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풍속과 경제활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현대축제와 관광문화

3. 차별성과 경쟁력의 심화

본문내용

볼 수 없다. 현행 시군단위의 축제가 나름대로 지역민의 화합과 일체감을 조장한다는 측면에서는 일단의 기여가 기대되기도 하지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보다 광역의 축제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그것을 찾는 외부인들을 위해 필요하며, 이러한 방법은 예산의 낭비와 관광객의 편의, 그리고 각 축제의 특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현행 시군단위의 축제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그 모태라고 볼 수 있는 마을단위의 자연적인 축제는 점점 사라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모든 마을에서 전통적인 축제를 재현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시군의 하위 조직인 각 읍면단위에서 적어도 한두 마을 정도는 민속축제마을로 지정하여 전통적인 문화축제를 지원하고 또한 보존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향토축제가 관광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볼거리나 먹거리 중심으로 레파토리가 짜여져 있다. 또한 그러한 사정으로 인해서 많은 민속공연이 축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민속공연을 전통이라고 할 수는 없다. 적어도 향토축제에 참가하는 사람들이 질 높은 문화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끼워넣기식의 민속공연이 아니라 그 지역의 전통문화와 연계된 일종의 드라마로서 재현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축제란 하나의 거대한 드라마로 연출되야 하며, 그랬을 때 비로소 관광자원으로서 빛을 발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향토축제는 이미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차별성을 통한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각 축제마다 다른 지역의 축제가 흉내낼 수 없는 이미지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가에 의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그를 뒷받침을 수 있는 전문인력이 일선 조직 속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축제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아직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하지만 축제가 우리 사회의 중요한 하나의 문화재요 또한 문화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연구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손대현, 『관광론,』 서울일신사, 1989 p71
이선희 외 2인, 『현대관광의 이해』, 대왕사, 1999 p167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http://www.wowzine.net/wowzine/2002/14-17.htm 와우진 2002. 6. 14 제 16호
http://www.mct.go.kr/menu04.html 문화관광부 홈페이지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02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9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