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이후 폐해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신대륙의 발견

본론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이후 여러 가지 폐해들
1. 에스파냐의 해외진출
2. 문명파괴행위
3. 포르투갈-스페인의 신대륙 쟁탈전

결론
- 신대륙 발견의 다른 관점

본문내용

투갈 왕은 이에 즉시 항의했고 양국은 약 1년쯤 협의한 후 경계선을 조금 더 서쪽인 서경 43도 37분으로 옮겨 브라질이 포르투갈 령이 되게 했다. 이것이 토르데실라스(Tordesillas)조약이다. 오늘날 보면 어처구니없는 결정이 조약이라는 이름으로 성립했지만 당시로서는 교황의 권한이 절대적이었기 때문에 유럽인들에게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조약으로 인해 포르투갈이 브라질로부터 대서양, 아프리카, 인도양, 인도네시아를, 스페인이 아메리카, 태평양, 필리핀을 자기네 영토로 설정하게 되었다. 물론 종교 개혁 이후 다른 유럽 국가들, 특히 프랑스와 영국이 이 조약을 무시하고 영토 쟁탈전에 뛰어들었다.
결 론
- 신대륙 발견의 다른 관점
콜럼버스가 1492년 여왕 이사벨의 지원으로 서인도 제도의 한섬에 도착하여 신대륙이 존재함을 알림으로서 세계문명에 교류사적인 관점에서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하지만 위대한 발견, 모험가적 탐험, 자신의 소신에 대한 불굴의 의지등 의 뒷면에는 여러 가지 폐해가 따랐다. 거기에는 중남미의 위대한 문명들의 파괴와 원주민의 학살, 약탈등이다.
신의 이름을 앞세워 자신들의 정복야심과 금, 은등 막대한 재정적 약탈행위를 위해 중남미의 문명을 파괴한 것이다. 이것은 서로간의 문화 융합이 아닌 파괴 행위로서 마땅히 비판을 받고, 오늘날 교훈으로 삼아야할 내용들이다.
오늘날, 유럽문화, 미국의 문화등 서구문화가 세계의 문화를 잠식해 나가고 있다.
중남미 문명의 파괴라는 역사적 사건들을 놓고 봤을때, 세계의 문화는 경쟁적 인 관계가 아닌 서로 융합해 나가는 관계가 되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5.17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