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를 이루는 것이다. 둘째, 국가적 자의에 대면한 시민의 전통적인 자유들에 대한 제한이다. 셋째, 부르조아 정당이 담당하는 역할의 가속적 쇠퇴이다. 그들의 정치적·조직적 기능이 국가관료기구와 행정으로 이행하고 있다. 넷째, 국가적 폭력 행사의 강화이다. 이것은 국가의 직접적인 이데올로기적 역할(신문, 문화적 기구, 매스 커뮤니케이션 수단 등)의 강화와 이데올로기적 장치들(가족, 교육 등)의 이러한 역할의 억압적 장치들로 이행을 수반한다.
3. 결론
이 책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대담형식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니코스 풀란차스가 가지고 있는 복잡한 개념들이 충분히 녹아있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명확한 그의 이론을 엿보고 끄집어내기보다는 그가 가지고 있는 인식과 태도에 관해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중심적인 맥락을 이해하고자 하였고, 개념들은 구체적인 현실맥락 속에 위치되어야 이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현실을 대하는 태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이 책을 읽는 우리가 하나의 일관된 틀 내에서 모든 개념들을 논리적으로 관계지으며 하나의 완전한 체계로서 조망해야겠다는 태도를 갖고 있을 때 니코스 풀란차스의 이론을 이해하기는 어려워질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구성을 감안할 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니코스 풀란차스의 태도와 인식으로부터 자신이 고민하고 있는 문제에 관한 영감을 얻고자 하는 자세일 것이며, 그렇게 접근하는 하였을 때, 니코스 풀란차스의 책에서 설사 단 한 편의 chapter를 읽고 단 하나의 개념만을 이해할 수 있을지라도 매우 뜻 깊게 이해될 것이라 생각한다.
위와 같은 태도로서 니코스 풀란차스의 이론을 대할 수 있는 까닭은 애당초 그의 이론이 모든 것을 설명하려고 들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니코스 풀란차스의 국가에 대한 인식은 하나의 접근법으로 생각하게 해주며, 자본주의 국가의 위기의 특징적인 면을 잘 부각시켜준 이론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우리는 특별히 두드러진 전략이 보이지 않는 (또는 존재하지 않는) 전략적 혼란 또는 총체적 위기의 상황을 가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전략이 있다고 해도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자의적이지 않고 객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가 하는 보다 근본적인 인식론적 문제가 있다.
인식의 폭을 넓혀 생각해볼 때, 국가(國家)라는 용어가 드러내듯, 국가와 경제가 결합된 정도(예를 들면 한국의 관치금융)가 강했던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과연 그 동안 국가가 자본순환에서 제도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 될 수 있는데, 이것은 제도적 분리로서의 자본주의 국가라는 개념이 과거의 동아시아 자본주의 발전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일정 정도 한계가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한계들과 어려움들을 인식하고 난 후에야 우리는 니코스 풀란차스의 국가론을 정당하게 이해, 평가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니코스 풀란차스 『오늘날 자본주의의 사회적계급들』 1974
2. 니코스 풀란차스 / 박병영 옮김 『국가, 권력, 사회주의』 백의 1994
3. 결론
이 책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대담형식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니코스 풀란차스가 가지고 있는 복잡한 개념들이 충분히 녹아있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명확한 그의 이론을 엿보고 끄집어내기보다는 그가 가지고 있는 인식과 태도에 관해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중심적인 맥락을 이해하고자 하였고, 개념들은 구체적인 현실맥락 속에 위치되어야 이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현실을 대하는 태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이 책을 읽는 우리가 하나의 일관된 틀 내에서 모든 개념들을 논리적으로 관계지으며 하나의 완전한 체계로서 조망해야겠다는 태도를 갖고 있을 때 니코스 풀란차스의 이론을 이해하기는 어려워질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구성을 감안할 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니코스 풀란차스의 태도와 인식으로부터 자신이 고민하고 있는 문제에 관한 영감을 얻고자 하는 자세일 것이며, 그렇게 접근하는 하였을 때, 니코스 풀란차스의 책에서 설사 단 한 편의 chapter를 읽고 단 하나의 개념만을 이해할 수 있을지라도 매우 뜻 깊게 이해될 것이라 생각한다.
위와 같은 태도로서 니코스 풀란차스의 이론을 대할 수 있는 까닭은 애당초 그의 이론이 모든 것을 설명하려고 들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니코스 풀란차스의 국가에 대한 인식은 하나의 접근법으로 생각하게 해주며, 자본주의 국가의 위기의 특징적인 면을 잘 부각시켜준 이론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우리는 특별히 두드러진 전략이 보이지 않는 (또는 존재하지 않는) 전략적 혼란 또는 총체적 위기의 상황을 가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전략이 있다고 해도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자의적이지 않고 객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가 하는 보다 근본적인 인식론적 문제가 있다.
인식의 폭을 넓혀 생각해볼 때, 국가(國家)라는 용어가 드러내듯, 국가와 경제가 결합된 정도(예를 들면 한국의 관치금융)가 강했던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과연 그 동안 국가가 자본순환에서 제도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 될 수 있는데, 이것은 제도적 분리로서의 자본주의 국가라는 개념이 과거의 동아시아 자본주의 발전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일정 정도 한계가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한계들과 어려움들을 인식하고 난 후에야 우리는 니코스 풀란차스의 국가론을 정당하게 이해, 평가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니코스 풀란차스 『오늘날 자본주의의 사회적계급들』 1974
2. 니코스 풀란차스 / 박병영 옮김 『국가, 권력, 사회주의』 백의 1994
추천자료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농업과 상업이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저주의 몫과 사치와 자본주의의 입장비교
밀턴 프리드먼의 자본주의와 자유를 읽고
부루마불에 나타난 자본주의적 요소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막스베버
[경제]자본주의에대한_보고서
아나톨 칼레츠키의 자본주의 4.0 에 대한 고찰
정치학입문-리오휴버먼의 '자본주의 역사 바로알기' 서평
정치학입문-리오휴버먼의 '자본주의 역사 바로알기' 서평
[독후감] 자본주의 4.0 _ 아나톨 칼레츠키(Anatole Kaletsky) 저
한국과 일본의 자본주의 수용과정에서 진행된 전통 유교문화의 변용 양상 비교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서평 _ 막스 베버 (Max Weber)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