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닥에 쌓인 이물질이 해수순환에 의해 자연적으로 빠져나가도골 개량하여으며 동시에 양성기 측면 창문을 넓혀 해수 순환량을 증가시켜 주었다.
창문 시설 시 바닥부분과의 턱을 없애 해수유동에 의해 자연적으로 뻘이 창문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개량하였으며, 창문 재질도 PVC재질로 개량하였다. 이렇게 개량된 양성기를 새로이 설계하여 어업인들에게 보급하였다.
앞으로의 전망 및 기대효과
이상의 결과를 볼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침하식 양성기를 이용한 전복 양식은 성장 및 생존율이 양호할뿐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또한 풍파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동해안에서는 적합한 양식 방법으로 판단된다.
특히 동해안의 대부분의 어촌계에서는 뚜렷한 양식방법이 없어 전복 치패를 구입하여 마을 어장에 방류하는 살포식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데, 방류하는 치패의 크기가 70년대에서 80년대까지는 주로 각장이 1~2cm의 치패를 방류하였고, 90년대에는 각장 약 3cm의 치패를 방류하였으나 , 최근에는 각장5~6Cm의 전복을 방류하는등 점차 큰 것을 선호하는 실정이다.
이는 70년대와 80년대에는 전복 치패의 가격이 워낙 고가이고 또한 전복 종묘생산의 기술이 초기 단계여서 대형 치패의 생산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90년대에 접어들면서 민간으로 이전된 종묘생산의 기술이 안정적으로 확립되어 전복 종묘생산업이 본격적인 산업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대형의 치패 생산은 물런이고 , 완전양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가격 또한 어느 정도 하락하면서 안정화되었다. 이러한 조건이 이루어졌을 때 각 어촌계에서는 방류 전복의 생존율을 높이고 조기에 생산할목적으로 점점 대형의 전복 치패를 방류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전복 치패는 고가여서 어촌계 자체에서 치패를 방류하기에는 자가부담이 너무 커서 많은 량을 방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각 어촌계에서 협동어장에 침하식 양성기를 2,3개 설치하여 대형 치패에 비해 1/2~1/4 가격인 2cm 내외의 치패를 구입하여 약 5,6개월 양식하여 4~5cm가 된 후에 마을어장에 방류한다면 적은 금액으로 많은 량의 치패를 방류할수 있어 현재보다 몇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양성기는 인공어초로 효과가 인정되어 동해안의 수심 10~15m인 협동어장에 대량투하할 경우 전복 양식에 의한 직접적인 소득은 물런이고 연안자원 조성 면에서도 크게 기여함으로써 연안어장 목장화 정책에 일익을 담당할것으로 기대된다.
창문 시설 시 바닥부분과의 턱을 없애 해수유동에 의해 자연적으로 뻘이 창문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개량하였으며, 창문 재질도 PVC재질로 개량하였다. 이렇게 개량된 양성기를 새로이 설계하여 어업인들에게 보급하였다.
앞으로의 전망 및 기대효과
이상의 결과를 볼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침하식 양성기를 이용한 전복 양식은 성장 및 생존율이 양호할뿐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또한 풍파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동해안에서는 적합한 양식 방법으로 판단된다.
특히 동해안의 대부분의 어촌계에서는 뚜렷한 양식방법이 없어 전복 치패를 구입하여 마을 어장에 방류하는 살포식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데, 방류하는 치패의 크기가 70년대에서 80년대까지는 주로 각장이 1~2cm의 치패를 방류하였고, 90년대에는 각장 약 3cm의 치패를 방류하였으나 , 최근에는 각장5~6Cm의 전복을 방류하는등 점차 큰 것을 선호하는 실정이다.
이는 70년대와 80년대에는 전복 치패의 가격이 워낙 고가이고 또한 전복 종묘생산의 기술이 초기 단계여서 대형 치패의 생산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90년대에 접어들면서 민간으로 이전된 종묘생산의 기술이 안정적으로 확립되어 전복 종묘생산업이 본격적인 산업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대형의 치패 생산은 물런이고 , 완전양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가격 또한 어느 정도 하락하면서 안정화되었다. 이러한 조건이 이루어졌을 때 각 어촌계에서는 방류 전복의 생존율을 높이고 조기에 생산할목적으로 점점 대형의 전복 치패를 방류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전복 치패는 고가여서 어촌계 자체에서 치패를 방류하기에는 자가부담이 너무 커서 많은 량을 방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각 어촌계에서 협동어장에 침하식 양성기를 2,3개 설치하여 대형 치패에 비해 1/2~1/4 가격인 2cm 내외의 치패를 구입하여 약 5,6개월 양식하여 4~5cm가 된 후에 마을어장에 방류한다면 적은 금액으로 많은 량의 치패를 방류할수 있어 현재보다 몇배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양성기는 인공어초로 효과가 인정되어 동해안의 수심 10~15m인 협동어장에 대량투하할 경우 전복 양식에 의한 직접적인 소득은 물런이고 연안자원 조성 면에서도 크게 기여함으로써 연안어장 목장화 정책에 일익을 담당할것으로 기대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