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공허할 수밖에 없다. 시민운동이 가지는 긍정적인 의미를 받아들인다고 해도, 시민운동이 기존의 민중운동을 대체하는 ‘진보의 대안’이 될 수는 없다. 더군다나 최근 ASEM에서 보여준 신자유주의에 대한 시민단체의 불철저한 태도와 실업, 빈곤, 구조조정 문제에 대한 시민운동의 무기력한 대응 등은 시민운동에서 가능성을 찾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추천자료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박원순 변호사의 '한국의 시민운동'을 읽고
시민단체의 예산감시운동에 관한 보고서
[한국사회][한국사회현상][사회현상][사회문제]한국사회의 변동, 한국사회의 장기실업, 한국...
시민운동장에서 대구 FC 경기를 관람하고- 경기관람을 통해 생각해본 올바른 경기관람 태도와...
세계화 현상과 영향, 지구적 시민운동과 NGO
인적자원개발(HRD)의 개념과 특징, 인적자원개발(HRD)의 조건, 인적자원개발(HRD)과 직업교육...
현대 민주국가 권력 형성, 독재체제에서 민주체제로의 변화, 선거체제의 일반화, 통치자의 강...
현대 민주국가의 권력 형성, 독재체제에서 민주체제로의 변화, 선거체제의 일반화, 통치자의 ...
SNS 정의, 배경, 용어, 조사방향, 해외, 국내, 온라인에서 나타나는 SNS의 역할, 사례 분석, ...
SNS 정의, 배경, 용어, 조사방향, 해외, 국내, 온라인에서 나타나는 SNS의 역할, 사례 분석, ...
시민단체(NGO, 비정부조직) 청소년보호운동, 여성운동, 노동운동, 시민단체(NGO, 비정부조직)...
한국시민사회의 역사, 특징, 한국시민사회의 발전과정, 한국시민사회의 정치세력화, 한국시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