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암(Cancer)
■ 암이란 무엇인가?
■ 우리나라 암 발생 현황
■ 암의 원인 및 특징
■ 암의 예방
■ 일상 생활 속에서의 발암
■ 암의 조기 발견
■ 암의 진단과 치료
2. 방사선 치료의 역사
■ 방사선의 선질과 선량의 측정
■ 방사선 치료의 기술적인 발전
3. 방사선 치료의 개요
■ 종양의 역학 및 방사선 치료
■ 방사선 치료의 대상과 적응 및 목적
■ 방사선 치료 방법
■ 암이란 무엇인가?
■ 우리나라 암 발생 현황
■ 암의 원인 및 특징
■ 암의 예방
■ 일상 생활 속에서의 발암
■ 암의 조기 발견
■ 암의 진단과 치료
2. 방사선 치료의 역사
■ 방사선의 선질과 선량의 측정
■ 방사선 치료의 기술적인 발전
3. 방사선 치료의 개요
■ 종양의 역학 및 방사선 치료
■ 방사선 치료의 대상과 적응 및 목적
■ 방사선 치료 방법
본문내용
인 경우는 대부분 1문 조사로 치료하며, 종양이 심부에 위치한 경우는 2문 이상의 다문 조사를 시행하게 되는데 이는 주위 정상 조직의 방사선량을 감소시키고 병변에만 방사선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ⅱ. 운동 조사 : 회전 조사, 진자 조사
운동 조사는 다문 조사와 마찬가지로 주위 정상 조직의 방사선량을 줄이고 병변에만 방사선을 집중시켜 가능한 정상 조직의 장애를 최소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Ⅱ. 시간적 선량 배분(Time-Dose Relationship)
얼마만큼의 총선량을 어떤 선량율로 얼마의 일일 종양 선량으로 몇 회에 나누어서 얼마만큼의 간격을 두어 얼마의 전 치료 기간에 치료하는가는 치료 효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즉, 총선량은 같아도 분할 횟수, 선량율, 치료 기간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 따라서 시간적 선량 분포를 결정하는 것은 치료 성적의 성패에 중요한 인자이다.
일반적으로 1회에 전 선량을 일시에 조사하는 것은 수술 중 방사선 치료와 정위적 방사선 수술에만 사용되고, 대부분은 1일 1회 1.5∼2.0Gy 정도를 주 5회 조사하는 단순 분할 조사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순 분할 조사법 외에 일정량을 주 5회에 나누어 치료하던 것을 주 3회로 나누어 치료(선량을 10∼20% 감량)하거나 만성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하루에 2∼3회 조사하는 방법인 고분할 조사법(Hyperfractionation) 등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번에 걸쳐 분할해서 치료하는 것은 암 조직은 파괴하면서 주위 정상 조직의 손상을 가능한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고식적 목적의 방사선 치료에는 대개 3Gy 10회(2주), 4Gy 5회(1주), 6Gy 3회(1주) 등의 방법으로 치료하는데 이는 환자의 생존률이 낮아 치료 종료 후에 발생하는 만성 부작용에 대하여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Ⅲ. 방사선 치료 시행 과정
방사선 치료는 장기간에 걸쳐(20∼30회/4∼8주) 시행하므로 매번 같은 부위에 정확하게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며 시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ⅰ. 방사선 치료 과정을 환자에게 자세히 설명한다.
ⅱ. X선 촬영, 전산화 단층 촬영(CT), 초음파, 자기 공명 촬영(MRI) 등을 이용하여 체내 병변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고 시뮬레이터로 치료 부위를 결정한다.
ⅲ. 조사 부위 또는 조사야를 피부에 표시한다. 치료 기간 중에는 피부에 표시한 선이 지워지지 않도록 환자에게 주의시킨다. 치료 부위 표시가 외관상으로 문제가 되면 문신을 할 수도 있지만 평생 지워지지 않으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전에 환자의 양해를 구한다.
ⅳ. 시뮬레이터로부터 확인된 치료 부위에 적합한 개인 차폐물을 제작한다.
ⅴ. 방사선 치료 부위를 감마그람 또는 라이낙그람(초기 치료 포탈필름)으로 확인한다.
② 소선원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법
Ⅰ. 밀봉 소선원 치료 방법(근접 치료)
밀봉 소선원으로 조직내 조사, 강내 조사, 표면 조사 등을 시행하는 것으로 주위 정상 조직에는 선량을 최소화시키면서 종양에 비교적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대선량을 투여할 수 있다. 종양이 작을 경우에는 처음부터 사용하지만 종양이 큰 경우에는 외부 방사선 치료로 병변의 크기를 축소시킨 후 근접 치료를 시행한다. 밀봉 소선원 치료에 이용되는 핵종으로 과거에는 226Ra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선의 에너지가 높고 투과력이 커서 의료진의 피폭이 큰 단점이 되어 최근에는 인공 동위 원소인 137Cs, 192Ir, 60Co, 198Au, 125I, 182Ta 등을 주로 이용한다.
