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우리나라 병서의 역사
3. 『동국병감』에 대하여
⑴ 편찬과정
⑵『동국병감』의 구성
4. 동국병감』의 내용
5.『동국병감』의 한계와 의의
6. 맺음말
2. 우리나라 병서의 역사
3. 『동국병감』에 대하여
⑴ 편찬과정
⑵『동국병감』의 구성
4. 동국병감』의 내용
5.『동국병감』의 한계와 의의
6. 맺음말
본문내용
과 서술상의 의의는 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야 하는 만큼 예로 들기에 곤란한 점을 밝힌다.
제 18장부터 끝장까지의 고려시대 부분은 앞과는 반대로 서술되어 있다. 이때의 사료는 「고려사절요」와 「고려사」, 그 외 제 3의 사료로서 서술되어 졌기 때문이다. 이때는 적방은 중국. 내지 호족으로 명확히 밝혔으며, 아울러 우리 측의 기동 상황과 편제 및 지휘관에 관한 사항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문제점으로 꼬집어 지기도 하지만 편찬자가 임의로 과장하거나 왜곡된 해석을 가하지 않고, 사료를 객관 그대로 정리하여 체계화 시켰다는 점에서 그 기록상의 신빙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책 내에서의 통일성은 사료상의 문제로 상실하였으나 사료에만 근거하여 책을 편찬하였다는 점에서 책에서의 오류를 염려할 필요는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하였던 사료들의 성격과 내용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전쟁에서의 실패에 대해 정확하게 밝히고 그 원인에 대하여 정당한 해명을 하고 있다. 자료선정의 문제점은 있을지 모르나 채택후의 서술과정은 전쟁의 과정과 내용에 대하여 정확하고 냉정한 시각에서 서술하여 후대의 귀감이 될 수 있게 하였다. 또 과정에 있던 전략과 전술 문제를 우리 측의 입장과 적군의 전술. 전략도 높은 수준으로 기록하고 그 성공과 실패여부도 정확하게 기록하였다. 이를 토대로 당시의 우리의 병학이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음도 알 수 있다.
Ⅲ. 결론
『동국병감』은 우리나라 전쟁사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서적이다. 국전위는 우리가 『동국병감』을 읽어야 할 필요성에 '외국의 역사가 아닌, 우리의 과거 본체를 알아야 하며 그것을 통해 장래의 국난에 대비하는 슬기를 길러야 한다'는 편찬 동기를 담았으며, 이것은 50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그대로 우리에게 적용되어 오고 있기 때문이다. 허나 그 내용에 어떠한 한계는 분명 있지만 그 의의나 그 가치에 비해 지금 현재에 이루어져 있는 전사서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하다. 책이 상,하 2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책 한권으로만 연구를 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한다 하더라도 연구 성과를 찾아보면 짧은 논문 한편 외에는 없는 실정이다. 전쟁사에 대한 연구는 많고 큰 전쟁에 대한 연구들은 많은 서적들이 나와 있으나, 『동국병감』을 포함하여 위에 잠시 소개하였던 이러한 전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 점이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연구해 나가야 할 부분이 많다는 점과 점점 더 많은 나라들과의 관계를 이루어 나가야 하는 현 시대인 만큼, 과거 전서들을 통해서 새로운 전서들과 전쟁사를 정리하고 인식하는 것이 한반도 정세에 대비하여 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끼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석형, "동국병감", 여강출판사, 2000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군사문헌집-동국병감", 1984
조선광문회, "동국병감",朝鮮光文會 明治44, 1911
이동환, "동국병감", 三中堂, 1975
이종권, "동국병감의 전사적 의의", 경희대학교 사학회, 1981
제 18장부터 끝장까지의 고려시대 부분은 앞과는 반대로 서술되어 있다. 이때의 사료는 「고려사절요」와 「고려사」, 그 외 제 3의 사료로서 서술되어 졌기 때문이다. 이때는 적방은 중국. 내지 호족으로 명확히 밝혔으며, 아울러 우리 측의 기동 상황과 편제 및 지휘관에 관한 사항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문제점으로 꼬집어 지기도 하지만 편찬자가 임의로 과장하거나 왜곡된 해석을 가하지 않고, 사료를 객관 그대로 정리하여 체계화 시켰다는 점에서 그 기록상의 신빙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책 내에서의 통일성은 사료상의 문제로 상실하였으나 사료에만 근거하여 책을 편찬하였다는 점에서 책에서의 오류를 염려할 필요는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하였던 사료들의 성격과 내용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전쟁에서의 실패에 대해 정확하게 밝히고 그 원인에 대하여 정당한 해명을 하고 있다. 자료선정의 문제점은 있을지 모르나 채택후의 서술과정은 전쟁의 과정과 내용에 대하여 정확하고 냉정한 시각에서 서술하여 후대의 귀감이 될 수 있게 하였다. 또 과정에 있던 전략과 전술 문제를 우리 측의 입장과 적군의 전술. 전략도 높은 수준으로 기록하고 그 성공과 실패여부도 정확하게 기록하였다. 이를 토대로 당시의 우리의 병학이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음도 알 수 있다.
Ⅲ. 결론
『동국병감』은 우리나라 전쟁사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서적이다. 국전위는 우리가 『동국병감』을 읽어야 할 필요성에 '외국의 역사가 아닌, 우리의 과거 본체를 알아야 하며 그것을 통해 장래의 국난에 대비하는 슬기를 길러야 한다'는 편찬 동기를 담았으며, 이것은 50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그대로 우리에게 적용되어 오고 있기 때문이다. 허나 그 내용에 어떠한 한계는 분명 있지만 그 의의나 그 가치에 비해 지금 현재에 이루어져 있는 전사서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하다. 책이 상,하 2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책 한권으로만 연구를 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한다 하더라도 연구 성과를 찾아보면 짧은 논문 한편 외에는 없는 실정이다. 전쟁사에 대한 연구는 많고 큰 전쟁에 대한 연구들은 많은 서적들이 나와 있으나, 『동국병감』을 포함하여 위에 잠시 소개하였던 이러한 전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 점이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연구해 나가야 할 부분이 많다는 점과 점점 더 많은 나라들과의 관계를 이루어 나가야 하는 현 시대인 만큼, 과거 전서들을 통해서 새로운 전서들과 전쟁사를 정리하고 인식하는 것이 한반도 정세에 대비하여 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끼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석형, "동국병감", 여강출판사, 2000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군사문헌집-동국병감", 1984
조선광문회, "동국병감",朝鮮光文會 明治44, 1911
이동환, "동국병감", 三中堂, 1975
이종권, "동국병감의 전사적 의의", 경희대학교 사학회, 198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