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사랑의 처형자가 되기 싫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삶의 경험들

본론
Ⅰ. 상담자는 누구인가?
상처입은 치료자
Ⅱ. 상담자의 역할
1. 치료하는 데에는 먼저 관계가 형성 되어야 한다.
2. 상담자는...
① 내담자를 존중해야 한다.
② 완벽하지 않으며, 역할의 한계가 있다.
③ 미리 판단하면 안 된다
④ 적극적으로 직면하게 해야 한다.
⑤ 사람의 마음을 완전히 알 수 없다.
Ⅲ. 실존 심리 치료에 대한 비판 : 상담자와 관련하여
Ⅳ. 대안 : 목회 상담학

결론

본문내용

de is more important than fact' 라는 말은 중요하다. 그러나 자신에 대한 올바른 자아상, 세계관에 대한 형성 없는 잘못된 신념에 대한 치료는 내담자에게 성장의 한계를 지워주는 것이라 여겨진다.
Ⅳ. 대안 : 목회 상담학
인간의 실존의 문제에 대한 해결, 치료보다는 인간의 전인성에 관심을 두는 것은 목적으로 하는 것은 목회 상담학이 가진 강점이다. 올바른 자아상에서 건강한 생각을 할 수 있는데, 자신을 건강하게 보지 못하는 데서, 모든 문제가 시작되는 것이다. 목회 상담학은 실존 심리 치료에서와 같이 인간의 깨어진 모습에 대해 얘기를 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 나아가
독특한 기독교의 관점에서 인간을 보는 이해, 신을 보는 이해, 인간의 실존적 문제를 극복하는 구원론 이해의 관점으로 구원이후 치료받고, 회복된 인간이 어떻게 자기실현을 할 수 있는지 영역까지 관심이 확대된다. 인간의 자기실현 가능성은 Original Blessing을 인식하는 것에 있다. 목회 상담은 우리의 잘못된 신념을 찾아 참된 진리로 바꾸면서, 우리의 올바른 자아상, 즉 하나님의 형상 (Image of God)을 찾아가는 것을 도와주는 작업이라 하겠다.
자아상은 사람들이 자신들을 보는 모습이라 정의할 수 있다. 자신의 가치와 진가에 대해 스스로 내린 결론들로 인해 형성된 자신에 대한 생각속의 이미지이다. 이러한 결론에 도달하도록 이끈 많은 정보들이 사람들의 삶, 경험으로부터 오게 된다. 삶에서의 경험과 이에 대한 반응들이 사람들의 삶의 pattern을 만드는 것이다. 이것들을 치료하는 것은 인간의 전인성 회복, 즉 올바른 자아상 형성을 통해 가능하다. 이것은 인간의 전인성 중심에 있는 spirit의 건강함과 관련이 있다.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다. 이렇게 전인적 인간으로 거듭날 때, 실존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자기 삶의 주임됨을 선언하라” 라고 말했던 Mattew Fox 의 말처럼, 사람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가능성을 인식하고, 긍정적 시각으로 이 세상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어렸을 때부터 우리는 많은 상처와 고통을 당하며, 우리 자신의 보호를 위해 종종 벽을 쌓게 된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나’를 좋아하지 않거나 우리의 약점이 드러나 다른 사람들이 우리 자신을 또 상하게 할 것을 두려워한다. 이러한 삶에서의 경험과 이에 대한 반응들로 우리들은 부정적인 pattern을 만든다. 이러한 부정적인 시각으로 인해, 사람들의 가능성은 아직도 묻혀 있다. 그래서 자신의 의지대로 살아가고 있지 못하다. 자기 삶의 주인 됨을 선언하지 못하고 있다.
“자기 삶의 주인 됨을 선언하라, 자기 삶의 춤을 추워라”라는 말에 너무 공감이 가지만, 지금까지 그렇지 못한 나의 모습에 답답하였다. 이제부터 나 또한 내 삶의 주인 됨을 외치는 것은 물론 다른 사람들도 자신들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자신들의 삶의 주체가 되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 졌다. 이것은 내가 하는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하다. 이 책을 통해, 상담자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얄롬 박사의 상담의 사례는 실제적인 것이라 많은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목회 상담학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 한 인간에 대한 신적 가능성을 보고, 그 길을 함께 가면서, 삶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목격자로써 지지해주며, 관계의 문제를 화해시키며, 상처를 치료하는 것에서 나아가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하는 것을 돕는 것이 바로 목회 상담학에서의 상담자의 역할이라는 것을 다시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5.24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8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