종 류
반 감 기
선 에너지(MeV)
factor(1㎝)
(R/hr/mCi)
반가층(HVL)
(㎝ Pb)
226Ra
1600y
0.047∼2.45
8.25
1.3
60Co
5.26y
1.17, 1.33
13.0
1.2
137Cs
30y
0.662
3.26
0.65
192Ir
74.2d
0.136∼1.07
5.0
0.3
222Rn
3.82d
0.047∼2.45
8.35
1.3
198Au
2.7d
0.412
2.32
0.33
125I
60.2d
0.027∼0.04
1.23
0.003
103Pd
16.9d
0.021
0.001
밀봉 소선원 치료에 이용되는 핵종
밀봉 소선원 사용 방법
ⅰ. mold법 : 표면의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되었으나, 현재에는 거의 전자선 치료를 시행한다.
ⅱ. 강내조사(ICR) : 종자(seed)나 관(tube) 형태의 선원을 이용하여 상악동, 비강, 식도, 기관지, 담도, 직장, 방광, 자궁, 질 등의 종양에 사용한다.
ⅲ. 조직내 조사 : 혀, 구강, 외음부, 질, 연부 조직 등의 종양에 종자(seed)나 바늘 형태의 선원을 직접 삽입한다.
ⅳ. 원격 후장전법(Remote Afterloading System) : 시술자의 피폭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우선 병변에 기구(applicator)를 삽입한 후에 모의 선원으로 위치를 확인한 후 선원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과거에 비해 100배의 강도를 갖는 선원(고선량율)을 사용하여 환자의 치료 시간을 1/100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
Ⅱ. 비밀봉 소선원 요법
비밀봉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한 치료는 비침습적이고, 간단하며 고통이 적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화합물의 체내 대사를 이용해서 경구 또는 정맥 주사용 방사성 동위 원소가 체내의 일정 장기 또는 조직에만 선택적으로 집적되어 종양을 치료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131I(30∼100mCi)를 이용하여 갑상선암의 수술 후 보조 요법으로 사용하거나 89Sr를 이용하여 전신 전이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
교질형(Colloid) 방사성 동위 원소에 의한 준선택적 조사는 체강 내(암성 늑막, 복막 삼출액), 조직 내(종양 내)에 국소 조사하여 종양을 치료하는 경우로, 대표적인 것은 암성 삼출액(복수, 흉수) 또는 유선이나 난소로부터 전이된 암의 치료를 위한 198Au-Colloid 요법과 조직 내의 종양 치룔 위한 32P-Colloid 요법 등이 있다.
참고자료 - [방사선 치료학], 대학서림, 강세식 외 19명, 2001년 / 네이버 백과사전
ⅱ. 운동 조사 : 회전 조사, 진자 조사
운동 조사는 다문 조사와 마찬가지로 주위 정상 조직의 방사선량을 줄이고 병변에만 방사선을 집중시켜 가능한 정상 조직의 장애를 최소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Ⅱ. 시간적 선량 배분(Time-Dose Relationship)
얼마만큼의 총선량을 어떤 선량율로 얼마의 일일 종양 선량으로 몇 회에 나누어서 얼마만큼의 간격을 두어 얼마의 전 치료 기간에 치료하는가는 치료 효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즉, 총선량은 같아도 분할 횟수, 선량율, 치료 기간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 따라서 시간적 선량 분포를 결정하는 것은 치료 성적의 성패에 중요한 인자이다.
일반적으로 1회에 전 선량을 일시에 조사하는 것은 수술 중 방사선 치료와 정위적 방사선 수술에만 사용되고, 대부분은 1일 1회 1.5∼2.0Gy 정도를 주 5회 조사하는 단순 분할 조사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순 분할 조사법 외에 일정량을 주 5회에 나누어 치료하던 것을 주 3회로 나누어 치료(선량을 10∼20% 감량)하거나 만성 부작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하루에 2∼3회 조사하는 방법인 고분할 조사법(Hyperfractionation) 등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번에 걸쳐 분할해서 치료하는 것은 암 조직은 파괴하면서 주위 정상 조직의 손상을 가능한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고식적 목적의 방사선 치료에는 대개 3Gy 10회(2주), 4Gy 5회(1주), 6Gy 3회(1주) 등의 방법으로 치료하는데 이는 환자의 생존률이 낮아 치료 종료 후에 발생하는 만성 부작용에 대하여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Ⅲ. 방사선 치료 시행 과정
방사선 치료는 장기간에 걸쳐(20∼30회/4∼8주) 시행하므로 매번 같은 부위에 정확하게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며 시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ⅰ. 방사선 치료 과정을 환자에게 자세히 설명한다.
ⅱ. X선 촬영, 전산화 단층 촬영(CT), 초음파, 자기 공명 촬영(MRI) 등을 이용하여 체내 병변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고 시뮬레이터로 치료 부위를 결정한다.
