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족학대*
* 배우자 학대 *
1. 학대의 유형
2. 배우자 학대의 요인
3. 일반적인 특징
4. 신고 되지 않는 이유
5. 배우자 학대의 악순환
6. 배우자 학대에 관한 잘못된 사회통념
7. 가족학대의 예방법
8. 학대를 당한 경우
9. 신고할 경우
* 아동학대 *
1. 아동학대란?
2. 아동학대의 유형
3. 아동학대의 발생요인
4. 학대받은 아동의 일반적 행동 및 증상
5. 아동학대자의 특성
6. 아동학대 예방법
7. 도움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가족학대 사례 *
나의 생각
* 배우자 학대 *
1. 학대의 유형
2. 배우자 학대의 요인
3. 일반적인 특징
4. 신고 되지 않는 이유
5. 배우자 학대의 악순환
6. 배우자 학대에 관한 잘못된 사회통념
7. 가족학대의 예방법
8. 학대를 당한 경우
9. 신고할 경우
* 아동학대 *
1. 아동학대란?
2. 아동학대의 유형
3. 아동학대의 발생요인
4. 학대받은 아동의 일반적 행동 및 증상
5. 아동학대자의 특성
6. 아동학대 예방법
7. 도움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가족학대 사례 *
나의 생각
본문내용
습니다.
그 다음날 남편은 술에 취해 정신이 나갔었다고 말하면서 자신의 행동을 후회했습니다. 그러나 곧이어 저에게도 잘못이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그리고 직장을 그만둘 것을 강요했습니다. 그때 저는 임신 6개월에 접어들었고 남편의 뜻에 따라 직장을 그만 두었습니다. 직장을 그만 두면 모 든 것이 평안해지리라 믿었습니다.
나의 생각
; 폭력남성들의 대부분은 화를 참지 못하고 말에 트집을 잡아 때리려고 한다. 폭력을 위해 어떠한 변명꺼리와 핑계를 대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남편의 말을 무시하면 남편의 말을 무시한다는 둥 반대로 남편의 말에 대답을 하면 남편의 말에 대꾸를 한다는 둥. 그런 식의 변명들을 만들어내어 가족들을 학대하기 시작한다.
폭력의 변명은 무수히 많다. 하지만 그 누구도 인간을 때릴 수 없다고 생각한다. 어떤 누구도 맞아서는 안 된다고. 세상에 맞을 짓이란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피해여성의 경우 자신의 잘못 때문에 자신이 학대를 당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믿음이다. 한번 시작된 폭력은 횟수가 잦아지고 강도가 심해진다. 때때로 치명적인 폭력으로 발전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렵지만 대화를 통해 풀다가 더 이상 폭력이 심해진다면 다른 상담센터나 경찰서로 연락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던 어느 날, 남편이 만취되어 들어왔습니다. 아이는 텔레비전을 보다가 얼른 자는 척하며 누었습니다. 남편은 한참동안 욕을 퍼붓더니 부엌으로 갔습니다. (남편이 그때 왜 그렇게 욕을 퍼부었는지 지금까지도 알 수 없습니다.) 그리고 칼을 들고 들어왔습니다. " 다 죽여버리겠다"며 고함을 지르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살기 위해 무조건 잘못했다고 빌었습니다. 빌고 또 빌었습니다. 가재도구를 닥치는 대로 집어 던지더니 남편은 제풀에 꺾여 쓰러져 잤습니다.
그 날 밤 저는 큰 결심을 하였습니다. 아이의 책가방만 집어들고 아이와 함께 무작정 집을 나왔습니다. 13년만이었습니다.
집을 나와 가정폭력상담소에 상담을 하였고, 그곳에서 저와 같은 가정폭력 피해자가 쉬면서 재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쉼터에 가게 되었습니다. 저는 상담 받으며 집을 나온 나의 선택이 옳았고 폭력은 어떠한 이유에서도 정당화될 수 없으며 세상에 맞을 짓이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남편은 술 때문에 나를 때린 것이 아니라 나를 때리기 위해 술을 마셨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가정폭력피해자는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것과 거주지 이전 없이 아이를 전학시킬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나의 생각
; 피해여성들은 집을 떠나기를 두려워한다. 이들은 남편의 보복이 두려워서, 아이들 때문에 , 경제적으로 무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오랜 학대로 자신감이 없어져서, 이혼녀라는 사회적인 낙인이 두려워서, 종교적인 이유로, 언젠가 남편이 때리지 않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에, 도와줄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학대하는 남편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다.
하지만 이런 가정폭력피해자를 돕는 곳이 있는데 가정폭력상담소에서는 상담 뿐 아니라 가정폭력피해자를 위한 쉼터연결, 법률지원 및 의료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거처마련과 자립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서비스가 있음에도 가족학대. 가정폭력의 피해자들은 우리의 이웃에서 숨죽여 지내고 있다. 가족학대가 남의 집안 일이라고 생각하고 말 것이 아니라 우리 국가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바라봐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 남아있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여성관과 자녀관으로 인해 많은 여성과 아이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가해자에 대한 처벌도 엄중해 져야 할 것이면 법적인 면으로의 성장도 지켜봐야 할 것이다.
