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합성어에 있어서 「사이시옷」
2. 합성되는 두 어사간의 내포된 의미 고찰
3. 석보상절 3권에 나타나는 사이시옷
2. 합성되는 두 어사간의 내포된 의미 고찰
3. 석보상절 3권에 나타나는 사이시옷
본문내용
리갯 거슬 다 까초 받짜힝시니, 二月ㅅ 여딪랫, 四海 바링믈 길유려 힝거시다, 天下ㅅ 內예 뉘힝, 하다 스스힝어시니, 글왈 根源을 子細히 니링시고, 나랏 고힝 겨지블, 풍륫가시, 이벳 煩惱 몬 칭마, 밑힝 고리며
☞ 이시옷이 一般 無情名詞 가운데 抽象名詞에도 나타나고 有情名詞 가운데 非尊者에 나타나있다.
(타) 풍류힝 겨집 더힝야, 王이 풍류힝 사링 더힝야, 풍류힝 사링밑, 어셔 나쇼셔 힝 소리링
☞ 用言의 合成에서 사이시옷이 들어간 것이다. 이것은 사이시옷이 屬格 標識가 아닌 경우에는 介入될 수 있는 壓縮表現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파) 여러 가짓 짜조 잘힝다 겨지비라, 가짓 呈才힝야, 여슈 네 가짓 그른
☞ '∼의'와 같이 해석될 수 있는 것으로 사이시옷이 屬格인 文法的 意味機能을 內包하고 있다.
☞ 이시옷이 一般 無情名詞 가운데 抽象名詞에도 나타나고 有情名詞 가운데 非尊者에 나타나있다.
(타) 풍류힝 겨집 더힝야, 王이 풍류힝 사링 더힝야, 풍류힝 사링밑, 어셔 나쇼셔 힝 소리링
☞ 用言의 合成에서 사이시옷이 들어간 것이다. 이것은 사이시옷이 屬格 標識가 아닌 경우에는 介入될 수 있는 壓縮表現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파) 여러 가짓 짜조 잘힝다 겨지비라, 가짓 呈才힝야, 여슈 네 가짓 그른
☞ '∼의'와 같이 해석될 수 있는 것으로 사이시옷이 屬格인 文法的 意味機能을 內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