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변수
2. 척도
3. 그래프 작성원칙
4. 표본추출방법
2. 척도
3. 그래프 작성원칙
4. 표본추출방법
본문내용
의 표본 추출 단위가 있는 모집단으로부터 크기가 n개인 표본을 무작위로 뽑는다고 할 때 각 표본 추출단위가 뽑힐 확률은 모두 n/N으로 동일하다. 한편, 표본을 뽑고 다시 뽑힌 추출 단위를 제자리에 돌려놓는 추출방법을 복원추출이라 하고 다시 넣지 않는 방법을 비복원추출이라 한다.
ex) 만약 예과 2학년 중에 해외자원봉사를 나갈 10명을 뽑는데, 지원자가 너무 많 아 80명 중에 10명을 뽑아야 한다면, 각 학생의 이름을 적은 종이 80장을 통 속에 놓고 잘 섞은 다음에 하나씩 10명을 뽑으면 된다. 이 때 한 번 뽑은 표는 다시 넣지 않으므로 비복원추출이다.
② 계통추출법
N개의 표본 추출단위가 있는 모집단으로부터 크기가 n인 표본을 뽑을 때 일정한 표본 추출간격을 두고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즉 모든 표본 추출단위들 중 일정한 간격을 두고 즉 ‘몇 번째마다’ 표본을 뽑는 것이다.
ex) 만약 예과 2학년 중 농활을 가기 위해 10명을 뽑아야 한다면, 표본추출간격
K=N/n 이므로 80/10=8 이 된다. 그리고 시작하는 번호는 무작위로 난수표를 이용해 뽑는다. 이 때 뽑힌 번호가 5일 경우, 5/5+8/5+8+8/5+8+8+8/… 이런 식으로 해서 5,13,21,29,37.45,53,61 등이 뽑히고 이 번호가 자기 학번 끝자리 두 자리 숫자와 일치하는 사람들이 농활을 가게 된다.
③ 층화확률추출법
모집단을 그 구성성분에 따라, 몇 개의 동질적인 소집단으로 분류한 다음에 각 소집단으로부터 단순확률추출을 하는 것. 이때 나누어진 각 소집단을 층이라고 한다. 그리고 층을 나누는 기준은 하나(나이, 교육, 성별 혹은 지역) 또는 둘 이상의 혼합기준(교육과 수입, 성별과 연령)이 될 수 있다.
ex) 사랑니 발치 실습을 위해 예과1,2학년 각 80명을 대상으로 할 경우, 학년을 단일 기준으로 했을 때 각 학년마다 40명씩을 무작위로 추출한다. 학년과 성별을 기준으로 한다면, 매학년에 남여 각각 20명씩을 무작위 추출하면 된다. 이렇게 똑같은 수의 표본을 할당하는 것을 동수할당법이라고 한다. 그런데 조선 치대의 경우 남여수가 같이 않으므로 남여 모집단의 구성비율에 비례하여 할당해서 표본을 뽑는 방법으로 해야 한다. 이것을 비율할당법이라고 한다. 즉 80명 중 남자가 60명, 여자가 20명이라고 하면 남:여=3:1이므로 40명을 추출할 경우 남자는 30명 여자는 10명을 추출해야 한다.
④ 집락추출법
모집단의 구성단위를 우선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몇 개 집락으로 구분한 다음에 무작위로 필요한 집락을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추출된 집락에 대하여 일부 또는 전수조사를 하는 것.
ex) 술로 인한 예과 2학년 80명의 간(liver) 건강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출석번호를 임의로 20명씩 나눈다. 그러면 4개의 집단이 생기고, 그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를 선정해 그 집단의 간 건강상태를 조사하면 된다.
4-2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연구자가 모집단과 비슷하다고 판단하는 표본을 임의로 추출하는 방법
ex) 만약 예과 2학년 중에 해외자원봉사를 나갈 10명을 뽑는데, 지원자가 너무 많 아 80명 중에 10명을 뽑아야 한다면, 각 학생의 이름을 적은 종이 80장을 통 속에 놓고 잘 섞은 다음에 하나씩 10명을 뽑으면 된다. 이 때 한 번 뽑은 표는 다시 넣지 않으므로 비복원추출이다.
② 계통추출법
N개의 표본 추출단위가 있는 모집단으로부터 크기가 n인 표본을 뽑을 때 일정한 표본 추출간격을 두고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즉 모든 표본 추출단위들 중 일정한 간격을 두고 즉 ‘몇 번째마다’ 표본을 뽑는 것이다.
ex) 만약 예과 2학년 중 농활을 가기 위해 10명을 뽑아야 한다면, 표본추출간격
K=N/n 이므로 80/10=8 이 된다. 그리고 시작하는 번호는 무작위로 난수표를 이용해 뽑는다. 이 때 뽑힌 번호가 5일 경우, 5/5+8/5+8+8/5+8+8+8/… 이런 식으로 해서 5,13,21,29,37.45,53,61 등이 뽑히고 이 번호가 자기 학번 끝자리 두 자리 숫자와 일치하는 사람들이 농활을 가게 된다.
③ 층화확률추출법
모집단을 그 구성성분에 따라, 몇 개의 동질적인 소집단으로 분류한 다음에 각 소집단으로부터 단순확률추출을 하는 것. 이때 나누어진 각 소집단을 층이라고 한다. 그리고 층을 나누는 기준은 하나(나이, 교육, 성별 혹은 지역) 또는 둘 이상의 혼합기준(교육과 수입, 성별과 연령)이 될 수 있다.
ex) 사랑니 발치 실습을 위해 예과1,2학년 각 80명을 대상으로 할 경우, 학년을 단일 기준으로 했을 때 각 학년마다 40명씩을 무작위로 추출한다. 학년과 성별을 기준으로 한다면, 매학년에 남여 각각 20명씩을 무작위 추출하면 된다. 이렇게 똑같은 수의 표본을 할당하는 것을 동수할당법이라고 한다. 그런데 조선 치대의 경우 남여수가 같이 않으므로 남여 모집단의 구성비율에 비례하여 할당해서 표본을 뽑는 방법으로 해야 한다. 이것을 비율할당법이라고 한다. 즉 80명 중 남자가 60명, 여자가 20명이라고 하면 남:여=3:1이므로 40명을 추출할 경우 남자는 30명 여자는 10명을 추출해야 한다.
④ 집락추출법
모집단의 구성단위를 우선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몇 개 집락으로 구분한 다음에 무작위로 필요한 집락을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추출된 집락에 대하여 일부 또는 전수조사를 하는 것.
ex) 술로 인한 예과 2학년 80명의 간(liver) 건강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출석번호를 임의로 20명씩 나눈다. 그러면 4개의 집단이 생기고, 그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를 선정해 그 집단의 간 건강상태를 조사하면 된다.
4-2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연구자가 모집단과 비슷하다고 판단하는 표본을 임의로 추출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