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남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 어 가 면 서

2. 강 남 지 역 의 도 시 개 발 정 책

3. 강남지역의 공간적, 지역적 발전과정

4. 강 남 지 역 에 대 한 공 간 적 분 석

5. 마 치 면 서

6.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경제 성장을 주도하였음을 <표-5>가 설명해 주고 있다.이 기간 동안에 서울시 전체고용의 증가율이 52.61%였고 인구증가율이 26.88%였던 것에 비하면 이들 수치는 실도 대단한 증가였음을 알 수 있다.
<표-5> 서울시 지역 및 산업별 고용변화(1981-1991, %)
지 역
고용자수
농수산업
광업
제조업
전기
가스
수도
도소매
음식
숙박
건설업
운송
창고
통신
금융
보험
부동산
개인서비스
총인구
중 심 부
동부지역
서부지역
영등포지역
강남지역
1.45
40.48
51.12
63.47
257.91
175.32
-3.45
121.91
32000.00
407.44
-52.38
-56.03
-43.81
52.63
162.30
65.28
15.43
76.53
40.30
416.73
-36.65
16.92
1.97
128.18
54.51
-2.05
45.97
90.76
94.65
174.68
-45.92
76.16
-8.58
-6.45
68.60
-2.05
45.97
90.76
94.65
174.68
19.47
91.84
86.29
197.21
440.05
-1.35
70.73
42.73
104.32
370.02
-19.37
20.03
1.71
28.43
108.22
서 울 시
52.61
200.89
18.39
56.94
36.70
51.24
-15.76
51.24
100.96
83.92
26.88
마치면서
영동과 잠실지역의 개발이 정책의 핵심이 되었던 강남 신시가지의 건설은 상전(上典)이 변하여 초대규모의 도시시가지가 건설될 수 있음을 보여준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운 대규모의 역사(役事)였다고 볼수 있다. 계속된 강남개발로 강남지역은 전 서울인구의 약 1/5 이상을 분담하여 수용하게 되었고, 많은 도시기능이 강북에서 이전 또는 새롭게 입지하여 매우 짧은 기간에 초현대식 부도심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강남과 서울 외곽지역을 개발하여 초대규모의 신규주택단지를 건설하여 주택을 공급하였음에도 계속 급증하는 주택수요로 서울의 주택문제를 충분히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는 아파트 및 집값 등의 폭등이라는 부동산 문제를 낳았다. 그리고 강남지역에 고부가가치 산업이 집중되어 몰려드는 인구로 인한 교통문제, 이에 따른 환경 문제 등의 여러 가지 문제들을 떠안고 있다.
이제 강남은 우리나라만의 지역이 아니다. 범세계적이고 글로벌한 지역이며, 한국을 대표하는 곳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위에서 살펴본 강남지역의 발전과정과 공간적, 지역적 분석을 토대로 강남은 친환경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도시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
참고문헌
서울의 도시개발정책과 공간구조, 최근희, 서울학연구소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변천과정, 원제무 외2명, 백산서당
연천지역연구, 이외희 외 6명, 경기개발연구원
순 서
━━━━━━
들 어 가 면 서
7-1
강 남 지 역 의 도 시 개 발 정 책
7-1

7-2
강남지역의 공간적, 지역적 발전과정
7-2

7-3
강 남 지 역 에 대 한 공 간 적 분 석
7-4

7-6
마 치 면 서
7-7
참 고 문 헌
7-7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5.28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