급으로 주고, 나머지는 학원에 귀속시키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강사들은 가뜩이나 적은 급여의 상당 부분은 학원장에게 '상납'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고, '수업은 학교 안, 수익은 학교 밖'이라는 기형적 구조가 정착되고 있다.
▲현직 교사 참여율 저조
불법 이중계약과 수강료 횡령이 잇따른 데는 '특기적성교육=외래강사의 몫'이라는 그릇된 역할론이 한 몫을 하고 있다.
지난 7월말 현재 광주지역 특기적성 강사는 모두 1268명으로 이중 현직교사는 360명(28.4%)에 불과하다.
무리한 수업시수와 잡무, 수급불균형 등으로 시간적 육체적 여력이 없다는 게 주된 이유다. 과목당 평균 2만7000원에 불과한 수강료도 현실적인 어려움 가운데 하나다.
▲비인기 과목. 소규모 학교는 '찬밥'
올 상반기 광주시내 특기적성교육 전체 수강생 5만1000명 중 컴퓨터가 2만5500명으로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수강과목의 양극화
그 다음으로 예능 1만2000명(23.5%), 외국어6200명(12.2%), 글짓기 2000명(3.9%), 체육 1800명(3.5%) 등이 뒤를 이었다.
학교규모와 교육환경 차이로 개설 과목수도 편차가 심해 광주 동초교 등 소규모 학교는 3∼4개 과목에 불과한 데 비해 도심학교는 10여과목, 시범학교인 경양초교는 20과목을 개설, 운영중이다
송창헌기자 chang@newsis.com 2004/09/09 【광주=뉴시스】
추천자료
사교육의 증가 현황과 사교육비 증가원인, 문제점, 사교육비 절감 방안 발표자료
특별활동의 의의, 성격, 위치, 방과후특별활동(방과후교육, 수업)의 특성, 방과후특별활동(방...
고등학교 진로지도(진로교육) 필요성, 고등학교 진로지도(진로교육) 기본방향, 고등학교 진로...
중학교(중등) 제7차교육과정의 특성, 중학교(중등) 제7차교육과정의 중점, 중학교(중등)의 교...
중학교 진로지도(진로교육), 중학교 독서지도(독서교육), 중학교 금연지도(금연교육), 중학교...
교과교실(교과교실제, 교과교육실) 유형, 교과교실(교과교실제, 교과교육실) 필요성, 교과교...
컴퓨터과(컴퓨터수업, 컴퓨터교육)의 성격과 목표, 컴퓨터과(컴퓨터수업, 컴퓨터교육)의 실태...
[수요자중심][행정][정보요구][수요자중심 장학][수요자중심 교육][수요자중심 방과후교육활...
체육과학습(수업, 교육)의 성격, 체육과학습(수업, 교육)의 가치, 체육과학습(수업, 교육)의 ...
계발활동(CA, 클럽활동)의 교육적 의의와 목표, 계발활동(CA, 클럽활동)의 부서선정과 부서조...
과학과 공기와 수학과 곱셈구구 학습자료(교육자료), 영어과 웹기반교육(WBI)과 국어과 한글 ...
[좋은 수업][수업][공교육][학교교육][교육과정][교사역할][교육]좋은수업의 개념, 좋은수업...
[연계][교육연계]공교육과 사교육의 연계, 영어수업과 이러닝의 연계, 과학기술교육과 인문교...
[독서지도]교과연계 독서지도(독서교육), 지역사회연계 독서지도(독서교육), 가정연계 독서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