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칠레 FTA 발효 후 교역동향
2. 농업부문 한․칠레 FTA 이행 1년의 평가
2. 농업부문 한․칠레 FTA 이행 1년의 평가
본문내용
FTA 작년 11월 이후 협상이 중단되고 있다. 우리는 단기적으로 농수산물 분야에서의 이득을 바랬는데 일본이 50%의 농산물만 개방하겠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일본과의 협상이 이루어지고 이로인해 한중 FTA도 이루어져 한중일 교류로 이루어질것이라 예상한다. 또한 한미 간의 FTA는 한국이 중국에서 저가로 생산해 미국으로 팔면 이득이 크므로 아직 미국은 큰시장이라 여겨진다. 스크린 쿼터는 한 미간 FTA를 위해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부분의 발전을 위해 스크린 쿼터를 없애는 것이 좋지 않을까 예상한다. 서비스산업 부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서비스 부문(금융, 유통, 정보통신, 의료)이 발전해야한다. 이를 위해 미국의 앞선 서비스 산업이 한국에 투자되어 많은 이익이 창출될것이라 기대한다.
추천자료
세계의 블록화, 그리고 한국과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
FTA 추진형황 및 전략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경제학] 한국의 FTA가 나아가야 할 방향
한미FTA 개괄과 금융 산업 분석
[경제통합이론]경제통합의 유형분류, 경제통합이론, 아시아와 동북아지역의 경제통합, 유라시...
[FTA][자유무역협정]FTA(자유무역협정)의 추진배경, FTA(자유무역협정)의 현황과 한미FTA(자...
한국-인도 FTA 협상 전략
FTA 체결 후 농업부문에 영향 분석
[한-EU 자유무역협정]한-EU FTA 체결에 따른 각 산업부문별 영향 및 효과분석과 대응전략
(한국사회문제E형)우리사회에서 FTA로 인해 가장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되는 농업분야의 피해...
[한국사회문제E]FTA로 인한 농업분야의 피해를 최소화 할 방안에 대해 논해 보시오
한국과 유럽 FTA의 체결 과정과 의의
한국 과 캐나다 FTA 협력 과 대응방안
[관세론 공통] 한국의 FTA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하여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