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정보(지식)격차 해소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주의 정보(지식)격차 해소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정 보 격 차 개 념 정 의 및 측 정
(1) 정 보 격 차 개 념 정 의
(2) 정 보 격 차 의 측 정
2) 정 보 격 차 의 원 인
3) 정 보 격 차 해 소 의 사 회 적 필 요 성
4) 호 주 의 정 보 격 차 현 황
(4) 정 보 격 차 현 황 조 사
5. 호 주 의 정 보 격 차 해 소 방 안
(1) 호 주 정 보 격 차 해 소 정 책 의 기 본 방 향
(2) 호 주 의 정 보 격 차 해 소 사 업 및 정 책

3. 결 론

본문내용

인 접속 및 정보화교육을 제공하였으며, The Nangkada Tjikarna Council Inc은 $143,000를 지원받아 Connecting Indigenous Community Links를 통해 호주 남부지역의 7곳의 원주민 지역사회에 공공 인터넷 접속 시설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The WA Telecentre Support Unit(Department of Commerce and Trade의 하부 기관)은 180만달러를 지원받아 WA Telecentre Network을 38개에서 100개로 증설하였다.
이 밖에도 Department of Transport and Regional Service는 1999년부터 2004년까지 5년동안 7,000만달러를 지원하는 Rural Transaction Centres Program(DTRS)을 통해 소규모 농촌지역(거주 주민 3,000명 이하지역)에 접근센터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은행 및 우편 업무, 전화, 팩스, 인터넷 및 관련 정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호주의 ISP(Information Service Provider)인 Centrelink는 Department of Employment, Workplace Relations and Small Business(DEWRSB)와 Health Insurance Commission과 공동으로 2000년 4월부터 9월까지 10개 농촌지역에 Telstra Multimedia Payphone KIOSK를 운영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4) 저소득주민을 위한 컴퓨터 보급
호주에는 저소득주민을 위한 컴퓨터 보급사업을 별도로 추진하지는 않으며, Networking the Nation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주민에게 중고 PC를 보급하는 사업에 지원을 하고 있다.
【표 6】Networking the Nation의 지원을 받은 PC보급사업
지원받은 단체
사 업 내 용
1. Mareeba
2. Regional
3. Development
4. Organization
·사업명 :Atherton Tablelands Information Technology Access
·지원규모 : 861,320 달러
· 사업내용
- 지역 주민들에게 ICT 교육훈련 및 접근 제공,
- 사회적 경제적 지리적으로 낙후한 주민에게 가정 방문하여 일대일 서비스 제공
- 16개 지역단체에 접근센터 구축,
- 지역주민에게 재활용 PC 보급 등
주 1) :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정보화교육을 사업 단체가 접근센터구축 및 재활용 컴퓨터 보급 사업까지 함께 함
(5)저소득 및 농촌지역주민의 정보통신요금 지원
호주는 저소득 주민의 표준전화서비스 요금지원뿐만 아니라 ISDN(64Kbps)서비스를 보편적 서비스로 규정하여 모든 호주인이 공정한 가격으로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지역에 따라 ISDN 이용 요금차이는 있으며, 대신 이 서비스를 받기 위해 추가로 지출된 장치비(예들 들면, 위성 접시, 혹은 수신 장치)는 50%까지 보편적 서비스 기금(Universal Service Obligation Fund)을 통해 환불해주고 있다.
(6)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이용능력 교육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이용능력 교육 역시 Networking the Nation 기금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업 예로는, 정보화교육 강사를 고용하여 농촌지역 여성과 그 가족들에게 순회하며 정보화교육을 실시하는 BridgIT project, Victoria 농촌지역의 학교에 설치된 25개의 인터넷 접속 시설을 통해 정보화교육을 지원하는 Skills.net, 23개 지역의회(community councils)에 인터넷, E-mail, 그리고 홈페이지 구축을 위해 필요한 H/W 및 S/W를 지원하고 동시에 의회 관련자뿐만 아니라 일반 주민들에게 정보화교육을 제공하는 I've Got E-mail 2, 그리고 2,030만달러라는 많은 자금을 지원하여 인터넷 접속이 어려운 지역 주민을 위한 인터넷 접속과 교육, 그리고 관련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전국 규모 사업인 The Farmwide Internet Access for All 등이 있다.
Ⅲ. 결론
정보화사회에서는 지식이 곧 자본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지식이 중요하고, 정보격차로 인해 빈부격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회통합 또한 저하 할 될 있다는 것을 염두하고, 호주의 지식 격차 현황과 호주의 정보격차 해소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보격차 해소 정책은 지식이 곧 자본인 정보사회의 혜택을 모든 사람이 누리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지식을 많이 소유한 집단의 몫을 어느 정도 떼어내 지식 소유가 적은 집단에게 지원하는 재분배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사회복지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정보 접근의 평등성을 위해 호주는 농어촌 등 낙후지역 초고속 정보통신만 구축, 장애인 및 노인을 위한 접근성 보장, 지역접근센터 구축, 저소득 및 농촌지역주민의 정보통신 요금 지원,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이용능력 교육에 대한 사업을 하고 있다.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여러 사업이 잘 진행되기 위해선 지식을 많이 소유한 집단의 자발적인 동참이 중요하다. 그러하기 때문에 정보격차 해소의 필요성을 홍보하고 이를 통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의 측면에서 호주가 우리나라 보다 정보격차의 해소에 대한 필요성을 더욱 인지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보다 정보격차 해소의 필요성에 대한 더 높은 인식과 관심을 갖는 다면 호주의 정보격차 해소 사업은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 될 것이다.
정보격차 해소는 정보화 사회로 진입한 모든 나라의 큰 과제이다. 정보격차 해소를 하나의 숙제로 가진 정부는 정보격차 해소가 국가 전체 정보화와 어떻게 연결되는 것인지에 대한 분명한 비전을 제시하고, 정보격차 해소가 국가 경쟁력 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를 보여 주여야 하겠다. 그래서 국민들이 정보격차 해소의 필요성에대한 인식을 할 수 있게 하고,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사업자, 민간비영리 단체 등 모두가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을 하도록 해야하겠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5.3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4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