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보건 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등 보건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단원의 지도 계획

2. 단원의 평가 계획

3. 본시의 지도 계획

4. 학습 지도안

5. 참고자료

본문내용

의 발달은 개인간의 차이가 있지만 비교적 예측 가능한 몇 단계를 거쳐간다고 한다. 그 시기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초기 성적 단계 (만 1~5세)
자기애의 단계로서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 이외에는 애정을 표시하지 않는다. 얼마 후 자기 이외의 사람에게 애정을 표시하는 시기로 돌봐주는 사람이나 장난감 등 자기를 둘러싼 것을 대상으로 선택한다. 처음에 연장자를 선택해서 놀다가 4~5세에 이르면 같은 또래 아이들과 남녀 구분 없이 성인이나 이성으로부터 신체적인 애정표현을 받더라도 놀라지 않는 시기이다.
㉯ 성적 대항기 (만 6~12세)
초등학교 중학년이 되면 남녀간에 함께 놀기를 꺼리고 반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자체가 이성을 의식해 가는 첫 단계라고 보아도 좋다. 또 일부러 이성을 피하거나 이성에게 반발하거나 이성의 마음에 상처를 주기도 한다. 남녀간의 반발은 생리적 원인보다는 사회적 원인 때문에 일어나게 된다. 즉, 부모나 일반 성인들이 아동의 놀이나 다른 일반적인 생활에 관해서 남녀에 따라 다른 취급을 하고 평가를 하기 때문에 남녀 서로가 자기의 성 특징을 가지려고 하는데서 나타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성적 혐오기 (만 13~14세)
사춘기의 부정적 경향의 일면으로서 이성으로부터 멀어지려고 하는 비교적 단기간에 걸쳐서 나타나는 성적 혐오기가 있다. 이는 성적 반발이 사회적 원인으로부터 생기는 것과는 달리 주로 생리적인 원인으로부터 오는 현상이다.
성적 혐오란 첫째, 사춘기의 생리적 변화가 자신의 신체에서 일어날 때 성의 생리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함으로 일어나는 성 일반에 대한 불안, 수치, 혐오의 현상이다. 둘째, 성에 관한 피해 체험이다. 예를 들어 성적 변화에 관해서 주위 사람들이 좋게 보지 않거나 비난함으로서 발생하는 수치감이나 공포감 때문에 생길 수도 있다. 셋째, 성에 관해 가정이나 사회의 잘못된 교육 때문에 생길 수도 있다. 즉, 성적인 것을 불결하게 생각하는 관념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성적 혐오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남자의 경우에는 생리적 변화가 그다지 문제되지 않기 때문에 성적 혐오의 감정도 여자만큼 심하지 않으며 혐오 기간도 여자보다 짧은 것이 보통이다.
㉱ 성적 애착기 (만 14~15세)
성적 혐오단계에서 이성애 단계로 넘어가기까지 사이에 동성에 대하여 강한 성적 애착을 느끼거나 자기보다 훨씬 나이 많은 이성의 연장자에 애착을 느끼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연장의 이성에 대한 애착은 이성혐오의 배후에 숨어 있는 이성에 대한 호기심과 접근욕에 기인하는 감정적 불안정을 연장자에 의하여 안정시키고자 하는 욕구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한다.
㉲ 이성애 단계 (만 15세~ )
잠시 동성이나 연장의 이성에 향했던 애착이 얼마 후 이성에 향하는 시기가 된다. 이성과의 접촉이 자유로운 사회에서는 동성애에 대한 애착은 적고 이성에 대한 사랑의 현상이 일반적으로 보여진다.
☞ 자료 ④ - 사춘기의 건전한 정서 발달을 돕는 방안
1. 취미활동
: 취미활동을 하는 것이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된다. 자기가 좋아하는 운동이나 악기연주, 그림그리기, 만들기, 등산 등을 하면서 사춘기의 불안한 정서를 스스로 잘 다스리는 것이 중요하다.
2. 또래 친구와의 우정 키우기
: 또래 활동을 통해 인간관계가 성숙해 진다.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힘은 또래 친구들과 친하게 지내는 것이다. 또래 친구들은 애정과 이해의 밑바탕이 되며 부모로부터 자율성과 독립을 얻는데 자신감을 준다. 또래 활동을 통해 친한 친구와 가장 깊은 속마음과 생각을 나눌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해 간다.
3. 건전한 그룹 활동에 참여
: 학교에서의 그룹 활동이나 교회 등의 활동, 모임 등에 참가하여 자연스럽게 동성 또는 이성 또래들과 사귀고 특히 이성과도 함께 만남으로 해서 이성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한다.
4. 좋은 책 많이 읽기
: 좋은 책을 많이 읽음으로써 세상을 이해하고, 간접적이지만 훌륭한 사람들의 삶을 통해 인생을 배울 기회를 갖는 것도 자신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
* 참고자료
우리누리(2000).『사춘기에 만나는 호기심』. 서울 : 삼성출판사.
이화연(1991).『우리 아아들의 성교육 어떻게 할까』. 서울 : 도서출판 돌베개.
http://www.hwagae.ms.kr/seducation.htm
http://we-ok.or.kr/technote/read.cgi?board=sung04&y_number=8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5.3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