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박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풍자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암박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풍자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박지원에 대해서
2) 연암 박지원 소설의 일반적인 특징
3) 열하일기(熱河日記) 수록 작품에 나타난 풍자성
(1) 호질(虎叱)
① 줄거리
② 풍자내용
(2) 허생전(許生傳)
① 줄거리
② 풍자내용
4) 방경각외전(放揭閣外傳) 수록 작품에 나타난 풍자성
(1) 양반전(兩班傳)
① 줄거리
② 풍자내용
(2) 광문자전(廣文者傳)
① 줄거리
② 풍자내용
(3)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
① 줄거리
② 풍자내용
(4) 마장전(馬장傳)
① 줄거리
② 풍자내용
(5) 민옹전(閔翁傳)
① 줄거리
② 풍자내용
(6) 우상전(虞裳傳)
① 줄거리
② 풍자내용
(7) 김신선전(金神仙傳)
① 줄거리
② 풍자내용
4) 연상각선본 수록 작품에 나타난 풍자성
(1)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
① 줄거리
② 풍자내용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용 하지 말라고 한 국전(國典)은 서민을 위하여 마련한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귀천을 막론하고 과부로 절개를 지킴은 물론, 나아가 농가, 위항(委巷)의 여인들까지 물불에 몸을 던지고 독약을 먹고 목을 매는 일이 일어나고 있는 현실을 비판한 것입니다. 그리하여 일찍 과부가 된 한 여인이 깊은 고독과 슬픔을 달래기 위하여 동전(銅錢)을 굴리면서 아들 형제를 입신시킨 이야기를 삽화로 넣어 수절의 어려움을 밝히고, 이와 같은 어려움을 넘긴 이야말로 진정한 열녀라 이를 수 있다고 한 것입니다.
박씨의 순절을 완곡히 비판하면서 그러한 일이 만연하는 사회풍조, 나아가 과부의 개가를 금지시킨 사회제도에까지 비판이 확대되고 있는 이 작품은 삽화를 넣으면서 설명과 문답으로 간결하고 실감 있게 표현한 작가 만년의 글입니다.
3. 결론
지금까지 "열하일기" "방경각외전" "연상각선본"에 수록된 작품들로 분류하여 연암 박지원 소설에 나타난 풍자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임진·병자 두 전란 이후 임금이나 상층계급은 무력한 존재요, 허수아비로 군림한 허상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났고 적을 물리친 힘의 주체가 민중이었다는 사실도 알고는 있지만 오랜 세월을 두고 위에서 눌러왔던 중압감과 사대부에게는 무조건 복종하는 것이 운명이라는 맹신적 타성은 좀처럼 개변되어지지 못한 조선 후기 사회에 자아각성과 근대화의 횃불을 밝혀 준 엘리트들이 실학자이고 연암 박지원은 구체적으로 "양반전"을 통해 양반이란 무력한 존재로서 돈만 있으면 살수도 있다는 사실을 풍자적으로 민중에게 이야기해주었고 "허생전"을 통해 장사하는 방법과 위정자들의 허세를 헐난하는 소설을 해학적으로 써서 사대부들에게 경종을 울리고 민중에게 자활의 길을 암시하였으며 "예덕선생전" "광문자전"을 통해 직업에는 귀천이 없으며 신용과 근면 때문에 성공한 사람들이 가장 존경받아야 할 사람들이라는 것을 전기체로 써서 하층계급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었으며 본문에서 언급하지는 못했지만 "봉산학자전" "역학대도전" "호질"등을 통해 거짓 학문으로 백성을 속이는 위학자군의 비리, 음란을 드러내어 사회적으로 징벌하는 소설을 썼으며 마지막으로 "열녀함양박씨전"통해 과부의 수절이 어려우니 재가함이 합리적임을 암시하여 여성의 지휘에 선척적 견해를 펼쳤습니다.
연암은 자기 반성과 또 한편으로는 불우한 처지에서 그릇된 사회를 해학과 기지로 조롱하고 풍자하는 태도를 문학작품에 나타내었는데, 이는 바로 모순된 사회를 고발하고 비판하는 그의 치열한 문학정신을 보여주는 일면입니다.
또한 연암 박지원은 고문을 반박하면서 참다운 문학의 질은 이미 화석화되어 버린 옛말과 경험을 답습하는 데 있지 않고, 그 진정한 의미를 음미하면서 자신의 시대와 경험에 충실하는 데 있을 따름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연암에 있어서 풍자란 중세적 봉건사회가 무너져 가고 그 속에서 새로운 사회의 움직임이 싹트기 시작하는 역사적 변화의 시대에 살면서 그 모든 추이들을 직시했던 비판적 태도로 나타납니다. 또한, 그는 서민들의 삶의 세계를 향하여 새로운 의식 세계를 확장하면서 당대 평민층의 삶과 모습을 생생하게 포착하는 사실주의적 기법으로 뛰어난 소설적 성과를 이룩했습니다.
*참고문헌
한국 고전문학의 이해와 분석 / 강명혜
燕巖小說의 敍事構造 硏究 / 두창구
(增補) 朴趾源小說硏究 / 김영동
박지원의 문학과 사상 / 김지용
朴趾源 小說作品의 諷刺性 硏究 / 오상태
http://www.songkw.com.ne.kr
http://munsu.new21.org
http://www.seelotus.com
http://www.hanlover.pe.kr/
http://www.empas.com 백과사전 및 지식거래소

키워드

연암,   박지원,   풍자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5.31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6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