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의 심리학 해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융의 심리학 해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언

2. 퍼스낼리티의 구조
1) 정신
2) 의식
♣ 자아
3) 개인무의식
♣콤플렉스
4) 집합무의식
♣태고유형
a.페르소나
b.아니마와 아니무스
c.그림자
d.자기

본문내용

서 유래된 것이다. 그림자를 거부하면, 퍼스낼리티는 무미건조한 것으로 된다.
d.자기
태양이 태양계의 중심이듯, 자기는 집합무의식 속의 중심적인 태고유형이다. 자기는 질서, 조직, 통일의 태고유형이다. 자기는 모든 태고유형들과 콤플렉스 및 의식 속의 태고유형의 표현형태를 끌어당겨서 조화시킨다. 자기는 퍼스낼리티를 통일하여 그것에 ‘일체성’과 불변성의 감각을 준다.
모든 퍼스낼리티의 궁극적 목표는 자기실현을 달성하는데 있다. 이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라 매우 어렵고도 복잡한 문제이므로, 그것을 완전히 달성한 사람이 있었다 하더라도 매우 드문 경우이다. 융은 정신분석학의 연구자 입장에서 ‘예수’ 와 ‘석가모니’ 같은 위대한 종교적 지도자는 이 목표의 가장 가까이까지 갔다고 설명한다. 융이 지적하고 있듯이 자기의 태고유형은 거의 중년이 될 때까지 드러나지 않는다. 그 까닭은 자기가 어느 정도 완전히 나타날 수 있도록 되기 위해서는, 퍼스낼리티가 개성화를 통해 충분히 발달되어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자기 인식에 접근하는 고차원적인 방법으로는 진정한 종교적 체험에 의해 자기를 이해하며 실현하는 것이 있다. 동양종교에 있어서 동양인은, 이를테면 요가의 명상과 같이 자기임을 달성하는 의식적 수업에 의해 서양인보다도 용이하게 자기를 지각할 수 있다. 융이 종교에 관해 말할 때, 그것은 정신적 발달에 언급하고 있는 것이지, 초자연적 현상에 언급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완전한 자기의 실현을 이룩하기보다는 자기를 인식하려는 노력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자기실현은 어떠한 물질적인 대가를 치루어서 얻어지는 즉각적인 완성이 아니고 , 많은 양의 지식을 안다고 해서 얻어지는 단순한 것이 아니다. 실제로 이일은 인간이 인생에서 부딪치는 가장 어려운 일이며, 계속적인 단련과 끈질긴 노력, 최고의 책임과 지혜를 필요로 한다.
무의식적인 것을 의식적으로 만듦으로써, 인간은 자기 자신의 본성과 더욱 조화를 이룬 생활을 누릴 수가 있고 초조와 욕구불만을 느끼는 경우도 적어질 것이다. 자기 자신의 무의식 속의 그 기원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자기의 태고유형은 외적인 의식적 자아와는 전혀 다른 내적인 길잡이다. 자기는 인격을 규정하며, 조절하며, 좌우하는 힘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퍼스낼리티를 성숙시키고, 그 지각능력을 높일 수가 있다. 자기의 발달을 통해 인간은 자기의 일생을 한층 더 자각하며, 파악하며, 이해하며, 지배하는 힘을 얻는다.

키워드

,   심리학,   이드,   에고,   무의식,   프로이트,   자아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5.23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8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