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 : gas chromatography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Data and Result
4.Discussion
5.References

본문내용

대해서 잘 몰랐기 때문에, 기존의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그림 1. standard 알코올 용액
그림 2. sample 알코올 용액
4.Discussion
위의 그림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직접 autuchro-win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 시스템 프로그램을 통해 2.422분일때 면적을 구해보면 73097.625mV*sec가 나오고 6.560분일때의 면적을 구해보면 91409.016mV*sec가 나온다. 두 번을 나누어서 시료를 주입했기 때문에, 두 값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실험 전에 확인했던 바와 같이 소주의 알코올의 농도는 25%였기 때문에, 표준 시료 농도 20%와 30%의 사이의 값을 가질것이라는 예상 밖으로 굉장히 큰 값이 나왔다.
우선, 표준 알코올 용액의 검정 곡선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엑셀로 그림)
R제곱의 값은 0.9524로 40%일때의 면적이 좀 작게 나온 탓에 1에 많이 가깝지 않은, 완벽하게 linear하지 않은 곡선으로 나왔다.
완벽하지 않은 곡선이지만 이 곡선에서 나온 식 y=895.75x+31150의 y값에 우리가 구한 미지시료의 면적을 대입해보면
73097.625=895.75x+31150에서 x=46.829
따라서 소주속의 알코올은 약 46.829%로 분석되었다.
우선 이 실험은 기계를 사용하는 실험이었기 때문에 실험상의 어려움은 없었다. 복잡한 기계의 조작은 조교님이 해주셨고, 우리가 실제적으로 실험한 것은 syringe으로 2μL의 sample, standard 용액을 기계에 주입한 것과 조교님이 알려주신 대로 간단한 분석 조건을 기계에 입력하는 것 밖에 없었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우리가 분석한 소주속의 알코올의 양은 25%였는데도 불구하고, 분석결과 47%가 가까운 값이 나왔다.
오차율을 구해보면
무려 87%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작은 오차의 경우 standard 자체가 linear가 아니기 때문일 수도 있으나 이 경우는 검정곡선 자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syringe로 주입한 시료의 양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실험에서 검정곡선을 통한 분석은 peak의 위치가 아니라 각 peak의 면적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주입량이 다르면 결과값이 다르게 나올수 있다. syringe로 시료를 흡입할 때 계속 공기가 들어가는 등의 이유로 시료 흡입이 잘 안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더 많은 시료가 syringe에 흡입되고, 기계에 주입되어서 큰 오차를 보였을 수도 있다.
참고로, 검정곡선을 그릴때 그래프의 작은 peak들은 무시했는데 작은 peak들은 시료를 수입해서 나온 peak라기 보다 일종의 noise로 여겨서 무시했으나 실험값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실험은 비록 오차가 크게 나왔지만, 직접 분석 기계를 조작해보고, 데이터를 분석함에 있어서 굉장히 유익했던 실험이었던 것 같다.
5.References
―Daniel C. Harris,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2000, Freeman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5.22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8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