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Ⅴ. 결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Ⅴ. 결론
본문내용
1.9
22.6
22.5
24.7
22-26mEq/L
* Electrolyte 검사
명칭
5/21
5/22
5/23
5/24
5/25
5/26
정상치
Sodium
142
147
139
138
142
142
135-145mEq/L
Potassium
3.4
3.5
3.7
3.9
3.6
3.6
3.5-5.5mEq/L
Coloride
109
109
104
105
108
109
98-110mEq/L
CO₂(Total)
19
25
21
23
22
21
24-31mEq/L
6) 투약
* mannitol
뇌압강하이뇨제
* BSV (Bisolvon)
거담제 (급만성기관지염, 폐결핵, 진폐증 치료)
* Dopa
혈압상승제
효능.효과 - 심근경색, 외상, 내독성 패혈증, 수술 후, 신부전증으로 인한 쇽,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부작용 - 오심, 구토, 빈맥, 협심증, 심계항진, 호흡곤란, 두통, 저혈압, 혈관수축
* Nimodipine - 혈압강하제
* Valproate - 간질제
* Dexa
특징 - 강력한 항염증, 항 알러지, 항 쇼크, 항류마티스 작용.
효력이 신속, 특히 발작, 위급시 등에 구명적 효과.
부작용 - 근육통, 관절통, 월경이상, 피로감, 소화성 궤양, 당뇨병, 혈압상승, 골다공증, 근육질환 일으킬 수 있음.
* tobra - 항생제
* Potenamin - 영양제
* Cepotiam - 항생제
* piracetam - 뇌사개선제
7) 간호과정 적용
* 질환과 관련된 의식저하 가능성
- 객관적 자료 : 수술 후 GCS 사정시 verbal 1 or 2로 check
- 주관적 자료 : “여기가 어디예요?”
- 목표 : 환자의 verbal이 5점이고 의식상태가 정상이다.
- 수행 : 환자의 GCSfmf 1시간마다 check.
if verbal 감소시 주치의에게 알려 Dopa 투여하도록 한다.
- 평가 : 환자의 verbal이 4점 or 5점이며 의식상태가 정상이다.
* 혈압과 관련된 재출혈의 가능성
- 객관적 자료 : 수술 후 환자의 혈압이 170/90mmHg 까지 오름.
- 목표 : 환자는 재출혈이 발생하지 않는다.
- 수행 : 자주 BP check. 처방된 범위내로 BP 유지시킨다. If 범위 밖으로 BP가 올라갔거 나 내려가면 Dopa 조절해 수축기 혈압을 유지시킨다. 뇌압상승을 막기위해 침상 안정을 유지한다
- 평가 : 처방된 범위내로 혈압이 유지되고 재출혈이 일어나지 않았다.
* 수술 부위와 카테터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 객관적 자료 : 수술부위에 gauze dressing이 되어있고 Foley catheter insertion한 상태 이다.
- 목표 : 환자는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 수행 : V/S check. dressing 시 무균법을 실시한다. 배액관 및 도뇨관의 내용물이 역류 되지 않도록 한다. 수시로 urine을 통한 미생물검사를 한다. 항생제로 예방한다.
- 평가 : 환자는 감염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 수술과 관련된 통증
- 주관적 자료 : “머리가 아파요”
- 목표 :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 수행 : 통증의 정도를 사정. 대상자의 관심을 다른 곳에 두게한다. 심호흡실시해 정서적 으로 안정되게 한다.
- 평가 : 환자의 통증호소가 경감되었다.
Ⅴ결론
본 간호사례를 통하여 본인은 지주막하 출혈의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한 지식과, 수술후 처치, 그리고 간호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쌓게 되었다. 그리고 중환자실이 다른 곳보다 간호사의 관찰과 간호가 더 많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병동에서는 볼 수 없었던 여러 가지 기계들을 볼 수 있어서 보람 있었고 각 환자들의 질환과 증상들도 제각기 다 달라서 여러 가지로 배우고 느낄수 있었다.
이곳에 계신 환자분들은 대부분이 의식의 변화가 자주 일어날 수 있는 분들이라 긴장도 많이 되곤 했고 워낙 병세가 안좋으신 분들이 계셔서 돌아가시는 분들도 간혹 계시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볼 수 없었던 임종간호도 볼 수 있었다.
이곳에서는 정말 많은걸 배울수 있을거란 생각이 들었다. 한편으로는 뿌듯하기도 다른한편으로는 배우고 공부해야 할것들이 아직 많이 남아있어서 아쉽기도 하다.
그리고 책에서 배우지 못한 현실감을 피부로 많이 느끼고 눈으로 볼 수 있었고 이번 과제와 실습을 통하여 작게나마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격려를 주게 되어 보람을 느낀다.
이 환자에게 본 간호학생이 수행한 간호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또한 환자가 빨리 완쾌되기를 바라며 사례연구를 마칩니다.