그 다음날 남편은 술에 취해 정신이 나갔었다고 말하면서 자신의 행동을 후회했습니다. 그러나 곧이어 저에게도 잘못이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그리고 직장을 그만둘 것을 강요했습니다. 그때 저는 임신 6개월에 접어들었고 남편의 뜻에 따라 직장을 그만 두었습니다. 직장을 그만 두면 모 든 것이 평안해지리라 믿었습니다.
나의 생각
; 폭력남성들의 대부분은 화를 참지 못하고 말에 트집을 잡아 때리려고 한다. 폭력을 위해 어떠한 변명꺼리와 핑계를 대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남편의 말을 무시하면 남편의 말을 무시한다는 둥 반대로 남편의 말에 대답을 하면 남편의 말에 대꾸를 한다는 둥. 그런 식의 변명들을 만들어내어 가족들을 학대하기 시작한다.
폭력의 변명은 무수히 많다. 하지만 그 누구도 인간을 때릴 수 없다고 생각한다. 어떤 누구도 맞아서는 안 된다고. 세상에 맞을 짓이란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피해여성의 경우 자신의 잘못 때문에 자신이 학대를 당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믿음이다. 한번 시작된 폭력은 횟수가 잦아지고 강도가 심해진다. 때때로 치명적인 폭력으로 발전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렵지만 대화를 통해 풀다가 더 이상 폭력이 심해진다면 다른 상담센터나 경찰서로 연락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던 어느 날, 남편이 만취되어 들어왔습니다. 아이는 텔레비전을 보다가 얼른 자는 척하며 누었습니다. 남편은 한참동안 욕을 퍼붓더니 부엌으로 갔습니다. (남편이 그때 왜 그렇게 욕을 퍼부었는지 지금까지도 알 수 없습니다.) 그리고 칼을 들고 들어왔습니다. " 다 죽여버리겠다"며 고함을 지르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살기 위해 무조건 잘못했다고 빌었습니다. 빌고 또 빌었습니다. 가재도구를 닥치는 대로 집어 던지더니 남편은 제풀에 꺾여 쓰러져 잤습니다.
그 날 밤 저는 큰 결심을 하였습니다. 아이의 책가방만 집어들고 아이와 함께 무작정 집을 나왔습니다. 13년만이었습니다.
집을 나와 가정폭력상담소에 상담을 하였고, 그곳에서 저와 같은 가정폭력 피해자가 쉬면서 재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쉼터에 가게 되었습니다. 저는 상담 받으며 집을 나온 나의 선택이 옳았고 폭력은 어떠한 이유에서도 정당화될 수 없으며 세상에 맞을 짓이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남편은 술 때문에 나를 때린 것이 아니라 나를 때리기 위해 술을 마셨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가정폭력피해자는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것과 거주지 이전 없이 아이를 전학시킬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나의 생각
; 피해여성들은 집을 떠나기를 두려워한다. 이들은 남편의 보복이 두려워서, 아이들 때문에 , 경제적으로 무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오랜 학대로 자신감이 없어져서, 이혼녀라는 사회적인 낙인이 두려워서, 종교적인 이유로, 언젠가 남편이 때리지 않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에, 도와줄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학대하는 남편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다.
하지만 이런 가정폭력피해자를 돕는 곳이 있는데 가정폭력상담소에서는 상담 뿐 아니라 가정폭력피해자를 위한 쉼터연결, 법률지원 및 의료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거처마련과 자립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서비스가 있음에도 가족학대. 가정폭력의 피해자들은 우리의 이웃에서 숨죽여 지내고 있다. 가족학대가 남의 집안 일이라고 생각하고 말 것이 아니라 우리 국가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바라봐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 남아있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여성관과 자녀관으로 인해 많은 여성과 아이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가해자에 대한 처벌도 엄중해 져야 할 것이면 법적인 면으로의 성장도 지켜봐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가정폭력에 대한 방법론적 이해와 현대사회 가족의 변화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PPt
가정폭력에 대한 방법론적 이해와 현대 사회 가족의 변화와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PPT...
[피학대아동,우울증노인,가정폭력피해여성]자신이 관심있는 모델과 사례를 선택하여 개입계획...
결혼이주여성 가정폭력에 대한 신문기사(2009.12.24서울신문)및 기사에 대한 견해, 가족상담 ...
가족문제의 실태(이혼가족, 한부모가족, 가정폭력)
가족과 관련된 사회문제(아동, 청소년, 노인, 가정폭력 등등)에 대한 한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보호 및 교정관련 사회복지제도]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과 다문화가족...
가족복지의 필요성과 가정폭력의 특성
가족복지의 필요성과 가정폭력의 특성
가족상담사례(가정폭력, 외도, 이혼, 자녀문제, 알콜)에 대해서 한가지를 소개한 후 본인이 ...
아내 학대 가정 (아내학대의 개념, 아내학대의 현황과 사례, 아내학대의 발생원인과 대응방안...
가족의 인간관계 (가족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자매관계, 부부관계, 가정폭력, 동반자적 부...
우리나라 복지정책 중(국민연금, 건강보험, 아동학대, 가정폭력, 보육정책) 등 한 개 주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