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회마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풍산 류씨 종가 양진당(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729-4 / 보물 제306호)

2. 하회 충효당(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656 / 보물 제414호)

3. 의성 김씨 대종가(보물 450호)

4.. 의성 김씨 소종가

5. 북촌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706 / 중요민속자료 제84호)

6. 월성손동만씨가(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223 / 중요민속자료 제23호)

7. 월성 香壇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135 / 보물 제412호)

8. 월성 관가정(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150 / 보물제442호)

9. 경주 최준씨 가옥(경주시 교동 / 중요민속자료27호)

10. 묘동 박황씨 가옥(달성군 하빈면 묘리)

11. 영천 정재영씨 가옥(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 중요민속자료 24호)

본문내용

공간과 시선의 흐름을 만들고 있다.
9. 경주 최준씨 가옥(경주시 교동 / 중요민속자료27호)
최준씨의 9대조가 본래 요석궁터였던 대지에 건축하였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1700년대에 건축된 상류주택으로 볼 수 있겠다.
행랑방고 광으로 구성된 행랑채의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사랑마당이 되고 사랑마당의 앞쪽에 사랑방과 사랑대청으로 된 사랑채가 서 있고 그 서쪽으로 대청과 방으로 된 별당이 있다. 이 별당은 한때 서당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안채는 사랑채오 연결된 중문간행랑채의 중문으로 구성되어, 앞에 말한 사랑채와 연속되어 있다.
10. 묘동 박황씨 가옥(달성군 하빈면 묘리)
현 주인 박황씨의 5대조 박광석씨가 1747년에 건축한 조선조시대의 중기의 주택이다.
대문간에 들어서면 석류나무가 세 그루 서 있는 사랑채에 이른다. 사랑채는 방과 대청들이 ㄱ자형으로 부엌, 안방, 대청, 건넌방 들로 구성되어 사랑채와는 독립된 채로 건축되었다.
부엌 서쪽에는 우물과 장독대가 있고 이 옆에 커다란 곳간이 자리잡고 있다.
사랑마당의 서쪽에는 나지막한 담장이 있고 이 담장에 건축된 작은 일각대문을 들어서면 넓은 방지와 이 방지를 향해 건축된 별당에 이른 다. 별당은 방과 누로 구성되어 4계절을 통해 언제고 적절히 이용할 수 있도록 되었다.
11. 영천 정재영씨 가옥(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 중요민속자료 24호)
현주인 정씨의 10대조 매산 정중기가 개기(開基), 그의 아들 정일감이 완성한 중기 상류주택이다.
구자형 몸채에 단순한 평면을 이루고 있으나 원래에는 아랫사랑, 고방채 등의 다른 동들을 독립하여 건축한 주택이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5.3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