ⅲ. 조사 부위 또는 조사야를 피부에 표시한다. 치료 기간 중에는 피부에 표시한 선이 지워지지 않도록 환자에게 주의시킨다. 치료 부위 표시가 외관상으로 문제가 되면 문신을 할 수도 있지만 평생 지워지지 않으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전에 환자의 양해를 구한다.
ⅳ. 시뮬레이터로부터 확인된 치료 부위에 적합한 개인 차폐물을 제작한다.
ⅴ. 방사선 치료 부위를 감마그람 또는 라이낙그람(초기 치료 포탈필름)으로 확인한다.
② 소선원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법
Ⅰ. 밀봉 소선원 치료 방법(근접 치료)
밀봉 소선원으로 조직내 조사, 강내 조사, 표면 조사 등을 시행하는 것으로 주위 정상 조직에는 선량을 최소화시키면서 종양에 비교적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대선량을 투여할 수 있다. 종양이 작을 경우에는 처음부터 사용하지만 종양이 큰 경우에는 외부 방사선 치료로 병변의 크기를 축소시킨 후 근접 치료를 시행한다. 밀봉 소선원 치료에 이용되는 핵종으로 과거에는 226Ra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선의 에너지가 높고 투과력이 커서 의료진의 피폭이 큰 단점이 되어 최근에는 인공 동위 원소인 137Cs, 192Ir, 60Co, 198Au, 125I, 182Ta 등을 주로 이용한다.
종 류
반 감 기
선 에너지(MeV)
factor(1㎝)
(R/hr/mCi)
반가층(HVL)
(㎝ Pb)
226Ra
1600y
0.047∼2.45
8.25
1.3
60Co
5.26y
1.17, 1.33
13.0
1.2
137Cs
30y
0.662
3.26
0.65
192Ir
74.2d
0.136∼1.07
5.0
0.3
222Rn
3.82d
0.047∼2.45
8.35
1.3
198Au
2.7d
0.412
2.32
0.33
125I
60.2d
0.027∼0.04
1.23
0.003
103Pd
16.9d
0.021
0.001
밀봉 소선원 사용 방법
ⅰ. mold법 : 표면의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되었으나, 현재에는 거의 전자선 치료를 시행한다.
ⅱ. 강내조사(ICR) : 종자(seed)나 관(tube) 형태의 선원을 이용하여 상악동, 비강, 식도, 기관지, 담도, 직장, 방광, 자궁, 질 등의 종양에 사용한다.
ⅲ. 조직내 조사 : 혀, 구강, 외음부, 질, 연부 조직 등의 종양에 종자(seed)나 바늘 형태의 선원을 직접 삽입한다.
ⅳ. 원격 후장전법(Remote Afterloading System) : 시술자의 피폭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우선 병변에 기구(applicator)를 삽입한 후에 모의 선원으로 위치를 확인한 후 선원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과거에 비해 100배의 강도를 갖는 선원(고선량율)을 사용하여 환자의 치료 시간을 1/100 정도로 단축할 수 있다.
Ⅱ. 비밀봉 소선원 요법
비밀봉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용한 치료는 비침습적이고, 간단하며 고통이 적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화합물의 체내 대사를 이용해서 경구 또는 정맥 주사용 방사성 동위 원소가 체내의 일정 장기 또는 조직에만 선택적으로 집적되어 종양을 치료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131I(30∼100mCi)를 이용하여 갑상선암의 수술 후 보조 요법으로 사용하거나 89Sr를 이용하여 전신 전이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
교질형(Colloid) 방사성 동위 원소에 의한 준선택적 조사는 체강 내(암성 늑막, 복막 삼출액), 조직 내(종양 내)에 국소 조사하여 종양을 치료하는 경우로, 대표적인 것은 암성 삼출액(복수, 흉수) 또는 유선이나 난소로부터 전이된 암의 치료를 위한 198Au-Colloid 요법과 조직 내의 종양 치룔 위한 32P-Colloid 요법 등이 있다.
참고자료 - [방사선 치료학], 대학서림, 강세식 외 19명, 2001년 / 네이버 백과사전
추천자료
소아암 환자의 간호
암의 성장과 암의 성장에 관여하는 인자들
[흡연][금연]담배의 내용물, 담배의 즉각적인 효과, 습관적 흡연으로의 진행과정, 흡연과 건...
갑상선 암
유방암(BREAST CANCER)
편평상피암
[위암(위선암), 위암(위선암) 정의, 위암(위선암) 분류, 위암(위선암) 조직]위암(위선암)의 ...
방사선 치료장치 전반의 이해
악성종양과 방사선 치료
종양아동간호, 혈액과림프계암, 백혈병, 림프종, 신경계종양, 뇌종양, 신경아세포종, 아동종...
종양아동간호, 혈액과림프계암, 백혈병, 림프종, 신경계종양, 뇌종양, 신경아세포종, 아동종...
위암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 위암 치료방법(위암의 영양치료,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수술치...
Pharynx CT에 관한 PPT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