22.6
22.5
24.7
22-26mEq/L
* Electrolyte 검사
명칭
5/21
5/22
5/23
5/24
5/25
5/26
정상치
Sodium
142
147
139
138
142
142
135-145mEq/L
Potassium
3.4
3.5
3.7
3.9
3.6
3.6
3.5-5.5mEq/L
Coloride
109
109
104
105
108
109
98-110mEq/L
CO₂(Total)
19
25
21
23
22
21
24-31mEq/L
6) 투약
* mannitol
뇌압강하이뇨제
* BSV (Bisolvon)
거담제 (급만성기관지염, 폐결핵, 진폐증 치료)
* Dopa
혈압상승제
효능.효과 - 심근경색, 외상, 내독성 패혈증, 수술 후, 신부전증으로 인한 쇽,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
부작용 - 오심, 구토, 빈맥, 협심증, 심계항진, 호흡곤란, 두통, 저혈압, 혈관수축
* Nimodipine - 혈압강하제
* Valproate - 간질제
* Dexa
특징 - 강력한 항염증, 항 알러지, 항 쇼크, 항류마티스 작용.
효력이 신속, 특히 발작, 위급시 등에 구명적 효과.
부작용 - 근육통, 관절통, 월경이상, 피로감, 소화성 궤양, 당뇨병, 혈압상승, 골다공증, 근육질환 일으킬 수 있음.
* tobra - 항생제
* Potenamin - 영양제
* Cepotiam - 항생제
* piracetam - 뇌사개선제
7) 간호과정 적용
* 질환과 관련된 의식저하 가능성
- 객관적 자료 : 수술 후 GCS 사정시 verbal 1 or 2로 check
- 주관적 자료 : “여기가 어디예요?”
- 목표 : 환자의 verbal이 5점이고 의식상태가 정상이다.
- 수행 : 환자의 GCSfmf 1시간마다 check.
if verbal 감소시 주치의에게 알려 Dopa 투여하도록 한다.
- 평가 : 환자의 verbal이 4점 or 5점이며 의식상태가 정상이다.
* 혈압과 관련된 재출혈의 가능성
- 객관적 자료 : 수술 후 환자의 혈압이 170/90mmHg 까지 오름.
- 목표 : 환자는 재출혈이 발생하지 않는다.
- 수행 : 자주 BP check. 처방된 범위내로 BP 유지시킨다. If 범위 밖으로 BP가 올라갔거 나 내려가면 Dopa 조절해 수축기 혈압을 유지시킨다. 뇌압상승을 막기위해 침상 안정을 유지한다
- 평가 : 처방된 범위내로 혈압이 유지되고 재출혈이 일어나지 않았다.
* 수술 부위와 카테터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 객관적 자료 : 수술부위에 gauze dressing이 되어있고 Foley catheter insertion한 상태 이다.
- 목표 : 환자는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 수행 : V/S check. dressing 시 무균법을 실시한다. 배액관 및 도뇨관의 내용물이 역류 되지 않도록 한다. 수시로 urine을 통한 미생물검사를 한다. 항생제로 예방한다.
- 평가 : 환자는 감염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 수술과 관련된 통증
- 주관적 자료 : “머리가 아파요”
- 목표 :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 수행 : 통증의 정도를 사정. 대상자의 관심을 다른 곳에 두게한다. 심호흡실시해 정서적 으로 안정되게 한다.
- 평가 : 환자의 통증호소가 경감되었다.
Ⅴ결론
본 간호사례를 통하여 본인은 지주막하 출혈의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한 지식과, 수술후 처치, 그리고 간호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쌓게 되었다. 그리고 중환자실이 다른 곳보다 간호사의 관찰과 간호가 더 많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병동에서는 볼 수 없었던 여러 가지 기계들을 볼 수 있어서 보람 있었고 각 환자들의 질환과 증상들도 제각기 다 달라서 여러 가지로 배우고 느낄수 있었다.
이곳에 계신 환자분들은 대부분이 의식의 변화가 자주 일어날 수 있는 분들이라 긴장도 많이 되곤 했고 워낙 병세가 안좋으신 분들이 계셔서 돌아가시는 분들도 간혹 계시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볼 수 없었던 임종간호도 볼 수 있었다.
이곳에서는 정말 많은걸 배울수 있을거란 생각이 들었다. 한편으로는 뿌듯하기도 다른한편으로는 배우고 공부해야 할것들이 아직 많이 남아있어서 아쉽기도 하다.
그리고 책에서 배우지 못한 현실감을 피부로 많이 느끼고 눈으로 볼 수 있었고 이번 과제와 실습을 통하여 작게나마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격려를 주게 되어 보람을 느낀다.
이 환자에게 본 간호학생이 수행한 간호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또한 환자가 빨리 완쾌되기를 바라며 사례연구를 마칩니다.
추천자료
제국주의 피해사례 보고서
경영성공사례 연구보고서-본죽 그 분석과 개선방법
아동자폐 사례및 보고서
상담사례 보고서
과제중심모델과 실제사례개입 보고서(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례소개와 의사소통모델을 통한 사례적용 보고서(부록,역할극대본)
윤리경영 사례연구 보고서
마케팅믹스 사례조사 보고서 촉진 전략 Ⅱ (직접마케팅,DB마케팅,인터넷마케팅,Interactive마...
[응급간호 사례 연구] 지주막하 출혈 (SAH-Subarachnoid hemorrhage)
국내 또는 국외의 경영혁신 성공사례 또는 실패사례를 선택하여 사례연구 보고서를 작성하라.
가족치료모델과 가족치료사례 보고서(해결중심가족치료, 해결중심모델가족치료, 가족치료사례)
이혼가족 사례개입 보고서(이혼가족상담, 가족상담8회수록, 이혼가정사례개입, 이혼가족개입...
간호현장 사례분석 보고서
소아 ICU 케이스 사례 보고서 (병태 생리 실습 보고서 투약 처방 성장곡선차트 간호진단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