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사 왜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I. 서론

II. 본론

1.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의도
2.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내용
3.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반박
4. 고구려사를 보는 북한의 입장
5. 우리의 대응

III. 결론
느낀점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제사와 영토분쟁에 관해서는 세계 어느 대학에 내놓아도 최고라는 전문성, L대학은 조선의 신분제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를 하는 학교. 이처럼 전문성의 이미지가 각각의 대학들에게 차별적으로 요구 된다. 그래야 각 학교에서 수학을 한 학생들 자신들의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살게 되며 그것은 결국 역사라는 학문 전체를 살릴 수 있는 지름길이 되는 것이다. 요는, 고구려사 왜곡과 같은 역사에 대한 분쟁 문제가 생겼을 때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고구려사 분야의 학자가 한국에 있으므로해서 보다 설득력 있는 주장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III. 결론
사실 레포트를 쓰기 전까진 고구려사 왜곡에 대해 그냥 중국이 고구려의 땅을 자기 땅이라고 주장하는 내용만 알뿐이였다. 하지만 그 안에의 더 많은 내용과 중국이 치밀하게 준비해 온 것을 보고 어쩌면 일본의 역사왜곡보다 중국의 역사왜곡이 더욱 심각한 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일본의 역사왜곡사건은 검인정 교과서 중에 하나인 '새로운 역사교과서'가 문제가 된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역사왜곡은 중국의 정부기관이 나서서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훨씬 크다. 더구나 고구려사 뿐만아니라 발해사와 고조선사까지 왜곡하고 있으므로 우리의 역사가 시간적으로 2,000년 밖에 되지 않으며, 공간적으로 한강 이남으로 국한되게 되는 결과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중국의 역사왜곡사건에 우리가 휘둘리지 않게 잘 대처해나가도록 해야하며, 자칫 잘못보면 중국과 우리가 고구려사를 놓고 역사전쟁을 벌이고 있는 것같이 잘못 이해하고들 있다. 중국이 고구려사를 패권주의적 입장에서 중국 소수민족의 지방정권이라고 역사왜곡을 자행하고 있는 것을 문제삼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는 자세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북한과 협력하여 우리의 문화유산을 지키고 우리의 역사를 계승 발전시키는 것 또한 중요한 일이다. 2003년에 3월에 개최되었었던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유산' 고구려사 국제학술 심포지엄과 같은 행사에서 북측학자가 논문을 보내왔었다. 이처럼 북한과 협력하여 앞으로는 이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공동 대응하기를 기대한다.
정부의 지원 또한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제일 중요한 것은 우리 국민들이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다. 나역시 이번 레포트가 아니였다면 역사왜곡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했을거고 그냥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속에서가 아니라 겉으로의 울분만 토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우리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정체성을 올바로 정립하여야 하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IV.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여호규, 한국외국어대 교수ㆍ사학과, 주간조선, 2002.09.26
윤휘탁, 동아대 연구교수ㆍ동양사
서울신문 2004-08-25
조선일보 2004-08-17, 08-27
한겨례신문 2004-01-05
한국일보 2004-08-03,08-02
세계일보 2004-08-07
매일경제 2004-08-06
연합뉴스 2004-08-10
동아일보 2004-08-19,07-29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5.24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8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